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plane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5초

엘라스토머 임플란트를 사용한 엉덩이 확대 성형술 (Buttock Augmentation with Elastomer Implants)

  • 박봉권;김연환;안희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82-188
    • /
    • 2011
  • Purpose: The buttocks reg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llure and sex appeal for centuries. Gluteal implants enable buttocks remodeling in a way that is not possible in other methods. One of the reasons that render gluteal implant surgeries unpopular is the fear of complications, the main problems being seroma, wound dehiscence, extrusion, and a visible or palpable implant. The authors present the XYZ technique, which provides anatomical reference points to guide the intramuscular dissection procedure in a feasible and safe way, resulting in a lower complication rate. Methods: The XYZ procedure was done for buttock augmentation on 8 patients from December 2009 to June 2010. Patient's ages ranged from 27 to 44 with a mean age of 36. Seven patients were applied the 250cc sized Elastomer implants with one patient 290cc sized implant. Preoperative marking was done with the patients in the standing position. Bisection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was done at the midpoint thickness to create a plane for implant insertion, which is called the sandwich plane. Results: The 8 cases were performed safely without major complications. However one patient had minor wound dehiscence, and was manag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nother patient had a discomfort on the buttocks for a long tim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verage 6 months.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results.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XYZ technique for gluteal augmentation, the surgeon must split the muscle into two equal halves with anatomical reference points to guide the muscle detachment in a symmetrical way at an adequate depth. This method provides a guideline for the surgeon in determining the ideal plane during intramuscular dissection and gives predictable results with low complication rates. Intramuscular gluteoplasty with gluteal implants offers predictable, aesthetically pleasing results without contour irregularities and only a low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정상 성인의 운동 형상학적 보행 분석 (Analysis of Kinematic Parameters of Gait in Normal Subject)

  • 정화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89-2995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팔 움직임 종류에 따른 운동형상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45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네 가지 팔 움직임 종류인, 정상 팔 움직임 보행, 한 팔 움직임 보행, 두 팔 움직임 억제 보행, 파워 보행의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가 10m의 보행거리를 자연스럽게 걷는 동안 3차원 보행분석기인 Vicon동작 분석기의 6MX3카메라를 이용해서 측정을 하였다. 이 실험의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다. 팔 움직임에 따른 운동 형상학적 보행변수의 변화는 정상과 비교해 시상면에서 오른쪽 골반, 엉덩관절의 관절 운동범위, 관상면에서 골반, 엉덩관절, 허리부위에 관절 운동범위, 횡단면에서는 골반, 가슴부위, 허리부위의 관절 운동범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p<.05). 본 연구의 결과 팔 움직임의 형태에 따라 보행을 하게 되면 운동 형상학적 변화를 나타내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정상인과 환자들의 보행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sefulnes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for successful blind nasal intubation: a prospective study

  • Ito, Kana;Kamura, Ayaka;Koshika, Kyotaro;Handa, Toshiyuki;Matsuura, Nobuyuki;Ichinohe, Tatsuy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6호
    • /
    • pp.427-435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aryngeal morphology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using standar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to analyze the measurement items affecting the difficulty of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Methods: Assuming a line perpendicular to the Frankfort horizontal (FH) plane, the reference point (O) was selected 1 cm above the posterior-most end of the hard palate. A line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int and parallel to the FH plane is defined as the X-axis, and a line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int and perpendicular to the X-axis is defined as the Y-axis. The shortest length between the tip of the uvula and posterior pharyngeal wall (AW), shortest length between the base of the tongue and posterior pharyngeal wall (BW), and width of the glottis (CW) were measured. The midpoints of the lines representing each width are defined as points A, B, and C, and the X and Y coordinates of each point are obtained (AX, BX, CX, AY, BY, and CY). For each measurement,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acheal intubation success and failure groups.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linically relevant items. Results: The item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included the difference in X coordinates at points A and C (Odds ratio, 0.714; P-value, 0.024) and the ∠ABC (Odds ratio, 1.178; P-value, 0.016). Conclusion: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X-CX and ∠ABC between the success group and the failure group.

