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 Income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기본계획 사업비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n Budget Distribution of Master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Villages)

  • 김대식;이승한
    • 농촌계획
    • /
    • 제17권1호
    • /
    • pp.13-27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budget investment plans for the unit-project items(UPI) of 176 project districts for the rural villag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RVCDP). This study classified the master plan reports of 176 project districts into 88 unit project items in aspect of project management,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budget in each project item. Most of all unit project items have similar types of uniform distribution with plus skewness in frequency pattern analysis except the total budget of the project distri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udget distribution per province, year, and geographical types of region.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nalyzed ratio of budget in unit project items to find out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budget between project items over time. The hierarchical system for UPI of RVCDP consisted of three steps, which are 4 items of the first step on Strength of Rural-urban Exchange & Regional Capability (RURC), Green-income Infrastructure & Facility (GIF), Culture- health-welfare Facility, and Eco-environment & Landscape facility (ELF), 13 items for the second one, and 52 items for the third project items. From the results of the budget investment analysis for 5 years from 2004 to 2008, the budget investment ratios of RURC and ELF have steady state for every year, while GIF in decreasing and ELF in increasing over time. The ratios of UPI on infrastructure were decreased, whereas those on culture, health, and welfare were increased. Portion of tow project items among 52 items, which are community centers for village residents and rural experimental study facility, has 30% of total budget investment. Futhermore, the budget ratios of seven project items showed 50% of total budget. Average value of project budgets for five years was optimized as a type of exponential function in the case of decent array for ranking order.

부산 일부지역에 유행한 장티푸스 환자에 대한 역학적인 조사 (An Epidemiological Study for on Outbreak of Typhoid Fever in Busan Area)

  • 박진형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0권1호
    • /
    • pp.86-93
    • /
    • 1977
  • 부산시 남구 문현동 고지대 일원에서 유행한 장티푸스의 전염원과 감염경로를 규명하고 그 관리사업을 1975년 4월 28일부터 동년 6월 3일까지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인불명의 고열질환은 장티푸스로 동정되었으며 주증상은 복통, 설사, 간장비대, 오심 구토, 비장비대장미진, 회맹부압통등이었다. 2. 평균이병기간은 25.2일이었고 발생율은 1000명당 35.6였다. 3. 장티푸스유행의 전염원은 행려환자로 추정되었다. 4. 발병으로 부터 신고까지의 기간은 $10{\sim}19$일사이가 제일 많았다. 5. 1차 대변배양검사 양성은 38.9%였고 2차 검사성적은 5.6%였다. 6. 연령별 발생분포는 $5{\sim}9$세군이 30.5%로 가장 높았으며 남녀 발생비는 남자가 여자보다 약간 높았다. 7, 교육정도는 국민학교 이하가 66.6%, 생활정도로는 저소득층이 77.8%로 각각 최고율을 점하고 있다. 8. 발병후 의료시설의 이용은 약국이 제일 높고 다음이 한약방, 의원의 순서였다.

  • PDF

미국 도심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독신가구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Housing Satisfaction of 55+ Single-Person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 이성진;안미라;권현주;김석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27-35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55 years and older (55+) single-person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with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Single-person householders younger than 55 years of age (55-) were used as a reference group. Housing Adjustment Theory was used to develop a research framework to depict the relationships of housing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with demographic and housing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health status, government income, race, gender, age of house, housing quality, neighborhood, structure type, and tenure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levels of both those aged 55- and 55+. However, for the cohort of 55+, education, census region, housing affordability, and structure size also affected their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of both groups. These variabl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sources and constraints contributing to their housing satisfac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resent and future housing trends and challenges of U.S. single householders in U.S. urban communities.

군집분석을 통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on Recreational Forest Visitors by Cluster Analysis)

  • 신현규;신홍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64-37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휴양림의 방문한 이용객들의 방문동기를 통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이용객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행동의도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그에 따른 세분화된 이용객들의 차별화된 마케팅 및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의 측정을 위하여 1년 이내에 자연휴양림을 이용한 적이 있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을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군집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의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유형화된 군집을 통하여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대한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 군집분석과 K-means군집분석을 통하여 2개의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2개의 군집을 다시 교차분석을 통하여 군집의 유형화를 실시하여 미혼의 100만원 미만의 군집과 기혼의 200~300만원의 군집 집단으로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이 군집을 자연휴양림 방문 후 행동의도간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 즐거운 시간을 보냄, 방문은 현명한 선택,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2인 기혼의 200~300만원의 집단에 더 높은 행동의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시 되며, 또한 자연휴양림 공익적 성격을 고려하여 각 집단에 대하여 모두 소구할 수 있는 서설 및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 된다.

