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model 구축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9초

만성질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 박은숙;이숙자;박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44-357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model that predicts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The hypothe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past studies on quality of life and on the family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0 family caregivers in Seoul & Kyung Gi-Do, from May 1 to July 21, 199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LISREL) modeling process was used to find the best fit model which predicts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moderate [X$^2$=31.54(df=23, p=.11), GFI=.96, AGFI=.91, RMR=.04]. 2. Paths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both its theoretical implicat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stimates.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vised model has become parsimonious and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expect chi-square value(GFI=.95, AGFI=.91, RMR=.04). 3. Some of predictive factors, especially economic status, physical ability to perform daily-life activity, period after disease-onset, social support and fatigue revealed in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4. The factors, burden and role satisfaction reveal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5. All predictive variables of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especially economic status, physical ability to perform daily-life activity, period after disease-onset, social support, fatigue, burden and role satisfaction explained 38.0%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model. In conclusion, the derived model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ppropriat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with a chronically ill patient. Therefore it can effectively be used as a reference model for further studies and suggests direction in nursing practice.

  • PDF

BSC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BSC System Implementation in Korean Public Firms: Focused on KOTRA)

  • 김성수;이학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33-257
    • /
    • 2007
  • 1992년 BSC가 소개된 이후로 회사에서 직원의 행동과 목표에 조직의 전략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관리도구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비록 사람들은 많은 회사들이 BSC를 통하여 그들의 업무에서 많은 효과성을 높였다고 알고 있지만, 공기업의 경우는 민간기업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경영혁신 도구로서 BSC 구축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공기업들 중에서 KOTRA의 BSC는 초기에 도입되었고,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KOTRA의 BSC 시스템 구축사례를 통하여 성공요인들과 문제점들을 제시하였고, 나아가서는 국내 공기업에서 BSC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좋은 참조모형이 되리라 사료되어진다.

다크 아카이브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정보패키지 구축 (Construction of Information Packages for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Dark Archives)

  • 박효은;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61-281
    • /
    • 2020
  • 다크 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록물을 장기적으로 보존하는 활동은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나, 현재 다크 아카이브에서는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최적화된 정보패키지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크 아카이브의 핵심적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OAIS 참조모델 정보패키지를 재구성하여 4개의 카테고리를 제안하였다. 각 카테고리의 세부 기술항목은 OAIS 참조모델, ISO 23081,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ISAD(G), ISAAR(CPF), ISDF, ISDIAH를 기반으로 총 4개의 상위요소와 27개의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이는 다크 아카이빙에 최적화된 정보패키지 구성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전자기록물의 장기 보존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바람자원의 TMY(typical meteorological year)구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lgorithm for Typical Meteorological Year Generation for Wind Resource of the Korean Peninsula)

  • 김혜중;정선;최영진;김규랑;정영림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943-960
    • /
    • 2009
  • 본 연구는 한반도 바람자원 TMY(typical meteorological year)의 구축에 적절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전국 77개 기상관측소에서 1998년~2008년 기간 동안 관측한 바람자료에 적용하여 TMY를 구축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Filkenstein-Shafer(FS) 통계모형 하에서 정의된 다양한 통계를 사용하여 연/원별 바람자료의 설명력 측도인 TMM(typical meteorological month)점수를 구하고, TMM점수에 기준하여 TMY를 구축하는 절차이다. 알고리즘은 두 단계 계산알고리즘으로 구성되었으며, 첫 단계는 각 관측소의 바람개황 그리고 둘째 단계는 한반도의 바람개황을 대표하는 TMY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11년 바람자료와의 비교분석, 경쟁모형에 의해 구축된 TRY(typical reference year)들과의 비교, 기상요소 추가에 따른 TMY의 영향평가 등 여러 종류의 비교 및 평가를 통하여 한반도 바람자원의 개황에 대한 TMY의 대표성과 효용성을 보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읍면동단위 기준증발산량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Database for Future Climate Scenarios)

  • 김태곤;서교;남원호;이제명;황세운;유승환;홍순욱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71-80
    • /
    • 2016
  • Meanwhil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ET0)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agricultural management including irrigation planning and drought assessment, the database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for future periods was rarely constructed especially at districts unit over the country.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provides several meteorological data such as precipitation, average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radiation for long-term future period at daily time-scale. This study aimed to build a database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climate forecasts at high resolution (the outputs of HadGEM3-R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o estimat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e implemented four different models such as FAO Modified Penman, FAO Penman-Monteith, FAO Blaney-Criddle, and Thornthwaite. The suggested database system has an open architecture so that user could add other models into the database. The database contains 5,050 regions' data for each four models and fou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developed database system provides selecting features by which the database users could extract specific region and period data.

