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Parent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Running질 Science Garden질)

  • 채동현;이수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63-288
    • /
    • 2002
  • 'Science Garden' is a science program that develops acquirements of science & technology at an early stage through experiential study and inspire the spirit of scientific inquiry by carrying out laboratory work, science movie, science lecture, scientific work, outdoor activities, computer classes and science experiment which is hard to do through the regular educational course. It is targeted grade 4,5,6 students during summer and winter vacation. 'Science Garden' is conducted by selective participation freely. It is a wholelistic activity that develops children's potential talents or creativities, improves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lso gives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by extending capacity for inquiry to show each student's ability. This study is observed and is compared how it i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using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is used narra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Objects of narrative observation are two elementary schools, each from Jellabukdo and Gyeonggido,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ly. Here are results of the study. 1 A teacher in school G never takes part in student activities, tends to be indifferent to classes, but focuses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laboratory. And feedback or evaluation about student's activity is never done. On the other hand, a teacher in school S guid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als of science on themselves, and wide variety forms of activities such as role playing, discussion, and games are being done. But an effort to evaluate student's activity is not being made properly. 2. Teachers set a high valuation on the need of 'Science Garden'. Observing the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usually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science for official work is selected as a teacher in charge, and groan under a heavy burden of conducting it without anyone's help. Participating students are selected by volunteering or teacher's recommendation, but because of low Participation rate, teachers have difficulty in conducting it. Plan for conducting ‘science Garden’ is made 20 days before it, after getting an official document from Office of Education, refering to booklets produced by National Jungang Science Institute, or data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internet. Teachers evaluate rarely Most school principals have interest in 'Science Garden' but parents are not well aware of it, The budget is made at the same time with the plan, and scale is varied between 200,000∼500,000 won. Because of the improper way of selecting teacher in charge,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heavy works caused by planning, conducting the program, as well as reporting teacher's work, and lack of parents' awareness, 'Science Garden' has been conducted formally and superficially. Next gives you direction to change, for the right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It is important to motivate competent teachers to instruct students actively.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y should publicize thoroughly beforehand, and develope 'Science Garden' program for teachers to be able to make better use of it. Evaluation of student activities and program should be done in the aspect of developing students’ faculties. Beside of school facilities, they need to put diverse local facilities and places to practical use for immediate natural experience. And not only separate schools but also associated form of schools to conduct it is necessary.

  • PDF

대구 지역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및 식품 기호도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Certain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 성영숙;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2-319
    • /
    • 2011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일부 중학생들의 식습관 및 식품 기호도를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생활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 일부 중학교 남녀 중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식습관 및 식품 기호도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식습관은 맞벌이를 하지 않는 가정에서 식사가 규칙적으로 나타났으며, 맞벌이 가정에서의 식사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간식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식품 기호도는 동물성 식품에서 남학생의 기호도가 여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족 형태에 따른 식품 기호도는 대가족에서 식물성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간식류는 핵가족의 기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식품 기호도는 간식류가 맞벌이 가정의 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 볼 때 부모의 맞벌이 여부와 학력이 중학생들의 식습관 및 식품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및 체형에 대한 외적 요인이 다이어트 실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steem, body image and external factors of body type on die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 김효정;김미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75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다이어트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올바른 다이어트를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체질량지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도,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체형에 대한 부모, 친구, 대중매체 영향요인이 다이어트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북지역의 고등학생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최종 36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자료로 이용되었다. 다이어트 실행집단과 비실행집단 간의 체질량지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도,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체형에 대한 부모, 친구, 대중매체 영향요인을 비교해보면, 다이어트 실행집단은 비실행집단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높고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다이어트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체형에 대한 부모, 친구와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체질량지수,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도, 신체이미지, 체형에 대한 친구의 영향, 체형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이 다이어트 실행 여부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구시내 중학생들의 식습관 및 기호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Tast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aegu)

  • 이원희;김미향;한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0-304
    • /
    • 1988
  • 대구시내 남 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간식내용은 과자류가 18.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과일, 과즙, 아이스크림의 순이었고 간식비는 1일 300원미만이 75.5%였다. 간식비와 간식횟수는 가정의 월수입과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간식 장소는 집과 학교 매점이 약 80%로서 거의가 건전한 장소에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침 식사의 결식율은 21.8%로서 비교적 높은편이어서 아침 식사가 전체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식습관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었다. 아침 식사의 형태는 94.2%가 밥이었고 이것은 다른 지역에서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에 대해서는 ‘복용한 적이 있다’와 ‘복용하고 있다’가 50.5%로서 대상자의 약 반수가 영양제 복용을 선호하고 있으며 식사시 영양에 대한 고려 정도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가 24.0%가 비교적 높아 부모 및 지도자를 통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인스턴트식품의 이용에 관한 조사에서 ‘전혀 먹지 않는다’는 2.8% 뿐으로 대부분의 중학생이 인스턴트식품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기호경향은 좋아하는 경우가 72.9%였다 식품섭취 상태진단의 조사에서는 식품섭취 내용점수가 평균 8.3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남자보다 여자가, 가정의 월수입과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70가지 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5단계 척도법으로 집계한 결과 대상자의 기호경향은 ‘ 대단히 좋아한다’가 전체 식품의 37.3%로서 식품에 대한 수용성이 높았다. 식품별 기호도 순위는 남녀 모두 딸기가 가장 높았으며 마늘이 가장 낮았다. 식품군별로는 과일류가 가장 높았고 어패류가 가장 낮았다.