해조류 Pulp 분리방법 및 응용연구 (Application Study and Pulp Separation Method by see weeds)

  • 류성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85-693
    • /
    • 2015
  • 본 연구에서 개발 예정인 해조류 펄프 분리 가공은 해조류자체의 배당체 및 다당류의 복합체로서 개발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정제 공정을 개발하고 응용기술을 도입하여 아직 미개척분야인 펄프 응용기술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제품이 개발 대량 생산되어지면 수출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생분해성 기능성소재 개발의 실용화로 어민 소득증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최종 목표는 1,2차년도의 기술적 데이터를 종합하여 해조류 펄프를 적용하여 생분해성이 향상되고, 고분자의 특수성질을 갖는 새로운 기능성 생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료 등의 원재료 제품 및 시제품개발을 목표로 한다.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ublic Library's Use Value)

  • 표순희;고영만;심원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23-3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용자의 진술을 통해 가치가 도출되는 CVM을 이용한 측정에서 응답자의 특성, 도서관의 특성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가치측정 연구에서 밝혀진 영향변인들을 분석하였고 여기서 나타난 영향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도서관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불의사액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자의 성별, 수입, 연령, 수입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빈도, 방문소요시간과 같은 이용형태이다. 만족도와 인식 영역에서는 정보, 시설, 프로그램의 세가지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서의 만족도, 주민교류의 장, 경제적 도움 정도, 문화예술지원자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국내 모든 유형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측정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과 규모별로 이용자가 평가하는 가치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향후 도서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자가용 승용차의 공간적 확산과정 (Spatial Diffusion Process of Private Passenger Cars in Korea)

  • 李種起;韓柱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2-65
    • /
    • 2001
  • 1985-1997년 사이에 자가용 승용차는 소득수준이 높고 서비스업이 발달한 서울.부산.대수시 등 대도시등 서울시의 위성도시에서 보급이 먼저 이루어지고 점차 공업도시와 지상 중심도시로 확산하는 한편, 대도시에서의 보급률 증가는 둔화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1985년과 1991년 모두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 서비스업 종사율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다 1997년에는 농업, 수렵업, 임업 및 어업 종사율이 새롭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자가용 승용차 보급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은 1991년을 기준으로, 1985-1990년은 서울시나 그 위성도시 및 지방 중심도시에서 보급률이 높았고 보급률의 지역간 격차가 켰던 시기이며, 1991-1997년은 지역적 보급이 평준화되면서 수도권지역 및 지방 주요 도시에 보급률이 높았던 시기이다. 자가용 보급 지역 유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인은 대도시에서는 서비스업 종사율과 소득이, 군 지역에서의 서울시로부터의 거리와 인구규모이다.

  • PDF

인적자본의 지역별·산업별 분포 그 외부효과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Across Korean Cities and Industries, and External Economies of Human Capital)

  • 장수명;이번송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1-33
    • /
    • 2001
  • 교육은 일반적으로 긍정적 외부효과를 가진 것으로 인식되어 교육에 대한 공공투자가 정당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5년 인구주택총조사와 1998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도시별 산업별 인적자본의 분포를 살펴보고 도시와 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수도권 도시들의 평균교육년수가 다른 지역 도시들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또 첨단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전통산업의 평균교육년수보다 크게 높았다. 교육과 경력을 포함한 개인의 특성, 기업규모, 지역특성, 산업을 통제한 후 도시의 평균교육년수가 1년 증가함에 따라 그 도시의 노동자의 임금이 약 3% 중가하고 개인의 특성, 기업규모, 산업 특성을 통제한 후 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1년 증가함에 따라 그 산업 노동자의 임금이 약 5~7% 증가한다.

  • PDF

은퇴 후 귀촌 희망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지역 간 차이 분석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holds that want to move to rural area after retirement.)

  • 노승철
    • 지역연구
    • /
    • 제31권2호
    • /
    • pp.29-45
    • /
    • 2015
  • 평균수명의 증가로 은퇴 후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자연환경을 찾아 귀촌을 희망하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은퇴 후 귀촌을 희망하는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찰하고 임의절편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귀촌 희망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도시가구의 약 27%는 은퇴 후 귀촌을 희망하고 있으며 중간 소득층, 40~50세, 고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귀촌 희망 비율이 높다. 귀촌 희망 가구는 사회경제적으로 중간계층에 속하는 집단이며, 주택보다는 소음, 대기오염 등 주거환경이 귀촌 희망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은퇴 후 자신의 경제적 능력으로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좀 더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누리는 것이 귀촌을 희망하는 가장 주된 이유로 볼 수 있다. 또한 고령자 중 귀촌자가 많았던 도시에서 귀촌 희망 비율이 높게 나타나 도시민들이 은퇴 후 귀촌을 희망하고 실행하는 데 귀촌에 대한 정보 제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도시 모델 개발을 위한 고베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Kobe City for Modeling of Healthy City)

  • 이자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8-202
    • /
    • 2012
  • 시민들은 도시생활에서 얻는 편리한 생활 및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도시의 환경과 건강, 생명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들의 삶과 밀접히 연관된 안전한 도시공간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도시의 환경이 곧 삶의 질과 연결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도시의 건조 환경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청결하고 건강한 도시를 개발하기 위한 계획에 주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1986년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던 건강도시에 관한 관심이 세계보건기구의 실천적인 노력과 함께 각 지역사회 차원에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추진되고 있다.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전개되고 있는 건강도시 정책은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건강도시 사업에 관한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건강도시 사업의 추진을 위해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건강악화 요인을 규제하고 건강증진 요인을 장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도시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도시로 주목받고 있는 일본 고베시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건강도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