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system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초

전략적 지역혁신체재 구축을 위한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ganization Design of Regional Innovation Councils for Establishing Strategic Regional Innovation Systems: Based on Kang-Won Province Case)

  • 이주헌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5-214
    • /
    • 2008
  • 지난 2004년 이후로 정부는 지역의 내생적 자립과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과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고 추진주체로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혁신협의회를 만들었다. 당시 강원도의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은 운영위원회와 사무국을 중심으로 기획조정분과, 전략산업분과, 문화관광산업분과, 지연산업분과, 지역인적자원개발분과 등으로 구성되어 지역혁신정책을 수립, 검토, 심의, 평가, 확정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등 의욕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기존 정부조직과의 역할차별화 문제, 균형발전위원회의 예산확보문제, 전략적 조직체계 문제, 의사결정구조 문제등으로 애초에 기획했던 지역혁신협의회의 기능과 역할과는 달리 미래지향적 전략설정과 혁신적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은 어렵게 되고 지역에서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산업과 연구자원에 근거하여 전략산업이 선정되고 예산배분이 결정되었다.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과 같은 혁신사회에서는 지역의 혁신정책을 결정하고 심의, 조정할 수 있는 지역혁신협의회와 같은 조직의 역할과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아마 차기정부에서도 비슷한 역할을 담당할 혁신과 창업의 추진체가 앞으로도 계속 출현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를 분석하고 기존 조직의 전략과 조직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혁신추진체의 역할과 모습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자가 속한 강원도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와 분과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식별, 논의하고 바람직한 추진체가 갖추어야 할 사항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혁신시스템 (Innovation System of a Theme Park: A Case Study of Everland in Yongin, Korea)

  • 최정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7-291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의 혁신시스템의 실태 및 혁신장애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에버랜드의 혁신 네트워크는 기업내 그리고 고객, 공급자 네트워크는 비교적 강하나, 경쟁자 및 대학과의 네트워크는 약하다. 기업내에는 혁신정보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나, 그 상호학습 수준은 낮아 정보교환의 부족, 매개기관의 네트워크 부족, 연구와 실제 운영간의 갭 등의 혁신장애가 발생한다.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협력과 신뢰 등의 사회자본을 축적시켜 에버랜드는 기업내 혁신원천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시키고, 이를 외부로 확산시켜 지역혁신시스템으로 확대 구축하여야 한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기업내와 지역내의 혁신주체들간의 집단적 상호학습과 혁신창출의 과정을 통해 지역과 에버랜드 양자가 하나의 학습지역화가 되어야 한다.

  • PDF

지역농업의 혁신환경과 발전방안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신당리 수박재배지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Innovation Milieu an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griculture: In Case of Watermelon Cultivated Area, Sindangri, Daegu)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4-107
    • /
    • 2006
  • 본 연구는 지역농업의 생산 및 유통체계와 관련한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농업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의 농업경영은 노동력과 수익성을 고려한 개별농가의 의사결정에 의해 크게 영향 받으며 생산자간 협력관계나 산 학 관 혁신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은 미약하다. 생산과 유통과정에서는 변화하는 경제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혁신의 노력이 미약하고 혁신 주체들 간에는 신뢰수준이 낮다. 혁신 주체들간 낮은 수준의 협력관계는 불완전한 정보와 지식을 가진 개별농가의 의사결정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게 되므로 타 지역과의 경쟁력확보와 지역농업의 발전에는 불리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지역농업의 경쟁력 확보와 발전을 위해서는 변화하는 유통환경을 고려하여 생산중심의 영농방법에서 벗어나 목표시장을 설정하고 시장지향적 생산구조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농업의 경영과 관련해서는 산 학 관 지역 혁신 주체들 간의 신뢰에 기초한 상호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이들 혁신 주체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지역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물리적 기반의 확충보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혁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일 수 있으며, 혁신 주체들 간에는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한 상호협력 체계의 구축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 PDF

지역혁신 패러다임과 지역혁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중심으로한 변화 - (Study on Chang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igm &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 Focused on Removal of Public Organization -)

  • 설기환;유석호;경병표;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73-381
    • /
    • 2015
  • 중앙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추진하였다. 수도권 집중현상의 분산과 지역혁신을 목표로 추진한 공공기관의 지역이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한 새로운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전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는 지역혁신체계의 변화 방향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서 지역혁신과 지역혁신체계의 기존연구와 현황을 통하여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를 발굴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이전과 지역혁신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지역혁신 패러다임에 고려될 사항과 이전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는 지역혁신 체계의 추진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공기관이 이전한 후의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은 국가적, 세계적 문제를 풀어내고 창의적인 혁신이슈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전기관이 혁신의 주체로서 지역혁신을 이끄는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로 지역중심의 정책입안을 포함한 5가지의 성공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아직은 물리적 이전에 머무르는 공공기관이전의 결실이 지역혁신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추진체계를 확보하여 국가의 미래를 견인하는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되고 구체적인 혁신체계와 이슈개발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 공공기관이전이 지역과 국가 혁신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지역혁신체제와 사회적 자본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Social Capital)

  • 한성안
    • 기술혁신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5-160
    • /
    • 2004
  • We witness now the changing techno-economic paradigm and the emerging learning economy. Reflecting on these changes, the group of Evolutionary Economists study recently the theory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but their research results are still now not theoretically ‘systemized’. Moreover, they often indeed speak of the ‘social capital’, but do not investigate that. This paper tries to systemize their empirical findings and theoretical results and integrate the discussions on social capital in fields of sociology into a mathematical model.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innovating process.

