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rice

검색결과 592건 처리시간 0.023초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제조기술 (Manufacture technology of tofu shake added with red rice)

  • 조은정;이상수;권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42-9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국쌀에서 분리한 M. purpureus KCCM 60570을 찐 쌀에 1.0% (w/w) 접종 후 $25^{\circ}C$에서 배양하면서 홍국쌀 제조 조건 확립 및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두부 셰이크에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기호도 조사를 통해 적정한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M. purpureus KCCM 60570으로 제조한 홍국쌀의 monacolin K와 곰팡이수를 확인한 결과 배양 8일차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완만히 증가하여 홍국쌀의 적정제조온도 및 시간은 $25^{\circ}C$에서 8일로 나타났다. 기존의 두부 셰이크에 M. purpureus KCCM 6057으로 $25^{\circ}C$에서 8일간 제조한 홍국쌀을 서로 다른 농도로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관능검사 결과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0.5%(w/w)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부 셰이크의 적정 홍국쌀 혼합 비율은 0.5% (w/w)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국쌀을 0.5% (w/w) 첨가한 두부 셰이크와 기존 시판 두부 셰이크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홍국쌀 첨가 두부 셰이크의 환원당과 총당함량, 붉은 색소인 monacolin K와 색도 a 값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두부 셰이크와 0.5% (w/w)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와의 관능검사를 비교한 결과 색과 조직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두부 셰이크 제조에 홍국쌀을 첨가할 경우 두부 셰이크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미 첨가에 따른 백설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red rice flours)

  • 전현일;박수진;이수정;김영수;송근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14-620
    • /
    • 2013
  • 고품질 쌀인 적미(자광찰)을 습식제분한 후에 건조하여, 이를 0~12%까지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제조한 백설기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적미 쌀가루의 수분 5.3%, 조단백질 9.5%, 조지방 2.0%, 조회분 1.1% 및 amylose 4.7%이었다. 적미 쌀가루를 첨가한 멥쌀가루의 호화특성은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및 치반점도는 적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호화개시 온도는 71.3~72. $2^{\circ}C$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설기의 색도는 명도(L) 값 48.4~67.2, 적색도(a) 값 -2.5~3.5 및 황색도(b) 값 7.1~7.5이었고, 수분함량은 34.2~38.9%로 적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은 감소하였으나, b 값과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백설기의 ${\beta}$-amylase 호화도는 초기에 2.4~3.4 mg/mL에서 1일 후에 0.9~1.6 mg/mL로 저장시간이 증가할수록 maltose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동일한 시간(제조 1일)으로 비교해보면, RRWM0보다 RRWM12의 maltose의 함량이 약 2.0배 높게 나타났다. 백설기의 조직감은 적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백설기의 관능평가는 색 5.1~7.9, 단맛 6.1~7.0, 씹힘성 4.1~7.3 및 전반적 기호도는 5.8~7.9이었다. 결과적으로 백설기의 호화특성, 수분함량, 색도, 수분함량, 조직감 및 관능평가는 적미 첨가량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적미 첨가랑이 증가할수록 호화특성의 강하점도와 치반점도의 감소, 수분함량과 ${\beta}$-amylase 호화도의 증가는 백설기의 품질개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백설기를 제조할 때, 적미를 12%까지 첨가하여도 조직감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적미를 8%로 첨가했을 때,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홍국과 보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특성과 HMG-Co A Reductase 저해활성 (Characteristics and HMG-Co 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Kochujang) Prepared from Red-Rice and Barley.)

  • 현광욱;노재덕;임성일;차성관;최신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3-17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 (Kochujang). Five individual models of Kochujang were prepared the following: control, glutinous rice containing 50% (A) and 100% (B) of barley, glutinous rice containing 1.5% (C) and 3.0% (D) of red rice. These Kochujangs were prepared and fermented for 60 days at 30 in a crock, and examined for changes in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distinguishable change in their pH, acidity, formol-N content.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values were decreased rapidly until 20 days of fermentation. After 60 days, the values of L-, a- and b- of A, B Kochujang were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C, D Kochujang. Sensory profiles of color, flayer, taste and overall quality on the final products which fermented for 60 day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quality of each models. HMG-Co 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in 1.5% of red rice containing Kochujang.

