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habilitation motivation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의 보디빌딩 참여하는(웨이트 트레이닝 참여) 동기가 심리적 반응을 통한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odybuilding (Participation in Weight Training) on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Psychological Repulsion)

  • 송기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37-349
    • /
    • 2023
  • 웨이트 트레이닝 즉, 보디 빌딩에 관심이 증가하였으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 동기, 행동 의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디 빌딩 참여 동기를 살펴보고 그 와중에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을 매개하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2023년 5월 30일부터 6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용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총 23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참여하는 동기 중 건강지향형, 자기개발형은 자발적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 동기 중 가정지향형은 기회주의적 수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수용은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기회주의적 수용은 학습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신체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요인적 및 정책적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신경계 재활에서의 작업기반중재(occupation based intervention)에 관한 고찰 (The Reviews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n Neurorehabilitation)

  • 이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29-36
    • /
    • 2017
  • 서론: 작업기반중재는 신경계 질환의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작업기반중재의 이론적 배경, 정의 및 범위를 알아보고 실제 작업치료중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경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작업기반중재는 작업기반실행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적 요소들이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수행을 하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의 실제적 환경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 때 의미 있는 작업이란 클라이언트가 동기를 가지고 작업을 선택한 것으로 규칙적이고 반복적이어서 작업의 수행이 습관성이 있다. 결론: 작업기반중재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와 습관 그리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각각의 요소는 다양한 신경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신경계 재활에서 세요소가 포함된 작업기반중재의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뇌졸중 입원 환자들의 회복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Recovery Lived Experience of Stroke Inpatients)

  • 송아영;김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00-207
    • /
    • 2017
  • 본 연구는 뇌졸중 입원 환자들의 회복체험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재활병원에 입원해 있는 뇌졸중 환자 12명에게 3회의 대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회복체험이란 무엇인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무엇인가? 회복에 있어서 재활이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다. 사전 동의를 통해 대화내용을 녹음하였고, 과학적 현상학의 4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뇌졸중 입원 환자들의 회복체험에 관한 16개의 요약된 의미단위를 통합하여, 10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회복체험의 구성요소는 도움에 대한 부담감, 독립적 역할수행, 자기극복, 사회복귀, 심리적 지지, 회복에 대한 동기강화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가 입원 중 경험하는 어려움을 예측하고, 회복을 위한 중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활전문가들은 자기극복 및 가족과의 올바른 협력관계를 위한 전략을 세우고, 심리적 지지 및 동기 강화를 위한 치료적 관계형성을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회복을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가이드 폭과 위치조절이 가능한 퍼팅훈련시스템 개발 및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utting Training System with Changeable Guideline of Width and Distance)

  • 길세기;김장회;문제헌;박종철;김태완;김광준;이상철;황종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75-28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이드 폭과 위치조절을 통해 퍼팅 시 순차적인 집중력 강화를 유도하여 퍼팅능력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퍼팅훈련시스템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LEGO NXT 콘트롤러와 금속 Tetrix 세트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소프트웨어는 LabVIEW ver. 2010을 사용하였다. 시스템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비숙련자 10인과 숙련자(KPGA) 5인에 대해 개발된 시스템의 폭 위치 변화 퍼팅훈련을 10세트 실시하고 의견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손목부위에서의 속도 가속도 변화 감소 및 머리부위의 변위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견조사에서 집중력 향상과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다는 소견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시스템의 가이드 폭 위치 조절방식의 훈련법은 퍼팅을 위한 것으로 비슷한 운동구조를 갖는 노약자 장애인용 파크골프나 게이트볼 훈련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작업치료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치료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 for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Post Stroke)