  • PDF

피라미드 상호연결망의 기반 그래프로서의 2n-정방형 메쉬 그래프의 간선 특성 (Edge Property of 2n-square Meshes as a Base Graphs of Pyramid Interconnection Networks)

  • 장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82-591
    • /
    • 2009
  • 피라미드 그래프는 정방형 메쉬와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연결망 토폴로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라미드 그래프의 각 계층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 그래프로서의 정방형 메쉬 그래프의 간선들을 두개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는 전략을 채택한다. 메쉬 내의 간선 집합은 해당 간선의 양 끝 정점들에 인접된 부모 정점들이 상위 계층 내에서 서로 이웃하는 관계인지 아니면 공유하는 관계인지에 따라서 각각 NPC-간선과 SPC-간선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부분집합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아울러 원래 그래프에서의 SPC-간선들을 압축된 결과 그래프에서는 압축된 슈퍼-정점 내부로 숨김으로써 NPC-간선들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축 그래프의 개념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2^n\times2^n$ 2-차원 정방형 메쉬 내에서 헤밀톤 사이클 구성 시 포함할 수 있는 NPC-간선 개수의 하한 및 상한이 각각 $2^{2n-2}$$3*(2^{2n-2}-2^{n-1})$임을 분석한다. 이 결과를 피라미드 그래프로 확장시킴으로써 n-차원 피라미드 내에서 헤밀톤 사이클에 포함가능한 NPC-간선의 최대 개수가 $4^{n-1}-3*2^{n-1}$-2n+7 임을 증명한다.

개선된 피라미드 네트워크에서 토러스 부그래프의 사이클 확장성 (Cycle Extendability of Torus Sub-Graphs in the Enhanced Pyramid Network)

  • 장정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183-1193
    • /
    • 2010
  • 피라미드 그래프는 병렬처리 분야에서 정방형 메쉬와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연결망 위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개선된 피라미드 그래프는 이러한 피라미드 그래프보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쉬를 토러스로 대체시킨 구조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피라미드 그래프의 각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기반 부-그래프로서의 정방형 토러스 그래프의 간선들을 두 개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는 전략을 채택한다. 토러스 그래프 내의 간선 집합은 해당 간선의 양 끝 정점들에 인접된 부모 정점들이 상위 계층에서 서로 인접하는지 아니면 공유하는 관계 인지에 따라 각각 NPC-간선과 SPC-간선이라 불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고려한다. 아울러 원래 그래프에서의 SPC-간선들을 압축된 결과 그래프에서는 압축된 슈퍼-정점 내부로 은닉시킴으로써 NPC-간선들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도록 하기 위해 압축 그래프의 개념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2^n{\times}2^n$ 2-차원 정방형 토러스 내에서 헤밀톤 사이클 구성 시 포함할 수 있는 NPC-간선 개수의 하한 및 상한이 각각 $2^{2n-2}$$3{\cdot}2^{2n-2}$임을 분석한다. 이 결과를 개선된 피라미드 그래프로 확장시킴으로써 개선된 n-차원 피라미드 그래프 내에서 헤밀톤 사이클에 포함할 수 있는 NPC-간선의 최대 개수는 $4^{n-1}$-2n+1 개임을 증명한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졸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Employment Type of The Graduates by Data-mining Approach)

