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검색결과 95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별 혁신형태 유형화와 지역 기반 혁신 정책 (Classification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nd Region-based Innovation Policies)

  • 유광민;김동관;한성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1-175
    • /
    • 2015
  • 지역 혁신정책의 중심이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혁신 전략을 수립, 추진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국가 전체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 차원에서도 비효율적이다. 국가내 지역간에 혁신 형태나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있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 혁신 정책은 의도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지역간 혁신 형태의 특성과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유형화하여 적절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지역혁신 관련 지표들을 검토하고, 선정된 지역혁신지표들을 활용하여 다중인자분석과 군집 분석 방법을 통해 지역들을 혁신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혁신유형별로 드러난 특징과 차이를 기초로 그에 맞는 정책적 방향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혁신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The Evaluation of Regional Innovation and Innovative Cluster Policies in Korea)

  • 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7-393
    • /
    • 2007
  • 국가균형발전과 지역혁신은 참여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의 하나로서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국가균형발전은 지역혁신을 통한 자립형 지방화 실현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지역의 내생적 산업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혁신체제 구축 및 클러스터 육성 정책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참여정부의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정책 과제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클러스터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여전히 하향식 정책 추진 방식이 중심이며, 정책의 중복과 정책 간 연계 미흡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예산 집행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대형 토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드웨어 중심 사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지역에 동일한 정책적 잣대를 적용함으로써 지역 간 과열 경쟁은 물론이고 지역의 특성과 잠재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 PDF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Venturing Clusters in Japan

  • Kendo Masayuki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2호
    • /
    • pp.167-181
    • /
    • 2006
  • This paper reviews regional innovation policy in Japan. 'Technopolis' policy, the first technology-bas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the world, was implemented in Japan. Nonetheless, technology-based regional endogenous development did not occur. Then, regional technology transfer was pursued. In order to make use of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a region for developmen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cross-over, such as university spin-offs, were promoted. Within this background, new technology-base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based on a cluster approach. These policies are the knowledge cluster Initiative and the industrial cluster program. However, existing companies have difficulty in carrying out innovation. This paper argues that a cluster to create new start-ups that carry out innovation is also needed and explains a new concept of venturing cluster. Based on this new cluster concept, this paper analyzes the situation of Sapporo in Japan, where many university spin-offs are being created in the biotechnology field.

  • PDF

정부지역혁신사업 관리의 효율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과 시사점 : 종합적 수준에서의 접근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 Regional Innovation Programs from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Perspective and Its Implications)

  • 이민형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5-250
    • /
    • 2007
  •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been pushing ahead with a variety of programs to support regional innova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variety of regional innovation programs of the government are efficiently managed and effectively functioning in regions. To make the assessment, questionnaire surveys were executed targeting innovation actors in fourteen regions and evaluated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regional programs. Key points of assessment we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organization and the efficiency of program management for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organization and the efficiency of program management were related positively to performance of programs, but the performance of regional innovation programs overall was not high. Some problems were found in program organization and program management such as the overlapping of program objectives and functions, the inadequate synergy among programs, insufficient reflection of the needs of industry in planning, the overlapping investment in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low effectiveness of evaluation.

  • PDF

지역혁신체제론 관점에서의 농촌지역 주민공동체조직 형성 촉진요인과 역할 분석 및 시사점: 아산시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 사례를 중심으로 (Promotive Factors, Roles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Community Organization in Rural Areas in Sight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focusing on the Case of "Songakdongnesaramdeul", a Social Cooperative Located in Asan City)

  • 고경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5-53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elements of the regional innovative milieu by analyzing the role of regional innovative elements and case organizations that promoted the emergence of 'Songakdongnesaramdeul (the people of the Songak town),' and to present pertin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the "Songakdongnesaramdeul," a residential community organization founded for regional innovation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as a case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creating an innovative milieu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innovation elements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is crucial. Especi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istence of reg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is the key element of the innovative milieu. such as case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to regional development while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actors, common learning and systemization, and new value creation activities. The implications derived through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four points. First, a variety of means to promote the formation of subjects in response to the public debate of the village agenda is needed. Second, it is highly important to create innovative elements, for example, organizations and programs, resources, and spaces that promote regional innovation. Third, forming a close network between various innovative resources existing in the region and establishing regional capabilities that allow to mobilize and utilize such innovative resources are important.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promotion mechanism such as a case organization is suggested as a major task,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Specifically, forming and revitalizing numerous private-based community organizations with regional developmental capabilities to establish local governance also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this vein,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y,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policies to construct a regional innovation milieu, such as creating innovative elements that can actively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establishing a promotion system, can be presented as major tasks.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 김병근;엄기용;유흥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5-289
    • /
    • 2009
  • 지난 참여 정부에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지역혁신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지역혁신체제와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개념 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혁신체제에 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 정립이 부족한 상태이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혁신역량에 관한 논의 및 연구는 대부분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지역 차원에서의 혁신역량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연구는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 산업발전을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중심부이며 첨단산업의 메카인 충남북부지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혁신 주체들이 인지하는 지역혁신역량의 구성 내용, 기업의 혁신활동과 혁신활동의 지역화 간의 관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역 기술혁신에 대한 공공연구기관의 이해와 실천: 광주과학기술원 사례 (Role of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ase of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공래;최지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55-985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the mission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PRIs) in Korea since 1960s and analyses the newly highlighted role of PRIs as the facilitator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with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 case study of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GIST). PRI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Korean rapid economic development by introducing and improving foreign high-technologies in 1970s and 1980s and by creating new advanced high-technologies in 1990s. In recent years, the functions as regional technology innovator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as regional innovation system has come to the center of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Korean PRIs have recognized their roles relevant to regional innovation, such as developing the technologies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and awakening regional innovative actors to a sense of research. Regardless of the functions as industrial technology suppliers, however, the bilateral networks between PRIs and regional industries are not revealed strong, whereas those with universities and other research institutes are relatively strong. In addition, the research cooperation of PRIs with regional innovative actors are different by where they are located. The case of GIST shows how a regional PRI operates, commercializes its academic achievement and encourages the regional transfer of the achievement systematically. Finally, this study draws some policy implications on developing regional PRIs.

