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tructure

검색결과 1,139건 처리시간 0.032초

지역거점물류센터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아시아 지역 허브 공항을 중심으로 (Locational Preferences for Regional Distribution Center : Focused on Asian Hub Airports)

  • 송재길;방완혁;송상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2
    • /
    • 2016
  • As supply chains are globalized, multinational companies are trying to optimize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 hub and spoke structure. In this hub and spoke network structure, multinational companies locate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at hub airports, which serve demands in their corresponding regions. Especially when customers put higher priority on the service lead-time, hinterlands of international hub airports become ideal candidate locations for the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By utilizing excellent airport and logistics services from hub airports,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in the hub airports can match supply with demand efficiently. In addition,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may increase air cargo volume of each airport, which is helpful in the current extremely competitive airport industry. In this paper, we classified locational preferences into three primary categories including demand, service and risk and appli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to prioritize factors of locational preferences. Primary preference factors include secondary factors. Demand factor contains access to current and prospect markets. Service factor comprises airport and logistics perspectives. Service factor in terms of airport operations includes secondary factors such as airport service and connectivity. Service factor in terms of logistics operations contains infrastructure and logistics operations efficiency. Risk factor consists of country and business risks. We also evaluated competitiveness of Asian hub airports in terms of candidate location for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The candidate hub airports include Singapore, Hong Kong, Shanghai, Narita and Incheon. Based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 derived strategic implications for hub airports to attract multinational companies'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 I ) : 인구구조와 인구이동 (Patterns of Migration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 ) : Population Structure and Migration)

  • 최은영;구동회;박영실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72-5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구조, 부산 대도시권 내부의 인구이동, 부산 대도시권과 다른 지역 사이의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대비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 및 가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주 생산 연령층인 25~39세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서울 대도시권에 비해 부산 대도시권은 상대적으로 시도내 인구이동 비율이 높고, 시도간 인구이동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기능적 연계에 의한 대도시권의 통합 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부산에서 서울 대도시권으로의 전출 초과가 갈수록 증가하여 부산의 전출 초과에서 수도권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다.

  • PDF

Subway Network Expansion and Spatial Restructuring of Accessibility in Seoul

  • Lee, Keum-Sook
    • 지역연구
    • /
    • 제11권2호
    • /
    • pp.53-63
    • /
    • 1995
  • Changes in transport are reflected in the accessibility of a place, which is denoted as the inherent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a place with respect to overcoming spatial friction, and affect the land use ultimately. A composite accessibility measurement scheme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bway network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in 1972. Changes in the transport network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and affect ultimately the land use pattern. Therefore, it is of relevanc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which allows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 PDF

전략적 지역혁신체재 구축을 위한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ganization Design of Regional Innovation Councils for Establishing Strategic Regional Innovation Systems: Based on Kang-Won Province Case)

  • 이주헌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5-214
    • /
    • 2008
  • 지난 2004년 이후로 정부는 지역의 내생적 자립과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과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고 추진주체로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혁신협의회를 만들었다. 당시 강원도의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은 운영위원회와 사무국을 중심으로 기획조정분과, 전략산업분과, 문화관광산업분과, 지연산업분과, 지역인적자원개발분과 등으로 구성되어 지역혁신정책을 수립, 검토, 심의, 평가, 확정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등 의욕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기존 정부조직과의 역할차별화 문제, 균형발전위원회의 예산확보문제, 전략적 조직체계 문제, 의사결정구조 문제등으로 애초에 기획했던 지역혁신협의회의 기능과 역할과는 달리 미래지향적 전략설정과 혁신적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은 어렵게 되고 지역에서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산업과 연구자원에 근거하여 전략산업이 선정되고 예산배분이 결정되었다.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과 같은 혁신사회에서는 지역의 혁신정책을 결정하고 심의, 조정할 수 있는 지역혁신협의회와 같은 조직의 역할과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아마 차기정부에서도 비슷한 역할을 담당할 혁신과 창업의 추진체가 앞으로도 계속 출현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를 분석하고 기존 조직의 전략과 조직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혁신추진체의 역할과 모습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자가 속한 강원도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와 분과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식별, 논의하고 바람직한 추진체가 갖추어야 할 사항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역회복력과 장소성 : 지역경쟁력의 대안 모색 (Regional Resilience and Placeness for Sustainable Growth :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to Regional Competitiveness)

  • 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83-498
    • /
    • 2016
  • 본 연구는 그동안 지역정책 전략을 지배해 온 지역경쟁력 개념이 저성장과 위기 상존 기조가 지배하는 오늘날 지역정책 전략으로서 한계를 갖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보다 지속가능하고 통합적인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전략을 위한 새로운 지역회복력 개념의 의미와 적용방안을 사례연구와 함께 고찰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대내외 여건의 급속한 변화에 직면한 지역변동을 이해하고 새로운 지역발전전략을 모색하는데 지역회복력이 유용한 개념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지역회복력의 측정과 요인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향후 지역회복력 관련 연구를 위한 기본방향도 설정하였다. 또한 시론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도권과 동남권의 지역회복력 추이와 그 과정에서 장소와 스케일에 따라 그 패턴과 경험이 차별적이며, 지역 내 경로의존적으로 형성된 산업구조와 지역의 경쟁력 효과가 지역회복력 패턴을 이해하는데 유의미함을 파악하였다.

