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vulnerability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Spatial Patterns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in Seoul)

  • 김지수;성효현;최광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5-626
    • /
    • 2013
  •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 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도시 홍수를 유발하는 기후요인, 홍수에 노출된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적응도 요소들을 종합한 서울 도심지역의 홍수 취약도 지수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취약성 모델에 기반을 둔 상관성 분석 결과 서울 도심의 홍수피해 건수는 여러 홍수취약성 관련 변수 중 빗물저류조 용량, 1일 최대강우량, 빗물펌프장 토출량 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도심지역의 홍수 취약도 공간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안양천과 중랑천 등 도심하천 주변의 광범위한 행정동 지역에서는 공통적으로 높은 민감도가 홍수 취약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랑천 주변지역은 높은 민감도 이외에도 높은 기후요인에 의해 홍수 취약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지적으로 홍수 취약성이 높게 나타난 강동구와 송파구 일부 행정동 지역에서는 적응도가 낮아 홍수 취약도가 높게 나타났고, 강남구 일부 행정동 지역에서는 극한강수현상과 같은 기후요인과 민감도가 높아 홍수 취약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해상도 행정구역인 행정동 단위에서 도출된 홍수 취약성 분포도는 도심 내부의 지역별 적합한 홍수 대응, 관리 및 예방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서울시 및 경기도의 생태계교란식물 취약지역 평가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Invasive Alien Pla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박현철;이관규;이정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1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al index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areas with invasive alien plants. To that end, "Regional Vulnerability Numerical Index" (RVNI) was developed with a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and applied to Seoul and Gyeonggi-do area fir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VNI was high in stream areas. Second, RVNI was lowest in mountain areas. It indicates that stream areas are vulnerable to invasive alien plants. In terms of regions, Guri City is most vulnerable and Gapyeong-gun is the least vulnerable. To expand and manage the invasive alien plants, a control protocol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by invasive alien plant. Also, related policies should be pursued based on the result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setting policies for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환경보건적 요소가 도시 내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 이원정;강재은;김유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92-504
    • /
    • 2013
  • Objectives: This analysis seeks to evaluat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EHF; e.g. hospital beds per capita,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2006-2010. Methods: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concept suggest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extreme-heat vulnerability is comprised of the categories of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including EHF). The indexes of the Exposure and Sensitivity categories indicate positive effects, while the Adaptive capacity index indicates a negative effect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Variables of each category were standardized by the re-scaling method, and then each regional relative vulnerability was computed with the vulnerability index calculation formula. Results: The extreme-heat vulnerability index (EVI) excepting EHF was much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suburban area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When EHF was considered, the difference in the EVI between the two areas wa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Adaptive capacity index in urban areas. The low EVI in suburban areas was induced by a dominant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e.g. green area) within the Adaptive capacity category. Conclusions: To reduce the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in urban areas, which were more frequently exposed to extreme heat than others areas, public health and na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in sensitive areas.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 오존을 중심으로 -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 Focused on Ozone)

  • 이상혁;강정은;배현주;윤동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51-763
    • /
    • 2015
  • 지표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표의 선정과 함께 지표별 가중치 결정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전국 24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법을 활용하여 오존을 중심으로 한 대기오염 취약성을 평가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대기오염 취약성 지표를 선정하고 이들을 표준화하고, 엔트로피를 이용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노출 지표는 기상요인과 대기오염요인을 고려하였고, 민감도는 취약대상과 취약환경요인을, 지자체별 적응능력은 지역의 사회 경제적 요소, 보건의료요인, 대기관리 요인을 적용하였다. 취약성 평가 결과는 단순합산의 경우 화성시, 광진구, 김포시, 광주시, 군포시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약성-탄력성 지표(VRI) 방식도 단순합산 결과와 유사한 취약지역 공간 분포 패턴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엔트로피 가중치를 이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는 자료에 기반한 객관적인 취약성 평가로 불확실성을 동반하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약성 평가결과는 지자체별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 맞춤형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An Observational Study in Manipur State, India on Preventive Behavior Influenced by Social Me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diated by Cyberchondria and Information Overload

