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 Focused on Ozone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 오존을 중심으로 -

  • Lee, Sang-hyeok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ang, Jung Eu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 Hyun Joo (Korea Environment Institue) ;
  • Yoon, Dong Keun (School of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Received : 2015.10.20
  • Accepted : 2015.11.18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Both the selection of indicators and weights for them are critical issues 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ir pollution vulnerability focused on ozone for 249 local jurisdictions using weights calculated by the entropy methodology and then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We selected indicators for air pollu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standardized them. Subsequently, we calculated weights of each indicator using the entropy method and then integrated them into the vulnerability index. The exposure indicators consider meteorological and air pollution factors and the sensitivity of the local jurisdiction include variables on vulnerable areas and environments. The adaptive capacity contain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care capacities and air pollution managemental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Hwaseong-si, Gwangjin-gu, Gimpo-si, Gwangju-si, Gunpo-si are among the highest vulnerabilities based on the simple aggregation of indicators. And vulnerability-resilience (VRI) aggregation results indicates the similar spatial pattern with the simple aggregation outcomes. This article extends current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tudies by adopting the entropy method to evaluate relative usefulness of data. In addition, the results can be used for developing customized adaptation policies for each jurisdiction reflecting vulnerable aspects.

지표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표의 선정과 함께 지표별 가중치 결정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전국 24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법을 활용하여 오존을 중심으로 한 대기오염 취약성을 평가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대기오염 취약성 지표를 선정하고 이들을 표준화하고, 엔트로피를 이용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노출 지표는 기상요인과 대기오염요인을 고려하였고, 민감도는 취약대상과 취약환경요인을, 지자체별 적응능력은 지역의 사회 경제적 요소, 보건의료요인, 대기관리 요인을 적용하였다. 취약성 평가 결과는 단순합산의 경우 화성시, 광진구, 김포시, 광주시, 군포시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약성-탄력성 지표(VRI) 방식도 단순합산 결과와 유사한 취약지역 공간 분포 패턴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엔트로피 가중치를 이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는 자료에 기반한 객관적인 취약성 평가로 불확실성을 동반하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약성 평가결과는 지자체별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 맞춤형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