  • 권재성;양노열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뇌 가소성을 동반한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강도 높은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중치료로써 임상적으로 유용한 훈련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사용-의존성 즉 운동 강도와 반복은 마비 측 사지의 운동 기능향상에 중요한 치료적 요소이다. 최근에는 상지의 지속적 사용을 통한 뇌-가소성에 기반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가상현실 치료가 대두되었다. 가상현실 치료는 재활 임상환경에서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강도와 반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으로 채택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유용성 측면에서는 강도 높은 반복적 훈련이 가능하다는 것과 게임 같은 형식으로 높은 동기부여가 가능하다는 것, 실제 수행을 통한 다중감각적 피드백 제공, 상호작용이 가능한 과제지향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임상 환경에서 작업치료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가상현실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회복을 더욱 촉진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 정준식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39-51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회도서관,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 용어는 뇌졸중, 삶의 질, 상관관계였고 한국어로 출판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 총 256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그 중 12편의 연구가 본 주제와 부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12편의 연구는 모두 비 실험적 연구였고 상관관계 논문이었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일상생활활동 r=.293~.622, 우울증 -.804~-.533, 인지 기능 .090~.610, 수면의 질과 만족도는 각각 .107과 .367, 피로 -.260, 상지 기능 중 움직임의 질 .208, 사용 양 .364, 가족지지 .824, 통증 -.306, 재활 동기 .51~.86, 균형 .740, 자기효능감 .388로 분석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치료사는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뿐만 아니라 우울, 인지, 수면, 가족지지, 통증, 자기 효능감 등의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sit to stand and walking ability in a perso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report

  • Jung, Du Kyo;Chung, Yij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2호
    • /
    • pp.96-104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the treatment effects in balance, sit to stand, and gait abilities in patients with TBI. Design: A single case study. Methods: A 13-year-old adolescent with quadriplegia and hip joint control impairment participated in this four-week training intervention. The patient, diagnosed with TBI, wastreated with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PNF. In the first week, we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body, relaxing the hip flexors and activating the hip extensor muscles in order to solve the patient's physical function and body structure. From the 2nd and 4th week, we improved the motivation through the task-oriented method, and then weight-bearing training of the right lower extremity was proceeded by kicking a soccor ball with the left lower extremity.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4 weeks, 5 days a week, for 60 minutes with the exercise intensity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ubject's physical abilit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tient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the physical examination, which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included the manual muscle test, modified Ashworth scale, sensory assessment, coordination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5-time sit to stand test, and the 10 meters walk tes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ase suggest that a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using PNF may improve hip control ability, balance, sit to stand and gait ability in a patient with TBI.

한방병원에 내원한 악관절 환자 52명에 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of 52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 이진혁;설무창;민관식;진은석;정해찬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73
    • /
    • 2009
  • Objectives :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with sex, age, motivation, symptom, Impression, treatment effect ab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Method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52 patients who visited the Jaseng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from August 2008 to October 2008. Result : Women occupied the most part. And 27 persons in the 20th are the most distribution of age. The majority of patients occured the symptom for no reason. In the distribution of symptoms, TMD pain(88.46%), Click sound(82.69%), neck pain(52.92%), headache(38.46%), lumbago(21.15%) happened. In the impression through radiological diagnoses, The majority of patients diagnosed Straightening of cervical lordotic curvature. Oriental medical treatment showed a very valuable effect on improvement of TMD symptom.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a valuable treatment effect of temporotandibular disorders on Oriental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is work have the necessity of continuous study and observation and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patients who visiting the TMD clinic of Jaseng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 PDF

뇌졸중환자의 동작관찰 보행훈련이 시·공간적 지표와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on Spatio-temporal Parameter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 강권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51-36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on stroke patients. METHODS: 22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performed that watched a video of normal gait before gait training and the general gait training without watching it. The experimental group(n=11) performed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n=11) performed general gait training. Both group received gait training for 3 times per week during 8 week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dence, gait velocity, stride, step, single limb support, double limb support,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p<.05).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stride(p<.05). CONCLUSION: The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affected coordination and weight shift, as well as symmetry of the body. Plasticity of the brain was facilitated by repetitive visual and sensory stimulation. The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promoted the normal gait by watching the normal gait pattern. In conclusion, motor learning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promotes brain plasticity that could improve motor function, and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indirectly identified stimulated brain activities.

농촌노인 여가복지시설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의성군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ty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 Focused on the aged in Uiseong district -)

  • 김현진;김용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43-50
    • /
    • 2010
  • Although the government financial aid is insufficient and the lack of programs and facilities prevent it from developing and activation in the rural local society,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re formed an ever-greater part of the leisure and welfare facility for the aged in rural areas.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by the aged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in Uiseong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urvey sample characteristics based on a total of 303 survey, the percentage of women (55.2%) was much higher than men (44.8%), average age is 73.3 years ol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ost important motivation is for health and making friends, and major useful facilities and programs are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sing a song and rehabilit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overall satisfaction, positive promotions and sufficient aid are required for the aged in the rural local society. Further any programs developed internally are required to promote and activate the leisure activity programs for the 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