Multiloop edgewise Archwire 기법으로 치료된 전치 개교 증례의 두부방사선사진 계측학적 평가 (A CEPHALOMETRIC EVALAUATION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S TREATED BY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 문성철;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5-60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s treated by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echnique. The openbite sample consisted of 4 male and 12 female adults, treated with nonextraction or third molar extraction. The normal sample consisted of 58 subjects, which have pleasing facial profile and normal occlusion and no experience of orthodontic or prosthodontic treatment. The 58 subjects of normal sample were subdivided by cephale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The 40 subjects, cephalo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was in normal range, classified as Normal Sample group 1. The 18 subjects, increased cephalometric vertical relationship of face, classified as Normal Sample group 2. The computerized cephalometric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50 reference points for 22 skeletal measurements, 46 dentoalveolar measurements, 8 soft tissue measurement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arried out with paired t-test, Student's t-test, and DUNCAN test using SAS(PC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eletal measure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major changes were in dentoalveolar region. 2. After treatment, the long axi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posterior teeth were distally tipped-back, and uprighted to bisected occlusal plane. The interincisal angle was increased. 3.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pper posterior dental heigh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ower posterior dental height. The upp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in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bsolute upper anterior dental hight. The low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increased. 4. After treatment, the maxillary occlusal plane to palatal plane angle and the mandibular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Th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treatment group and normal sample group 2. 5. After treatment, the percentage of upper lip length to upper anterior dental height was decreased. Th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treatment group and normal sample group 2.

  • PDF

신호 전달 평면의 브릿지 라인을 이용한 EBG 구조 (EBG Structure Using Bridge Line in the Signal Transmission Plane)

  • 김병기;하정래;이준상;배현주;권종화;나완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86-79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EBG(Electromagnetic Band Gap) 구조에 존재하는 두 단위 셀을 신호 전달 평면상의 브릿지 라인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EBG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EBG는 단위 셀을 연결하는 비아 홀과 브릿지 라인으로 인해 전원면에서 SSN(Simultaneous Switching Noise)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였으며, 또한 신호 평면상에서 존재하는 신호선들 사이에서는 우수한 신호 전달 특성을 보였다. 제안된 구조의 EBG는 특정 사이즈에서 차단 주파수 1.2 GHz, 저지 대역폭은 8.3 GHz로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30 dB 이하의 저지 대역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대역의 저지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신호 평면상에 위치한 신호선이 우수한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전원면/접지면의 위치를 최종적으로 제안하였다.

Cone beam CT를 이용한 안면골격형태에 따른 상기도 공간 분석 (Pharyngeal airway analysis of different craniofacial morpholog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 김용일;김성식;손우성;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6-145
    • /
    • 2009
  • 상기도 공간은 3차원 입체 구조물로서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등으로 분석하기에는 평가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방사선 피폭량 등의 감소로 그 활용도가 높아진 cone beam CT (CBCT)를 이용하여 안면골격형태에 따른 상기도 공간의 면적, 전후방 폭경 및 측방 폭경을 측정하고 그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102명을 대상으로 CBCT (VCT, Vatech, Seoul, Korea)를 촬영하였으며, FH plane에 평행하면서 aa point (the most anterior point on the anterior arch of atlas), $CV_{2ia}$, $CV_{3ia}$ point (most infero-anterior point on the body of the second & third cervical vertebra)를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각 항목의 계측치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Duncan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안면 골격형태에 따른 측방 폭경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2 (Class II) 집단은 aa plane, $CV_2$ plane, $CV_3$ plane에 의해 형성된 상기도 공간의 단면적이 좁았으며, 전후방 폭경도 Group 3 (Class III)에 비해 유의성 있게 좁았다. 수직 안면골격형태와 정상 안면골격 형태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aa plane에서 형성된 상기도 공간의 전후방 폭경은 Group 1V (Class I vertical)가 Group 1N (Class I normal)에 비해 유의성 있게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H.264 High-Profile Intra Prediction 모듈 설계 (A design of High-Profile Intra Prediction module for H.264)

  • 서기범;이혜윤;이용주;김호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45-204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AMBA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는 H.264용 High Profile Intra Prediction을 구조를 제안한다. 설계된 모듈은 한 매크로 블록 당 최대 306 cycle내에 동작한다. 제안된 Encoder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JM 13.2로부터 reference C를 개발하였으며, reference C로부터 test vector를 추출하여 설계된 회로를 검증하였다. 우리는 Hardware cost를 줄이기 위하여 plan mode를 제거 하였고, SAD 계산 방법과 8 pixel 병렬처리 등을 사용하여 Hardware cost와 cycle을 줄이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Full HD1080@fps 영상을 133MHz clock에서 동작시킬 수 있으며, 합성결과 TSMC 0.18um 공정에 램 포함 25만gate크기 이다.