  • PDF

Human Capital, Agglomeration Economies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 Kim, Hong-Bae
    • 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65-75
    • /
    • 1998
  • Education is widely recognized one of main sources for growth. This paper attempts to incorporate the general recognition into formal regional growth model. The model structure is largely neoclassical. It produces a single good with the two factors, educated labor and non-educated labor, via a constant return production migrating to the region with the higher real wage. The educated labor in a region is accumulated by two sources, migration and physical education capital, while the non-educated labor is by only migration. The paper shows that regional growth equilibrium is characterized as a saddle point. This indicates the presence of the minimum threshold size that must be overcome before a region may grow. It contrasts sharply with results obtained in regional growth models. The paper suggests that regional growth is determined less b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roduction function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roduction function but by the stock combination of educated function but by the stock combination of education labor and non-educated labor. Based on this result, the impact of agglomeration economies on regional growth is explored. It is by phase diagram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f agglomeration economies do not always lead a region to growth since there still exists the minimum threshold even in the presence of agglomeration economies.

  • PDF

지역농업개발의 농업시스템이론적 접근;농촌공간의 구조와 기능의 체계적 해석 (Agrarian System Approach in the Reg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systematical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ural area)

  • 오현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5권1호
    • /
    • pp.45-59
    • /
    • 1998
  • Regional agricultural research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mid of 1980s by the government`s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regional unit(kun). It is called upon to meet the challenges which the agriculture confronts in the general evolution of the society. However, regretfully it seems this new approach has not succeeded in developing its own theoretical tools for the diagnostic analysis of regional agriculture. So, this study would introduce the french agrarian system theory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s of the France`s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hich is now filtering outside the country to various parts of the world. It attempts also to apply the above theory to analyse one of agricultural regions located in the province Cheollabukdo, so as to see its theoretical pertinency and efficiency in the reg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planning which constitute the main part of the regional planning.

  • PDF

지역활성화를 위한 재활용 건축물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Recycling Architectur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 조주연;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0-273
    • /
    • 2008
  • Recycling of buildings is to purpose that confront the social structure and make a new development in the area and improve the local image for using specific location of local area and historic legacies, traditional culture, specialties and it is the element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which is connected with the culture tour is able to provide a clue of remaking the local industry. In this study of regional revit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ase that succeed in recycling the building of the more useful tourist attractions, so, through the study, reach the event for the regional revitalization in our country and the effectively regional revitalization, then it considers the method of recycling design that raises a competitive power.

  • PDF

도시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진주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 조정현;이창학;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2-101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 구도심부 상업지역의 공동화로 인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의 범위는 구득자료의 한계와 연구의 목적을 감안하여 진주시의 동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진주의 도시공간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해석(Multivariat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지역(중심지, 공업지, 일반주거지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진주시는 장래 낙후된 도시이미지의 쇄신,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앞서 지역별 현상을 감안하여 도심 노후지역의 전면적인 도심재개발, 재건축사업 및 재정비촉진사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상평공단 이전 및 초장동 일원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 현재 계획 중인 혁신도시의 차질 없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대련시(大連市) 한국기업의 지역적 뿌리내림 특성 -경영관행을 중심으로- (On the Regional Embeddedness of Korean Firms in Daren City, China : With Special Reference to Management Practices)

  • 여필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4-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련시(大連市)에 투자한 한국기업의 지역적 뿌리내림을 경영관행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투자지역의 사회경제주제와 네트워크 관계의 측면에서 기업조직, 의사결정체계, 고용 및 노동관행 그리고 정부 및 협회를 비롯한 지원기관과의 관계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국 대련시 한국기업의 주된 투자동기는 시장 확보이며, 이에 따라 주요 예산집행에 관한 의사결정은 한국 본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장개척, 인력채용 등에 대한 의사결정은 현지법인의 자율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 투자지원정책 면에서 지방정부와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고 기업은 경영성과를 지역사회로의 환원을 통하여 현지사회와의 융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노사관계도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