  • PDF

혁신의 제도적 접근: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클러스터의 지식파급효과 -선행연구의 검토와 새로운 쟁점- (Institutional Approach to Innovation: the Knowledge Spillover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ve Cluster - Review and New Issue of Antecedent Research -)

  • 배응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35
    • /
    • 2015
  • 세방화시대에 모든 국가의 공통현상은 국가와 지역차원에서 지식혁신과 성장이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여 이론과 실제에서 연구되고 있다. 선진국에서 지역발전의 성공사례에서는 지역혁신체제와 클러스터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지역혁신체제의 축소모형인 혁신클러스터에서의 지식파급효과가 기업혁신과 지역성장을 유도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혁신지리학의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클러스터에서의 지식파급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연구흐름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보다 심화된 연구를 위한 연구쟁점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들은 지식파급효과가 특정한 지리적 근접성의 지식집약산업에서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지역혁신을 위해서는 순수지식 파급효과가 중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한계로는 제한된 지리적 공간과 기술영역, 소수의 분석변수 그리고 렌트파급효과무시 등이 있다. 따라서 지식파급효과와 관련한 새로운 연구쟁점으로는 지리적 차원(지역과 글로벌), 기술적 차원(다양한 지식기반산업), 분석변수의 다양화(종전의 변수 외에 시간이나 사회자본), 개념화(무단사용과 기술시장) 등을 들 수 있다.

  • PDF

Information & Analytical Support of Innovation Processes Management Efficience Estimations at the Regional Level

  • Omelyanenko, Vitaliy;Pidorycheva, Iryna;Voronenko, Viacheslav;Andrusiak, Nataliia;Omelianenko, Olena;Fyliuk, Halyna;Matkovskyi, Petro;Kosmidailo, In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400-407
    • /
    • 2022
  • Innovations significantly affect the efficiency of the socioeconomic systems of the regions, acting as a system-forming element of their development. Modern models of economic development also consider innovation activity, intellectual potential, knowledge as the basic factors for stimulati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reg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methodological foundation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based on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its effects. To further study the effectiveness of RIS, we have used one of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tatistical analysis - canonical analysis. The next approach allows adding another important requirement to the methodological provision of evaluation of the level of innovation development of industries and regions, namely - the time factor, the formalization of which is realized in autoregressive dynamic economic and mathematical models and can be used in our research. Multidimensional Statistical Analysis for RIS effectiveness estimation was used to model RIS by typological regression. Based on it,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in groups of regions with low and relatively high innovation potential. To solve the methodological problem of RIS research, we can also use the approach to the system as a "box" with inputs and outputs.

지역혁신체제 잠재성 향상의 조건: 기업의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Enhanc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The Dimension of Firm Practices)

  • Jong Ho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77
    • /
    • 2003
  • 국가 및 지역혁신체제에서 기업은 지식의 창출과 확산을 위한 중심적 행위자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혁신시스템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내의 기업들이 기업내의 조직학습과 더불어 타기업 및 관련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을 창출하는 학습조직이 되어야만 한다. 지금까지 혁신체제론의 연구들은 신업부문별, 지역별 및 국가별 수준에서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조건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혁신체제의 중심 주체가 되는 기업조직의 학습 관행 및 조직 루틴이 지역혁신체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기업이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직적 역량을 어떻게 구축하고 학습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개별 기업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국가 및 지역 혁신체제의 잠재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기업들은 특정 지역혁신체제에 구속되기보다는 기업의 경계 안팎에 존재하는 다양한 혁신의 원천을 탐색하고 조직적으로 체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조직의 활동 관행이 지역혁신체제의 잠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특정 지역혁신체제 내 기업들이 외부의 지식에 접근하고 그것을 조직적으로 체화하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통해서 지역혁신시스템은 제도적 고착 효과를 탈피할 수 있고 혁신체제 전반의 혁신 잠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Emerging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 Berg, Su-Hyun;Hassink, Robert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1호
    • /
    • pp.63-79
    • /
    • 2012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represent a fashionable conceptual basi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Due to question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production, the green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discussed in relation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This explorative paper analyzes these discussion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emergence of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It tentatively concludes that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too powerful and the role of regional actors (policy-makers and entrepreneurs) is too weak for the successful emergence of green clusters.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An Inquiry into the Triple Helix as a New Regional Innovation Model)

  • 이철우;이종호;박경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5-353
    • /
    • 2010
  •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와 함께 지역혁신을 분석하는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트리플힐릭스 모형은 혁신과정에서 나타나는 산 학 관 네트워크를 삼중나선형의 움직임으로 파악한다.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제는 산 학 관의 관계적 구조에 따라 크게 3가지 거버넌스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지식의 창출 및 이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 학 관의 경계중첩과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크게 3가지 발전단계를 나타낸다. 트리플 힐릭스 모형은 국가 및 지역 혁신체제론과 이론적 연계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혁신체제의 불완전성, 지식창출 메커니즘, 대학의 역할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크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트리플 힐릭스는 주로 지역 단위에서 구현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식공간, 합의공간, 혁신공간으로 구성된 3층위의 트리플 힐릭스 공간체계가 형성되고 개별적인 트리플 힐릭스 공간들이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형성될 때 비로소 지역혁신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 트리플 힐릭스 모형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두 가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연계하여 각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