홍국 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 김철암;김은수;은종방;왕승진;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9-314
    • /
    • 2007
  • 멥쌀에 홍국 쌀을 각각 0,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되었고 총산의 함량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의 함량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였다. 색도 중 L값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a와 b값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성분은 esters, aldehydes, alcohols, acids로 분류되었고 과일향의 주성분인 esters의 함량은 10% 홍국 쌀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제일 많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10% 홍국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이나 관능적 특성으로 보아 10% 홍국 쌀을 첨가하는 약주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Anthocyanin Profiling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elected Pigmented Rice Varieties

  • ;;;;;;;김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7
    • /
    • 2011
  • BACKGROUND: Anthocyanins have been recognized as health-enhancing substances due to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hypoglycemic effects.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anthocyanins-rich rice grain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or functional food colorants METHODS AND RESULTS: Rice grains of one black and three red-hulled rice varieties were extracted with acidified 80% aqueous methano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was screened on TLC plates and in an in vitro assay using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as a free radical source. Red-hulled rice varieties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88%, 1 mg/mL) than black rice (67%, 1 mg/mL). Among the red-hulled varieties tested, rice variety SSALBYEO54 (901452) was the most active (72%, 0.5 mg/mL). Rice extracted anthocyanin compounds were analyzed by HPLC-DAD-FLD and LC-MS/MS. Red-hulled varieties comprised cyanidin-3-glucoside in addition to ferulic acid esters, apigenin and kaempferol glycosides. CONCLUSION(s): Anthocyanins identified in the black rice variety were cyanidin-7-O-galactoside, cyanidin-3-Oglucoside, cyanidin-3'-O-glucoside, cyanidin-5-O-glucoside, cyanidin-3, 7-O-diglucoside, cyanidin-3, 5-O-diglucoside and peonidin-4'-O-gluco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lack rice (IT212512) and red-hulled rice variety SSALBYEO54 (901452) contain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for potential use in nutraceutical or functional food formulations.

홍국쌀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ae Made with Monascus Anka Rice)

  • 나성주;최상호;이선호;안종성;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56
    • /
    • 2013
  • 홍국쌀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홍국쌀을 첨가한 식혜의 당화과정 중 pH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당도는 증가 하여 식혜 제조를 위한 최적의 당화시간은 $^{\circ}Brix$의 증가가 최대인 4시간 이후부터 5시간 사이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쌀 식혜의 pH는 홍국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도와 환원당은 변화가 없었다. 색도는 홍국쌀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으며, 탁도는 증가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의 변화는 홍국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은 값을 보였다. $4^{\circ}C$에서 저장을 하여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홍국쌀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저장성이 향상이 되었다. 기호도는 40% > 50 %> 30%, 20% > 0%, 10%순이었으며 홍국쌀의 첨가량은 40-50% 미만으로 첨가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보여 지며, 홍국쌀의 첨가는 식혜에 붉은색을 나타내어 관능적으로 좋은 점수를 나타냈고, 항산화성의 향상과 미생물 생육억제작용이 나타나 제품의 저장성과 기호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Conditions for Saccharification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Sikhye

  • Hur, Sang-Sun;Choi, Suk-W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191-195
    • /
    • 2007
  • Red ginseng sikhye is one of Korean unique beverages with the addi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of ginseng. Considering economical and mechanical efficiency and quality of sikhye, the optimum conditions for saccharification is to saccharify at 90 degree celsius for 3 hours in the composition of 4% of malt, 20% of steamed rice, and 6% of red ginseng power. The red ginseng sikhye has high soluble solid content over 33% compared with conventional commercial sikhye. On the other hand, ginseng sikhye, which shows low pH, has more or less higher acidity than conventional commercial one. Especially the turbidity of the red ginseng sikhy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sikhye, due to as high amount of rice as 20% compared with 3% in the commercial one. The use of high quantity of rice affected the level of turbidity in red ginseng sikhye. In this study, we wanted to establish optimum conditions for saccharification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sikhye which contains effective herbal medicinal ingredients maintaining the original taste of traditional sikhye.