  • Bala, Renu;Srivastava, Amit;Ningthoujam, Gouri Devi;Potsangbam, Thadoi;Oinam, Amita;Anal, Ch Lily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1호
    • /
    • pp.22-30
    • /
    • 2021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s a public health emergency posing unprecedented challenges for health authorities. Social media may serve as an effective platform to disseminate health-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xtent of social media use, its impact on preventive behavior, and negative health effects such as cyberchondria and information overload. Method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ne 10, 2020 and August 9, 2020 among people visiting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the authors' institution, and participants were also recruited during field visits for an awareness drive. Questions were developed on preventive behavior, and the Short Cyberchondria Scale and instruments dealing with information overload and perceived vulnerability were used. Results: The study recruited 767 participants with a mean age of about 45 years. Most of the participants (>90%) engaged in preventive behavior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extent of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β=3.297; p<0.001) and awareness of infection when a family member tested positive (β=29.082; p<0.001) or a neighbor tested positive (β=27.964; p<0.001). The majority (63.0%) of individuals often searched for COVID-19 related news on social media platforms. The mean±standard deviation scores for cyberchondria and information overload were 9.09±4.05 and 8.69±2.56, respectively. Significant and moderately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yberchondria, information overload, and perceived vulnerability to COVID-19.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as an information- seeking platform altered preventive behavior. However, excessive and misleading information resulted in cyberchondria and information overload.

잠재오염원을 이용한 포항지역의 광역적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using Potential Pollutant of Pohang Area)

  • 이사로;김용성;김덕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에서 개발된 DRASTIC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 후, 잠재오염원 자료를 이용하여 광역적인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포항지역에 대해 지하수면의 깊이, 충진량, 대수층, 토양층, 지형경사, 수리전도도, 선구조, 잠재오염원 등 수리지질학적 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잠재오염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GIS 기반으로 DRASTIC 시스템에 적용하여 광역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와 잠재오염원의 분포를 중첩 분석하여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지하수 오염 위험성은 대수층의 지하수 오염에 대한 취약성과 잠재오염원의 분포 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적절한 지하수 수질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 결과는 행정구역별로 도출하여 향후 관리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기법은 비교적 손쉽게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실제 지하수 수질관리 계획 수립 시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Investigation on seismic isolation retrofit of a historical masonry structure

  • Artar, Musa;Coban, Keziban;Yurdakul, Muhammet;Can, Omer;Yilmaz, Fatih;Yildiz, Mehmet B.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6권4호
    • /
    • pp.501-512
    • /
    • 2019
  • In this study,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seismic isolation retrofit of Bayburt Yakutiye Mosque is investigated. Bayburt Yakutiye Mosque was built in the early 19th century at about 30-meter distance to Coruh river in the center of Bayburt in Turkey. The walls of historical masonry structure were built with regional white and yellow stones and the domes of the mosque was built with masonry bricks. This study is completed in four basic phases. In first phase,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regional white stone used in the historical structure are investigated to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as modulus of elasticity, poison ratio and compression strengths etc. The required information of the other materials such as masonry brick and the regional yellow stone are obtained from literature studies. In the second phas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FEM) of the historical masonry structure is prepared with 4738 shell elements and 24789 solid elements in SAP2000 software. In third phase,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historical mosque is researched under seismic loading such as Erzincan (13 March 1992), Kocaeli (17 August 1999) and Van (23 November 2011) earthquakes. In this phase, the locations where damage can occur are determined. In the final phase, rubber base isolators for seismic isolation retrofit is used in the macro model of historical masonry mosque to prevent the damage risk. The results of all analyses are comparatively evaluated in details and presented in tables and graphs. Th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rubber base isolators can prevent to occur the destructive effect of earthquakes.

부산지역 119구조대 증설을 통한 건축물 접근취약성 개선효과 분석 (Analysis of Improvement Effects on Building Approach Vulnerability by Expanding Emergency Rescue Centers in Busan)

  • 최준호;이지수;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79-87
    • /
    • 2015
  • 우리나라의 소방행정력은 도심지역에 집중 배치되어 지역적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시민들에게 균등한 서비스가 공급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나 지역적 여건이나 예산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해 이를 실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부산시의 경우 전체 건축물의 절반가량이 구조대가 5분 이내에 도달이 어렵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특히 관할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권역은 구조대의 접근성이 더욱 더 취약했다. 기존 119구조대의 접근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현재 구조대 권역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관할 권역의 조정에 따른 개선 효과는 사실상 미비할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구조대의 신설을 제시하였다. 구조대 증설을 통해 접근 취약성을 해결한 권역은 북부, 강서, 금정, 기장, 해운대 순으로 나타났는데, 해당지역 내 건축물 수는 총 53,546개소로 나타났다.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Heavy Snow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Using PSR and DPSIR Methods)

  • 이근우;이형주;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5-352
    • /
    • 202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겨울철 자연재해인 대설 재해 위험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강설의 특징은 지역별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설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PSR 방법과 DPSIR 방법을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두 가지 평가 방법을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대설 위험지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SR 방법은 압력지수, 상태지수, 반응지수로 구분되며, DPSIR 방법은 추진력, 압력, 상태, 영향, 대책 지수로 구분된다. 각 지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의 대설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최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한민국의 대설 피해를 기준으로 PSR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수를 비교한 결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취약성 지수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설 피해 발생 시 대설 취약성 지수가 높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제설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