  • PDF

전략적 지역혁신체재 구축을 위한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ganization Design of Regional Innovation Councils for Establishing Strategic Regional Innovation Systems: Based on Kang-Won Province Case)

  • 이주헌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5-214
    • /
    • 2008
  • 지난 2004년 이후로 정부는 지역의 내생적 자립과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과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고 추진주체로서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혁신협의회를 만들었다. 당시 강원도의 지역혁신협의회 조직은 운영위원회와 사무국을 중심으로 기획조정분과, 전략산업분과, 문화관광산업분과, 지연산업분과, 지역인적자원개발분과 등으로 구성되어 지역혁신정책을 수립, 검토, 심의, 평가, 확정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등 의욕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기존 정부조직과의 역할차별화 문제, 균형발전위원회의 예산확보문제, 전략적 조직체계 문제, 의사결정구조 문제등으로 애초에 기획했던 지역혁신협의회의 기능과 역할과는 달리 미래지향적 전략설정과 혁신적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은 어렵게 되고 지역에서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산업과 연구자원에 근거하여 전략산업이 선정되고 예산배분이 결정되었다.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과 같은 혁신사회에서는 지역의 혁신정책을 결정하고 심의, 조정할 수 있는 지역혁신협의회와 같은 조직의 역할과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아마 차기정부에서도 비슷한 역할을 담당할 혁신과 창업의 추진체가 앞으로도 계속 출현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를 분석하고 기존 조직의 전략과 조직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혁신추진체의 역할과 모습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자가 속한 강원도 지역혁신협의회의 조직구조와 분과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식별, 논의하고 바람직한 추진체가 갖추어야 할 사항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스마트 특성화가 지역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specialisation on the Regional Economy)

  • 김민철;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8
    • /
    • 2022
  • 지역의 혁신역량은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의 주요한 성장의 원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지역혁신체제의 정책적 수행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스마트 특성화 전략이 제안되었으나, 실증 연구는 제한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특성화를 기존의 지역혁신 연구의 보완 전략으로 접근하여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특성화를 지역혁신체제의 대체 전략이 아닌 지역혁신역량의 제도 요소로 보고, 지역혁신역량과 지역경제 간 관계를 분석하여 스마트 특성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국내 16개 시·도에 대해 2009-2018년의 10개년으로 구성한 패널 모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적합한 패널 모형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FGLS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의 연관 다양성과 비연관 다양성으로 구성된 스마트 특성화는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반 요소, 촉진 요소로 나누어 측정한 다른 지역혁신역량 역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존 지역혁신과 지역경제 간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가 부족한 스마트 특성화를 지역혁신역량의 제도적 요소로 보고 지역별 산업 연관 다양성과 비연관 다양성을 통해 이를 측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산학연 협력의 새로운 방향: 산학연 협력연구실 구축을 중심으로 (The new approach to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sector: Focussing on Building a collaboration research center)

  • 정선양;김기동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40
    • /
    • 2008
  •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sector gains importance in these days. This is essential for implement competent regional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There have been many governmental programs for activating collaboration among innovation actors. Most policy programs for collaboration have aimed at increasing S&T and innovation potential and constructing S&T infrastructure. However, Korea has not produced a sufficient level of collaboration, especially on regional level. Most policy programs could not reach regions and many regions have no enough innovation actors. In order to activate R&D collabor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Korean S&T community should build and implement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s" all over the regions. This concept is very new approach, especially because it focuses on collaboration among regional innovation actors. In this paper, we discuss a concept, type, and execution strategy of collaboration research centers. We expect that these center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successful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s they will link regional innovation actors very clos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