I급 부정교합자의 안면수직고경 및 교합평면경사도에 관한 치료전후 두부X-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FACIAL HEIGHT AND OCCLUSAL PLANE INCLINATION IN CLASS I MALOCCLUSION GROUP)

  • 강상훈;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128
    • /
    • 1995
  • 교정치료후 안면의 수직고경변화는 교정의에게 지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왔다. 특히 제1소구치발치증례와 비발치증례에서 수직고경변이로 인한 악관절상의 문제도 선학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악골의 전후방적인 골격부조화를 배제한 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피개정도 및 연령군에 따른 안면수직고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직고경변화에 따른 교합평면경사의 변화양상을 비교하여 향후 치료결과의 예측, 분석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I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되어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 35명, 비발치로 치료를 받은 환자 30명 중 수직피개량을 기준으로 I군(피개도<0mm), II군(0<피개도<4mm), III군(피개도>4mm)으로 분류하여 두부 X-선 계측사진을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 성장진행군 및 성장완료군으로 분류하여 역시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치료후 전안면고경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치료전후, 성장진행군의 교합면경사도는 세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장완료군에서는 각 군에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성장진행군은 전안면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성장완료군에 비해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우월하였다. 4. 교정치료후 제1대구치는 모든 군에서 교합평면에 대해 유의성 있게 직립하였다(p<0.05).

  • PDF

골격적 요소에 따른 교합평면 검사도의 보상적 변화 (Compensatory changes of occlusal plane angles in relation to skeletal factors)

  • 김현숙;김선영;이인성;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40
    • /
    • 2004
  • 본 연구는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의 교합평면경사도와 부정교합군의 치료 전후의 교합평면 경사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골격관계에 따른 교합평면의 치아 치조성 보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정치료 시 교합평면 설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61명의 정상교합자와 92명의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관계에 따른 교합평면 경사도를 비교하였다. 정상교합군은 전후방적 골격양상에 따라 골격성 I급군, II급군 III급 군으로 나누었으며, 수직적 골격양상에 따라서는 수평군, 정상군, 수직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계측치를 일원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치료전후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간의 비교에 있어 일정한 값을 보인 계측치는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이었다. 2. 치료 후의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는 II급 골격관계에서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III급 골격관계에서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정상교합군의 값에 근접하였다. 3. 정상교합군에서 AB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 경사도는 I급 골격 관계에서 $91.7^{\circ}$, II급 골격 관계에서 $88.8^{\circ}$, I격 관계에서는 $93.5^{\circ}$이었다.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Bionator의 적응증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N THE INDICATION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안석준;김종태;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bionator를 사용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후 결과를 토대로 치료전에 치료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을 알아봄으로써 성장하는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얻는데 있다. bionator를 사용한 앵글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48명의 치료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통해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양군의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비교분석을 통해 두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계측항목들을 알아보았고,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전 골격계측 항목으로는 ANB, facial convexity angle, AB to facial plane angle 등이, 치성계측 항목으로는 L1 to A-Pog, U1 to facial plane, L1 to facial plane 등이, 연조직 계측항목으로는 Ricketts esthetic line 상에서 상, 하순의 돌출도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SAS t-test, p<0.05). 2. 판별분석을 통해 유의성있게 나타나는 항목의 순위를 본 결과 L1 to facial plane, 하순의 돌출도, ANB과 FMIA 등이 양군의 치료결과의 예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증감판별분석을 통해 서로 독립적이며 상관계수가 높은 3개의 변수 - L1 to facial plane, articular angle, ANB- 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판별식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