열펌프의 고장감지 및 진단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시간 정상상태 진단기법 개발 (Technology for Real-Time Identification of Steady State of Heat-Pump System to Develop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System)

  • 김민성;윤석호;김민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4호
    • /
    • pp.333-339
    • /
    • 2010
  • 고장감지 및 진단(FDD) 시스템의 구축의 기초 연구로 정상상태 진단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상태에 대한 진단은 시스템 전체를 관찰하거나 몇몇 필요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가능하다. 최적화된 정상상태 진단기를 이용하면 FDD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정상운전 시의 기준모델(no fault reference model)을 자가학습을 통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열펌프가 냉방조건으로 작동할 경우에 대해 이동창을 기반으로 7개의 측정값들에 대한 표준편차를 분석함으로써 정상상태 판정을 내리도록 하였다. 정상상태 진단기의 작동의 여부는 실내부하를 조절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열펌프 등의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에 대하여 이동창을 기반으로 한 정상상태 진단기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적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국가기반 전자기 록관리시스템 참조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Reference Model of Korean Recordkeeping System for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 서혜란;서은경;이소연;오경주;정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1-333
    • /
    • 2006
  • 기록정보의 중요성이 급격히 강조되고 있는 실정에서 기록정보의 국가지식자원화에 대한 요구가 크게 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술적 및 법 제도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통합적 정보자원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국가기반의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참조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자기록물을 국가지식정보자원화 할 필요성과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 정보자원관리의 국내 사례로서 정부지식관리시스템과 국가지식포털을 분석하였고 미국의 전자기록아카이브(ERA) 프로그램과 유럽연합의 EUN 및 COVAX을 소개하였다. 다음, 전자기록관리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정보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록정보관리시스템 연계 아키텍처, 국가지식자원 통합 환경 아키텍처, 범 환경 통합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참조모형을 제시하였다.

지역난방 수용가측 효율관리를 위한 IoT 기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oT based System for District Heating Customer-sid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 윤정미;이상학;안창구;엄재식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113-122
    • /
    • 2017
  • 우리나라 집단에너지 사업의 주요축인 지역난방 시스템은 경제성 있는 열에너지 공급시스템으로 국민편익과 안전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하지만 관리주체의 불명확함, 전문기술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공동주택 수용가측의 열효율저하, 요금 불공정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사각지대인 지역난방 수용가측 설비의 효율 및 고장관리를 위해 필요한 모니터링 포인트를 제안하고, 이를 표준화 하기 위한 표준참조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IoT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역난방 수용가시설에 대한 서비스 질 개선과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적 방법론을 제안한다.

GIS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가로수정보 관리프로그램 구축 (Construction of Street Trees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ing GIS and Database)

  • 김희년;정성관;박경훈;유주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6권
    • /
    • pp.45-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street trees management program for more an effective street trees management. The principal point of this program is to relate spatial data and attribute data that is the main concept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do this function, MapObjects which is ESRI's mapping and GIS components was used to process spatial data and Acces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MS was used to manipulate attribute data in this program. Visual Basic also was used to design and develop user interfaces and procedures, relate two sort of data, and lastly complete Application. Relational data model was adopted to design tables and their relation, Antenucci's GIS development model was selected to design and complete this program. The configuration of this application is composed of management data and reference data. The management data includes the location of street tree, a growth condition, a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haracters of tree, an equipments, a management records and etc. The reference data include general information about tree, blight and insects.

  • PDF

온도인자를 활용한 비정상성 기준증발산량 대체모형 개발 (Nonstationary Surrogate Model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Based on In-situ Temperature Data)

  • 김호준;응웬 티 흐엉;강동원;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96-96
    • /
    • 2021
  • 수문기상인자 중 하나인 증발산량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 시 고려되며, 특히 물수지 모형 등의 입력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 기상청 및 국제기구에서는 직접 관측이 아닌 FAO56 Penman-Monteith(PM)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있다. FAO56 PM 방법은 복사(radiation), 대기온도(air temperature), 습도(humidity), 풍속(wind speed) 등의 기상인자로부터 기준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ipiration)을 추정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FAO56 PM 방법은 많은 기상인자를 요구하므로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일부지역에 대한 증발산량 자료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비정상성(nonstationary)을 고려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인자 기반의 대체모형(surrogate model)을 개발하여 기준증발산량의 비정상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한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Bayesian 추론기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시간에 따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체모형으로 산정된 증발산량을 활용해 가뭄지수인 EDDI(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를 제시하였다. 가뭄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안내를 위해 개발된 EDDI를 활용하여 기존 가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초단기 가뭄(flash drought)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미계측 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수자원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