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Job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들의 고관절골절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Risk Factors for Hip Fracture among the Elderly)

  • 김용권;조영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6
    • /
    • 200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elderly hip fracture, so that the result could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prevention programs for hip fracture among the elderl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cases hospitalized in 4 university hospitals in Pusan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8, 193 healthy controls who visited elderly facilities in Pusa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by using questionnaires through telephone contact or direct personal interview with the subjects or their family, and were analyzed for 2-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risk factors were shown with odds ratio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hip fracture risk was estimated to be 1.9 for the elderly aged 75 years as compare with those aging less than 65 years; 42 for those with job as compared with those without job; 3.3 for those with more than 6 children as compared with those with one or two children.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small height (p=0.015), light weight (p=0.000), and low BMI (p=0.014) were risk factors for elderly hip fracture. Sane variables related to health, such as previous history of illness (OR=3.3.), abnormal blood pressure (OR=1.6), previous fracture history (OR=22), lower limbs weakness (OR=12.1) and gait disturbance (OR=42.6),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ip fracture.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isk factors for hip fracture were age, having job, lower limb weakness and previous history of illness. The adjusted odds ratios of hip fracture risk among the elderly were age (OR=1.1), having jobs (OR=11.7), weak lower limb (OR=10.8) and previous history of illnesses (OR=3.3),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n for improving the daily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systematically should be implemented to avoid the chances of fall, and that programs encouraging to practice regular exercise for physical activity and to promote health of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 PDF

메뉴 상품 마케팅 전략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ategy plan for the Improvement on menu marketing Commoditization.)

  • 김장익;홍철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4권
    • /
    • pp.347-367
    • /
    • 1998
  • It is difficult to make which customers want in restaurant industry because of IMF situation. Therefore, utilization of service marketing is needed by best effect through least investment in restaurant industry. The background of restaurant industry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ourism industry. We should give a hand to tourism and restaurant industry by holding international events. so the way of thinking among people is changing. And importing of famous foreign brand and opening shops are accellerating the improvement of tourism and restaurant industry. In this perspective, improvement factors of restaurant industry are as follows : the increase of pst time, the increase of disposable income, the increase of woman's having jobs and double income, requirement of people about health food,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y, and the change of viewpoint among people. This restaurant industry is service industry, and it sells invisible service except the aspect of selling menu. In addition, in terms of menu, price reduction strategy should be done by cost reduction and restructuring. The ultimate purpose of marketing is to increase sales and to do this we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customers in shops. That means we should create new customers and try to attract customers who used to be regular in the shops. Therefore, the demonstration of management ability and positive reaction is really needed. So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marketing are as follows: proper strategy for double consumption, increasing the number of customers through new specific menu, menu life cycle according to menu item, menu development by considering customer, making recipe, enhancement of product quality and cost reduction by customer's opinion. We should concentrate on national menu first, and try to develop menu for international market. It is absolutely needed that we set up the menu product strategy through menu marketing with various products and constant study related to menu marketing is to be done.

  • PDF

경력직 노동력의 지역 간 이동에 관한 연구: 2008-2011년 고용보험통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igration in Experienced Employees' Sector: based on the yearly statistics of employment insurance 2008-2011)

  • 이정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4-128
    • /
    • 2014
  •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고용보험통계를 이용하여 경력직 노동력 이동에 대해 16개 시도를 공간단위로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중 전체 상용직과 일부 임시 및 일용직 근로자가 고용보험 가입자이고, 이들 중 매년 약 40-50%의 경력직 근로자가 직장을 옮기고 있다. 이러한 고용보험 가입 경력직 노동력의 이동에 대해 첫째 전체 이동 근로자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그 권역을 탐색하고, 둘째 타 시도로 이동하는 근로자를 추출하고 유출비와 유입비를 이용해 지역 간 이동의 연계와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이동권역은 지난 정부가 설정했던 5+2 광역경제권과 유사한 군집을 이루었지만, 지역 간 이동에 있어서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나머지 시도에 탁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의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Medical Doctors)