Anti-invasive Activity against Cancer Cells of Phytochemicals in Red Jasmine Rice (Oryza sativa L.)

  • Pintha, Komsak;Yodkeeree, Supachai;Pitchakarn, Pornsirit;Limtrakul, Pornngar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601-4607
    • /
    • 2014
  • Red rice contains pharmacological substances including phenolics, oryzanol, tocotrienol and tocopherol. Recently, red rice extract has been employed as a source of antioxidants for inhibition of tumor grow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invasion effects of red rice extract fractions on cancer cells. It was found that at $100{\mu}g/ml$ of crude ethanolic extract (CEE), hexane fraction (Hex) and dichloromethane fraction (DCM) could reduce HT1080 and MDA-MB-231 cancer cell invasion. Hex and DCM revealed higher potency levels than CEE, whereas an ethyl acetate fraction (EtOAc) had no effect. Gelatin zymography revealed that Hex decreased the secretion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9 (MMP-2 and-9). In contrast, the DCM fraction exhibited slightly effect on MMPs secretion and had no effect on MMPs activity. Collage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Hex and DCM fractions. High amounts of ${\gamma}$-oryzanol and ${\gamma}$-tocotrienol were found in the Hex and DCM fractions and demonstrated an anti-invasion property. On the other hand, proanthocyanidin was detected only in the CEE fraction and reduced MDA-MB-231 cells invasion property.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proanthocyanidin, ${\gamma}$-oryzanol and ${\gamma}$-tocotrienol in the red rice fraction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anti invasion activity. The red rice extract may have a potential to serve as a food-derived chemotherapeutic agent for cancer patients.

홍국쌀 첨가 타락죽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Milk Porridge) prepared with Red Yeast-Rice)

  • 김세한;박범우;김재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3-319
    • /
    • 2015
  • This study encouraging the consumption of rice. The Tarakjuk in which red yeast rice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water content 78.31%. The viscosity of RRT20, which had the largest amount of red yeast rice, was the lowest for 4,125.50, and pH was the highest in RRT0 The sugar content of Tarakjuk with red yeast rice was the highest in RRT0 for. lightness (L) was lowest in RRT20 which had the largest amount of red yeast rice for, and its red and yellow lighteners were also the highest for respectively. storage at $4^{\circ}C$, no microorganism found for 0 to 1 day of storage but found in every group. The group showed the smallest of microorganism for $2.9{\times}10^2CFU/mL$. On the 7 day, microorganism also found 40% added showed the smallest of microorganism for $3.1{\times}10^4CFU/mL$. The color of the 20% added group, 6.74,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4.87,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flavor was the in the 30% added group for 5.90, and taste was the in the 20% added group for 6.01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for 4.91. The after taste was the in the 30% added group for 5.48. The viscosity of the 40% added group was higher for 5.39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r 5.06,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verall preference was rated highly, and the 20% added group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5.57.

홍국분말 첨가에 따른 닭다리살 소시지의 품질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Thigh Meat Sausage Manufactured with Red Yeast Rice Powder)

  • 최주희;김지혁;김봉기;박희복;김계웅;김학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15
    • /
    • 2019
  • 본 연구는 홍국분말 함량(0%, 1%, 2% 및 3%)에 따른 닭다리살 소시지를 제조함에 있어 닭다리살 소시지(대조구)는 1.2% NPS(Nitrite Picking Salt)를 사용하였고, 홍국분말 1%, 2%, 3% 닭다리살 소시지는 1.2% 정제염을 첨가하여 홍국분말 첨가에 따른 적색도 발현효과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국분말 첨가량에 따른 가열 전 후 pH는 홍국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 홍국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소시지의 pH가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닭다리살 소시지의 가열 전과 후의 명도와 황색도는 홍국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적색도는 홍국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닭다리살 소시지의 가열 수율은 홍국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닭다리살 소시지의 경도는 홍국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3% 첨가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탄력성과 응집성은 3% 홍국분말을 첨가한 닭다리살 소시지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홍국분말 1%를 첨가한 닭다리살 소시지의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육가공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