1 |
김기승(2016), 과학명리, 서울: 다산글방.
|
2 |
김만태(2011),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십이지 (十干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민족문화연구, (54), 259-302.
|
3 |
윤창렬(1987), "간지(干支)와 운기(運氣)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4 |
윤창렬(1995),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논문집, 4(2), 1-19.
|
5 |
윤창렬(1996), "육십갑자(六十甲子)와 음양오행(陰陽五行)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논문집, 5(1), 1-11.
|
6 |
전경찬(2007), "간지(干支)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융합(融合) 및 적용(適用)에 관한 고찰", 동방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7 |
진위담 著, 이규갑.윤창준.김시연.김준룡 譯(2002), 갑골문도론(甲骨文導論), 서울: 학고방.
|
8 |
소 길 著, 김수길.윤상철 譯(1998), 오행대의(五行大義), 서울: 대유학당.
|
9 |
심규철(2002), "명리학(命理學)의 연원(淵源)과 이론체계(理論體系)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10 |
홍성국(2006), 60갑자(甲子)와 시간 그리고 동양의학, 서울: 초락당.
|
11 |
萬民英(1996), 三命通會, 台北: 武陵出版社.
|
12 |
徐 升(2011), 淵海子平, 台北: 進源書局.
|
13 |
許 愼(1996), 說文解字, 台北: 中華書局出版.
|
14 |
이은성(1985), 역법(曆法)의 원리분석(原理分析), 서울: 정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