  • 김경호;한삼성;유왕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8-107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edical doctors, who play the important role for improving people's healt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0 medical doctors working in clinic and hospitals in Daegu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ver the period from July 1 to August 15, 2018. Method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edical doctors.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average job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was 3.06 out of 5 point. The medical doctors with carrying out surgery and longer working time tend to have higher job stress level compared to other groups without surgery and having short working time. And medical doctors generally do not have good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verage level of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subjects was 2.30 out of 5. The groups with high rate of quitting job and working in hospital tend to have lower practic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it also showed that the groups with higher the job satisfaction rate and vocational aptitude tended to have the higher level of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pared with other groups. Conclusions: Medical doctors tend to have higher job stress level, whereas they have relatively lower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pared with people with other jobs. Thus, strengthening of health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medical doctors and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considering job's characteristics is needed. In particular, the education for job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in regula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medical doctors's association should be strengthened.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 Park, Su-Hyeon;Choi, Dong-J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315-320
    • /
    • 2020
  • 이 연구는 목적은 경찰청, 경비협회 등에서 제공하는 최근 3년 동안의 민간경비업체·경비원, 규모별 경비업체, 일반·특수(신임교육), 자격제도 현황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민간경비업의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고 민간경비업을 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황을 통해 살펴 본 민간경비업은 수도권·시설경비의 집중, 비정상적인 신변보호업체 대비 신변보호원의 수, 특수경비업의 정규직 전환이였고, 신임교육에서는 일반경비원은 아직 지속적인 교육 증가, 반면에 특수경비원의 교육은 한계점이 나타났다. 자격제도에서는 경비지도사의 자격증의 활용성과 신변보호사 자격증의 활용과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간경비업의 현황들로 살펴본 특징들의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민간경비업의 균형발전과 업무구분의 명확성이다. 두 번째, 민간경비 교육과 교육기관의 질을 높여야 한다. 세 번째, 자격제도의 현실화와 적극적인 홍보이다.

소규모 건설현장 화재 위험요인 안전관리 운영실태 분석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Operations of Fire Risk Factors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 문필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75-785
    • /
    • 2022
  • 이 연구는 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의 화재안전관리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는 건설기능인력의 연령대가 고령자이고, 종사경력은 건설기능력이 짧았으며, 직종은 대다수가 건축공종에 작업을 하고 있으며, 고용형태는 비정규직 일당제로 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들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화재 위험성 요인에 대한 허가와 관리를 체계화하고, 화재위험관리를 위해 소방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리감독하는 장치가 필요하겠으며, 화재시 다양한 피난통로 확보와 화재 발생을 건설공사 현장 내 모든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경보설비를 갖추고, 피난경로 접근과 시야 확보가 취약한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간이피난유도선과 비상조명등을 임시소방시설로 설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대피훈련, 화재VR훈련, 흥미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베이비붐세대와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Which of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the Benefit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bligation?)

  • 석재은;이기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107-130
    • /
    • 2016
  • 2013년 정년연장이 법제화되어,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기로 진입하는 2016-17년에 단계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이 연구는 정년연장 법제화로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누가(어떤 특성의 집단)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정년연장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년연장은 상근 정규직근로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상태와 노동이력을 추적하여,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근 정규직근로자로 생존하게 되는 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4차(2001)부터 17차(2014)까지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상근 정규직근로자 생존확률을 분석하였다. 생명표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 중에서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비율은 11.4%에 불과했고, 75.3만명 규모로 추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과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결과, 고학력일수록, 여성근로자에 비해 남성근로자의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으며, 공공 및 정부기관 종사자가 민간기업 종사자에 비해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1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곳에 근무하는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이는 정년연장 혜택이 안정적 고용집단인 특정계층에게 집중되는 계층화 효과, 젠더편향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격차확대 위험을 시사하며,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에서의 일자리 경쟁과 세대갈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구인 사이트에 나타난 치과규모별 치과위생사 근무조건의 비교 (Comparis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Dental Hygienists Using Data from Online Job Sites)

  • 오은주;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1-507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구인정보를 중심으로 치과규모별 근무조건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덴탈잡, 널스잡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2016년 7~8월에 구인으로 등록된 299건의 구인정보를 바탕으로 근무정보를 수집하였다. 치과의사를 제외한 직원수를 기준으로 치과규모를 세 군을 분류하여 chi-square 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용공고에서 96.7%가 정규직을 채용하고 있었으며 시간제를 모집하는 비율은 직원 3명 이하군에서 가장 많았다(34.8%). 주당 근무일수는 평균 $5.32{\pm}0.55$일이었으며 직원 3명 이하군이 직원 4명 이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p<0.001) 1일 근무시간은 $8.99{\pm}0.44$시간이고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야간근무의 비율은 직원 4~7명군(54.4%), 직원 8명 이상군(45.0%), 직원 3명 이하군(31.3%) 순이었다. 연차(60.5%), 월차(63.9%), 반차(32.4%), 휴가(43.1%)에 관한 정보제공 정도가 높지 않았다. 휴가(p=0.003), 연차(p<0.001), 월차(p=0.002), 반차(p<0.001)제도와 치과자체 직무훈련(p<0.001), 명절수당(p=0.005), 인센티브(p=0.001)에 대한 정보제공은 직원 8명 이상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퇴직금(p=0.036), 휴가비(p=0.005), 자기 계발비(p=0.001)에 대한 정보제공은 직원 4~7명군이 유의하게 가장 많았다. 직원 8명 이상군에서 워크숍, 동호회, 기숙사 제공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판단하였을 때 직원 3인 이하 규모의 치과가 긴 근무시간에 비해 복지혜택에 관한 정보제공이 부족하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 구인란을 해소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치과위생사의 근무조건의 개선, 근무형태의 다양성, 직원 복지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규모가 작은 치과일수록 구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근무조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Settlement Stable Employment Culture of Dental Hygienist)