  • 김형래;전도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67-174
    • /
    • 2012
  • 데이터마이닝 기법은 대량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고용정보 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대졸자 실업, 여성 재취업, 고령자 취업 등의 불안정한 고용형태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고용 안정성을 높이려는 다양한 공공 고용서비스의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졸자의 고용형태(상용직, 무직자, 일용직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개인생활 환경 또는 학교생활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취업 지원과 대학생의 취업 준비를 지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조사 분석은 다양한 요인과 방대한 데이터양으로 인해 일반적 통계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170여개의 속성들 간의 관계 분석과 2만여 개의 응답데이터를 다루기에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생활 요인, 개인환경 요인, 또는 직장생활 요인으로 구분하고,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연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부모님의 소득, 결혼 여부 속성과 같은 개인 환경요인이 개인의 고용형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결정구조 모델은 87%정확성을 보였다. 학교생활 요인으로는 대학 소재 지역으로 추정되는 학교수준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경남 남해지역 장수노인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 최희정;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47-1152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 남해군 서면과 설천면에 거주하는 85세 이상의 고령 노인 중에서 거동에 불편함이 없고 특별한 질환이 없는 대체로 건강한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식습관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은 무학이 95.0%로서 남자는 83.3%, 여자는 98.7%를 나타내었고 가족형태는 아들과 함께 사는 경우가 63.0%로 가장 많았으며 딸과 함께 사는 경우가 1.3%로 가장 적었다. 월 평균 용돈은 5만원 이하가 51.7%로 가장 많았고 81.0%의 노인들이 자녀에게 용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의 사망연령은 아버지가 평균 67.3$\pm$15.9세, 어머니가 평균 58.1$\pm$16.6세로 거의 유사하였으나 남자 노인인 경우는 아버지가 여자노인인 경우는 어머니가 더 오래 생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세 끼니를 섭취하는 노인이 평균 84.0%로 가장 많았는데 여자(89.5%)가 남자(66.7%)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남녀 각각 91.7%, 93.4%의 노인이 규칙적인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조사 노인의 약 77.1%가 금기식품이 없다고 하였고 약 90.5%가 건강식품이나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고 있었다. 음주는 남자 58.3%, 여자 35.5%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시작 연령은 남자는 30세 이전이 71.4%로 가장 많았으며 여자는 31∼40세가 33.3%로 가장 많았고 일일 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남자는 11∼30g, 여자는 10g이하가 대부분이었다. 남자 33.3%, 여자 28.9%가 흡연을 하였으며 흡연시작 연령은 남자는 20세 이전, 여자는 31∼40세가 가장 많았고 흡연량에 있어서는 하루 5개비 이하가 남녀 각각 37.5%, 50.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 노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8시 간, 활동시간은 4∼5시간이 가장 많았고 남자 91.7% 여자 85.5%가 ‘건강하다’, 남자 58.3% 여자 67.1%가 ‘행복하다’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

목회자의 목회간호에 대한 역할기대 (Pastor's Expectations from Parish Nurses)

  • 김정남;권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4-169
    • /
    • 1996
  • Parish nursing is a community health nursing role developed in 1983 by Lutheran chaplain Granger Westberg. An increasing emphasis on holistic care, personal reseponsibility for a healthy lifestyle, and changes in healthcare delivery systems have undoubtedly facilitated the establishment and nurturance of an innovative nursing role in the community. Parish nurses are functioning in a variety of church congregations of various denominations. The parish nurse is a educator, a personal health counselor, a coordinator of volunteers. The parish nurses helps people relate to the complexed medical care system and assists people to integrate faith and health. The autors conducted a study on pastor's expectations from parish nurs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those instrumental in planning, initiating, supporting, and evaluating a parish nurses program The research was done on 130 pastors in Taegue and Kyong Sang Buck Do, of various ages ranging from their 20's to 60's: and pastoring churches of various sizes, ranging from under 100 to over 300 members. 94.6% agreed that they needed a parish nurse on their staff; and 86.2% said they wanted to start a parish nurse program in their churches if certain basic conditions were met. The pastors responded that some would hire the nurses on a full-time basis(22.3%), a part -time basis (37.7%) or use volunteer nurses (40%). The pastors said they would expect the following from a parish nurse: health counselling (80.0%) regular health check-ups (78.5%) health care for the elderly (78.5%) health information and education (72.3%) hospice care (72.3%) visiting sick church members at home (69.2%) arranging and training volunteers to help the seek (59.2%) health care for expectant mothers (50.0%) introducing and taking people to health care facilities (46.2%) The pastors were surveyed about specific areas of health education they would want the parish nurse to teach(for example,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76.2%) ; stress management(74.6%); and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73.8%). The pastors were surveyed about specific areas of health counselling they would expect the parish nurse to do (for example, drug abuse, (73.1), alcohol abuse(64.6%), marriage conflict(60.0%), recovery after the loss of a loved one(56.9%), and women's conflict with parents-in-law(53.8%). The pastors were surveyed about types of things they would want included in regular health check-ups, what they would want a parish nurse to do on home visits, and what they would want included in home care for the elderly. They were also surveyed on what kind of spiritual care they would like parish nurses to give. Most (90.7%) wanted their parish, parishioners to be involved in the parish nurses program as volunteers, and in a variety of ways(such as visiting sick in their homes(68.5%) and helping with housework(63.1%) and taking sick people to health facilities(60%). Parish nurses role, activities, and boundaries of practic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refined and a 'case manager' should be conceptualized as an additional or all-encompassing role. An initial parish / community needs and readiness assessment should be done prior to establishing a program to detemine if the congregation is ready, willing, and able to support such a position for at least a 2 to 3 year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