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erence Object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5초

Interactive Digital Signage에 광고의 마케팅이 소비 경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Impact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Advertising on Consumption Tendency)

  • 양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11-417
    • /
    • 2020
  • 본 연구는 옥외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의 Interactive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옥외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의 광고를 전통적인 형태의 광고와 비교하여 소비하는 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문헌 자료와 실 사례 분석의 연구방법으로 선행 연구는 아울러 인터넷 및 인공지능의 발전이 Interactive Digital Signage 광고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비 추세와 습관을 결합하여 Interactive Digital Signage 광고의 특징과 199IT Interactive Digital Signage 인터넷 자원 데이터 창고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실례 분석 방법으로 Interactive의 광고에 소비자의 소비 경향 영향의 3가지 요인이 있다는 것을 제출한다. 목적은 이후 기업이 Interactive Digital Signage를 사용하여 광고 투자에 대한 참고를 진행한다. 기업을 도와 생산품의 판매량을 높이고, 상품 가치와 거래처에게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

Injection Flaws를 중심으로 한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시스템 개발 (A Study of Development of Diagnostic System for Web Application Vulnerabilities focused on Injection Flaws)

  • 김점구;노시춘;이도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9-106
    • /
    • 2012
  • 오늘날 대표적 웹 해킹 공격기법은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XSS)과 인젝션 취약점 공격, 악성 파일 실행, 불안전한 직접 객체 참조 등 이다. 웹해킹 보안시스템인 접근통제 솔루션은 웹 서비스로 접근하는 패킷을 통제하지 않고 내부로 유입시킨다. 때문에 만약 통과하는 패킷이 악의적으로 조작 되었을 경우에도 이 패킷이 정상 패킷으로 간주된다. 이때 방어시스템은 적절한 통제를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웹 서비스를 보증하기 위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시스템 개발이 실질적이며 절실히 요구되는 대안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시스템 개발은 개발절차 정립, 웹 시스템 취약점 진단범위 설정, 웹 어플리케이션 분석, 보안 취약점 점검항목 선정의 단계가 진행 되어야 한다. 그리고 진단시스템에서 필요한 환경으로서 웹 시스템 사용도구, 프로그램언어, 인터페이스, 변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Observable Behavior for Implicit User Modeling -A Framework and User Studies-

  • Kim, Jin-Mook;Oard, Douglas W.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3-18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observable behavior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user modeling, and it reports the results of a pair of user studies that examine the joint utility of two specific behaviors. User models can be constructed by hand, or they can be teamed automatically based on feedback provided by the user about the relevance of documents that they have examined. By observing user behavior, it is possible to obtain implicit feedback without requiring explicit relevance judgments. Four broad categories of potentially observable behavior are identified : examine, retain, reference, and annotate, and examples of specific behaviors within a category are further subdivided based on the natural scope of information objects being manipulated . segment object, or class. Previous studies using Internet discussion groups (USENET news) have shown reading time to be a useful source of implicit feedback for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s. The experiments reported in this paper extend that work to academic and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and abstract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ing behavior and reading time. Two user studies were conducted in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examined articles or abstracts from the telecommunications or pharmaceutical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time can be used to predict the user's assessment of relevance, that the mean reading time for journal articles and technical abstracts is longer than has been reported for USENET news documents, and that printing events provide additional useful evidence about relevance beyond that which can be inferred from reading time. The paper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ported results.

  • PDF

기상 상태 변화에 따른 직육면체의 재질별 표면온도 변화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s Constructed by Different Materials for Varying Meteorological Conditions)

  • 김동건;최준혁;길태준;김정호;김태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8-214
    • /
    • 2012
  • The spectral radiance received by a remote sensor is consisted of the self-emitted component directly from the target surface, the reflected component of the solar irradiance at the target surface, and the scattered component by the atmosphere without ever reaching the object surface. In general, the self-emitted component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infrared signatures from the target. We measured the solar irradiation, sky irradiation, air temperature,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relativ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together with the surface temperatures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The measured diurnal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on the three different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constructed by the steel, aluminum and bakelite are obtained at the same time intervals.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results show that the top surface temperature of bakelite recorded up tp $7.6^{\circ}C$ higher than that of aluminium and $6.1^{\circ}C$ higher than that of steel at 11 AM on the sunny condition. A complete set of measured data includ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together with the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can be a valuable reference for future study.

SCORM 기반의 학습자 수준별 콘텐츠 구성 시스템 (SCORM-based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on Learners' Level)

  • 허선영;김은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77-1283
    • /
    • 2010
  • 많은 이러닝 시스템들은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러닝 시스템들은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학습 난이도를 평가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SCORM은 런-타임 시 학습자의 수준 변화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어렵고, 선택적 학습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 때문에 학습도중에 난이도를 변경하면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COR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 도중 학습자의 수준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수준을 재평가하여, 변화된 수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준별 콘텐트 구성 시스템(SCOS)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 단원 학습 도중 퀴즈가 제시되는 시점을 불규칙적으로 지정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몰입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수준 평가를 기반으로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완할 계획이다.