  • 윤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63-471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경력단절의 요인을 분석하고 장기근속을 위한 제도적 마련 및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여 치과위생사의 구인난 해결과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및 유휴인력 재취업 방안을 찾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또한 치과계 여성 종사인력 올바른 일자리 정착을 위한 포럼 등 관련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자료 및 정보 등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예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출산 및 육아로 퇴직을 방지하기 위한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장가근속을 유지하기 위한 임금과 근무시간, 근무형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며, 경력 장려금의 지급, 병원내 복무규정과 처우개선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경력유지 장려금 및 '청년내일채움공제' 제도의 도입 등을 통해 고용환경을 조성하고 경력단절의 예방체계를 구축해야 되겠다. 둘째, 유휴인력의 활용방안 모색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결혼, 출산, 육아, 학업, 개인사정 등을 이유로 기존 정규 근무시간에서 본인이 원하는 만큼 시간을 줄여 근무하고 국가지원금을 받으며 일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전환제도를 더욱 활용하고, 그 신청과정을 간소화하고 평가기준도 단일화해야 할 것이다. 유휴인력의 재취업 시 부여할 업무범위와 근무형태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근무형태도 전일제나 시간제 등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반영하여 치과의사협회와 치과위생사협회가 공동으로 유휴인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빠른 재취업이 가능하도록 돕고, 유휴이력의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력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셋째, 휴직 후 타 직종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의 치과계 재유입 유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치과계를 이탈하여 타 직종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이 다시 치과계로 돌아올 수 있는 긍정적인 이미지의 근무환경조성과 유휴인력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이고 꾸준한 홍보, 유휴인력을 위한 전문취업사이트 구축 등 치과계 전체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일과 육아를 모두 양립할 수 있도록 여성의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부의 현실적인 지원과 혜택, 그리고 이용이 편리한 제도적 마련이 있어야 한다.

직장의 유무가 야간대학생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ytime Jobs on the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mong Evening Class University Students)

  • 최현주;전예숙;박민경;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5-18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ing in an daytime and studying in an evening class on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 24-hour recall method was used along with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 172 were in the daytime calss regular student group(RS), 178 were evening class students without a job(ESWOJ), and 140 were evening class students with a job(ESWJ). An average age of the ESWJ was 31 years old, which was 9 years older than the RS and 7 years older than the ESWOJ. The types of the resid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 were seif-boarding 74% of the ESWJ stayed at home while 47% of the RS were self-boarding and 61% of the ESWOJ. The survey shows that while a great majority of the RS and ESWOJ has breakfast and supper at home, about 10% and 17% of the ESWJ ate breakfast and supper, respectively, at the cafeteria in their work place. The most frequently skipped meal was the breakfast in all groups. Approximately 9% of the ESWJ tended to skip the breakfast, while 27% of the RS and 33% of the ESWOJ did. It turns out that the mose common reason why ESWJ skipped meals was due to a lack of time. About 71% of the ESWJ ate out more than once a week compared to 57% and 62% of the RS and ESWOJ, respectively. Approximately 30% of the ESWJ ate out more than once a week compared to 57% and 62% of the RS and ESWOJ, respectively. Approximately 30% of the ESWJ spent less than 10 minutes at meal time, showing a hurried eating habit. The results show that the ESWJ tended to eat a variety of food s and eat less instant foods, but drink coffee more oft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 all groups, the intakes of energy, Ca, and vitamin A were lower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RDA). In addition to these nutrients, protein, vitamin B1, vitamin $B_2$, and niacin were also lower than the RDA in all make students, and Fe was lower than the RDA in all female students. Among the deficient nutrients, vitamin A showed the lowest % RDA : 48% in the male and 64% in the female students. Among the deficient nutrients, vitamin A showed the lowest % RDA ; 48% in the male and 64% in the female students. The intakes of Ca, Fe, and niacin in the ESWJ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RS and ESWOJ groups, and the vitamin C intake in the ESWJ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ESWOJ(p<0.01). In conclusion, university students in all three groups have a serious imbalance in the nutrient intakes, and the evening class students with a daytime job have unhealthy dietary behaviors in the light of high frequency of eating out and heavy coffee drinking, a rushed eating pattern, and therefore showing a strong need of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for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