RTOS 용 원격 대화형쉘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a Remote Interactive Shell for RTOS)

  • 김대희;남영광;김흥남;이광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4호
    • /
    • pp.677-686
    • /
    • 2002
  • 내장형 시스템의 실시간 운영체제(RTOS)에서는 메모리와 CPU 속도 등의 제한적인 환경에서 원하는 기능을 최적으로 최단시간에 구현할 수 있는 개방형 개발도구 환경이 요구된다. 이러한 개방형 개발환경에는 타겟 시스템에 최소의 부담을 주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원격지에서 대화식으로 빠르게 접근, 참조, 제어 할 수 있는 원격 대화형 쉘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에서 모듈별 로딩, 태스크의 스폰과 더불어 태스크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원격 대화형 쉘 프로그램의 설계와 그에 대한 구현방법을 기술하고 원격지에서 타겟의 부담을 최소화하여 실시간 운영체계에서 정보접근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개발환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대화형 쉘은 Q-PLUS RTOS와 연동되어 작동하며 ARM계열의 EBSA285 타겟보드와 NT 호스트상에서 구현, 테스트되었다.

간섭계 형태에 따른 광단층 촬영장치의 SNR 비교 (Comparison of Signal to Noise Ratios in different configulation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s)

  • 양승국;박양하;장원석;오상기;김현덕;김기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04-806
    • /
    • 2004
  • 인체에 무해하며 고분해능의 단층영상과 저가격 및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인 광영상 단층촬영기(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 OCT)에 관한 것이다. 샘플에서 흡수와 산란으로 인하여 샘플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는 매우 미약하다. 게다가 커플러등에 의한 손실로 인하여 광검출기에 도달하는 신호는 매우 미약하다. 이러한 On시스템의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본적인 마이켈슨 간섭계와 마흐젠더 간섭계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과 기준샘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마흐젠더 간섭계를 사용한 샘플로 반사된 광신호는 OCT 시스템의 신호대 잡음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가지 형태의 간섭계를 구성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비교 분석과 기준 샘플의 측정에 의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마흐젠더 간섭계형 OCT 시스템이 신호대 잡음비가 향상됨을 확인 하였다.

  • PDF

온톨로지 기반 e-Learning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for e-learning Based on Ontology)

  • 신창하;박종훈;김철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마주치게 되는 질의와 문제들의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 누구나, 적시적, 적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참고문헌들의 연구를 통해 시멘틱 웹과 온톨로지 이론를 고찰한 후 문제를 풀 수 있는 온톨로지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온톨로지는 특정하게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유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검색결과의 정확성이 더욱더 높아지고, 학습자 모두가 공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이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의문점을 해결하고 학습한 것을 재확인할 수 있는 전자회로 교과에 관한 온톨로지 프레임을 구축하여 온톨로지 기반 e-learning 적용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NPP 매질내에서 공간주파수 응답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의 깊이 분해능 개선을 위한 복원 방법 (The Reconstructive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Depth Resolution for Acoustic Image using the Spatial Frequency Response in NPPs' Material)

  • Koo, Gil-mo;Kim, Hyun;Park, In-h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26-43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현미경의 동작주파수 변화에 따라서 획득한 영상의 조합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고체내부의 영상을 복원하는 경우, 얻어진 영상들은 표면이 상태가 중첩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위상체 영상들은 내부 영상의 콘트라스트 개선에 활용되어 질 수 있다. 실험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시편이 사용되었다. 첫째는 NPP내부에서 스팀 발생장치의 주 파이프의 매질측면에 1/4T, 1/2T, 3/4T의 홀 결함을 갖는 기준 블록이고 다른 시편은 직경이 1-2mm인 반구형태의 시편이다. 실험결과 기본의 영상처리 방법에 비하여 결함 형태에 대한 콘트라스트가 2배 정도의 향상을 보였다. 실험을 위하여 반사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쿼드러춰 검출기를 사용한 초음파현미경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앞으로는 진폭과 위상영상의 재구성 방법과 결함영상의 콘트라스트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져야겠다.

  • PDF

변형된 모젯 변환을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회전 프레임 보정 (Correction of Rotated Frames in Video Sequences Using Modified Mojette Transform)

  • 김지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2-49
    • /
    • 2013
  • 비디오 열의 각 프레임에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물체의 평행 이동 및 회전 운동이 반영된다. 이 때 물체의 불필요한 회전 운동은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시청자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촬영 중 카메라의 불필요한 흔들림으로 인한 프레임의 회전을 변형된 모젯변환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모젯 변환은 이산 라돈 변환의 한 종류로서, 회전된 프레임의 보정에 적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형한다. 먼저, 보다 정확한 회전각 추출을 위해 보간을 이용하여 bin 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현재 프레임과 기준 프레임에 대해 움직임 추정을 적용하여 카메라의 평행 이동을 보상한 후,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bin 값의 변화가 없는 영역을 설정하여 모젯 변환을 적용한다. 또한 모젯 변환의 각 투영 방향에 대해 한 개만의 bin을 계산함으로써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평행이동 및 회전 운동을 갖는 다양한 시험 비디오 열에 대해 적용된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프레임의 회전을 보정하는데 매우 효율적임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