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ine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an aqueous red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Glycine max)

  • Hwang, Jeong-Sook;Bae, Jeong-Jin;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3호
    • /
    • pp.279-286
    • /
    • 2011
  • The effect of allelochemicals on growth, root nodule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ion patterns of soybeans were investigated. We prepared 50 g/L (T50), 100 g/L (T100), and 200 g/L (T200) extract concentrations by soaking fresh red pine needles in a nutrient solution. Adding needles to the nutrient solu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acids, osmolality, and total ions.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the T50, T100, and T200 extracts were $206{\pm}12.61$, $335{\pm}24.16$, and $603{\pm}12.30$ mg gallic acid equivalents, respectively. The $K^+$, $Mg^{2+}$, $Ca^{2+}$, and $PO_4^{3-}$ content increased by adding needles to the nutrient solutions, whereas $SO_4^{2-}$ content decreased. The growth inhibition of soybeans was proportional to the needle extract concentrations, and the T100 and T200 concentrations resulted in remarkable growth inhibition. On day 20 after treatment, dry weight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the root nodules were reduced by the T100 and T200 treatments, whereas the T50 treatment was no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After day 10, total ion content in all treatment groups was not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owever, total ionic content in all treatment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after day 20. The lowest total ion value was found for the T200 concentration. The T200 treatment also resulted in significantly reduced $SO_4^{2-}$ content. The amounts of $Mg^{2+}$, $Ca^{2+}$, and $Mn^{2+}$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for the T50 treatment on day 10 and for T100 on day 20 after treatment. A significant increase in osmolality was observed in the T200 treatment on day 10 and in the T100 treatment on day 20.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 severe allelochemical stress conditions, a remarkable reduction in nodule formatio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ion uptake eventually resulted in a decrease in leaf production. Furthermore, increased $K^+$, $Mg^{2+}$, $Ca^{2+}$, $Mn^{2+}$, and osmolality in soybeans exposed to lower concentrations of allelochemicals than the critical stress level helped overcome the stress.

cpSSR haplotype에 근거한 소나무 전형매차대목(全兄妹次代木) 검정(檢定) (Identification of True Full Sib Progenies of Japanese Red Pine via cpSSR Haplotyping)

  • 홍용표;권해연;한상억;최완용;김용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78-182
    • /
    • 2005
  • 소나무의 2년생 인공교배(人工交配) 전형매차대목(全兄妹次代木) 114개체를 대상으로 화분친(花粉親)이 아닌 개체의 화분에 의해 생성된 차대목(次代木)을 식별하기 위하여 부계유전(父系遺傳)되는 반수체(半數體) 표지자인 cpSSR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3개의 cpSSR primer를 이용한 PCR 분석을 통하여 화분친(花粉親)과 3개 모수(母樹)의 haplotype 조합을 결정하고, 이에 의해 각 개체의 DNA 지문이 확인되었다. 동일한 cpSSR primer를 사용하여 전형매차대(全兄妹次代) 114개 개체목의 haplotype을 확인하고 이를 화분친(花粉親) 및 3개 모수(母樹)에서 확인된 haplotype 조합과 비교한 결과, 이들 중 14개체에서 인공교배(人工交配) 화분친(花粉親)과 다른 cpDNA haplotype이 확인되어 이들이 교배에 사용된 화분친(花粉親)이 아닌 타개체로부터 유입된 화분에 의해서 생성된 개체로 동정되었다. 특히, 강원30으로부터 생산된 차대(次代) 중 한 개체목은 불완전한 제웅(除雄)이나 인공교배(人工交配)시 모수(母樹)에서 생산된 화분의 유입으로 인해서 야기된 자가교배(自家交配)에 의해서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cpSSR 지문분석은 향후 자연림내 친계차대목(親系次代木) 감별과 삽목, 접목 및 조직배양에 의한 무성번식묘(無性繁殖苗)의 동정, 순수(純粹) 전형매차대(全兄妹次代)의 확인 등 식물법의학적(植物法醫學的) 분석법(分析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상북도 울진군 소광리 소나무의 가도관 길이 변이 분석 (Study on the Variations of Inter-annual Tracheid Length for Korean Red Pine from Sokwang-ri in Uljin)

  • 서정욱;엄창득;박소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46-652
    • /
    • 2014
  • 목재재질을 결정하는 여러 인자들 중에 가도관 길이가 목재의 재질을 평가하는 한 인자로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울진군 소광리산 소나무의 가도관 길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소광리에서 5영급(해발고 500 m) 임분과 9영급(해발고 900 m) 임분을 선발하였으며, 각 임분에서 3개씩의 임목을 선정하였다. 가도관 길이 측정은 조재와 만재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측정된 가도관 길이가 안정화되는 기간은 5영급은 약 25년이었으며, 9영급은 약 40년이었다. 만재부의 가도관 길이는 3.14(5영급)와 3.30(9영급) mm로 조재부의 2.98(5영급)과 3.15(9영급) mm보다 길었으며, 9영급의 조재와 만재부에 있는 가도관의 길이가 5영급보다 길었다. 하지만, 조재부와 만재부에 있는 가도관 길이의 비율은 5영급과 9영급 모두에서 0.96으로 동일하였다. 향후 다른 지역에 있는 소나무의 조재부와 만재부의 가도관 길이 비율과 비교분석 한다면 본 비율이 지역별 소나무의 재질 평가를 하는 인자로 사용이 가능한지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목재가격(木材價格)의 경향변동(傾向變動)과 계절변동(季節變動) 분석(分析) (Secular Trend and Seasonal Variation of Timer Prices in Korea)

  • 조응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3-37
    • /
    • 1977
  • 과거(過去) 15년(年)(1961~1975)동안 우리나라 목재가격(木材價格)의 변동내용(變動內容)과 변동원인(變動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소나무 원목(原木), 소나무 제재목(製材木), 라왕 제재목가격(製材木價格)의 경향변동(傾向變動)과 계절변동(季節變動)을 분석(分析)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측기간(觀測期間)을 통하여 소나무 원목(原木)의 상대가격(相對價格)은 매년(每年) 1.23%씩 상승(上昇)하였으나, 소나무 제재목(製材木)과 라왕 제재목가격(製材木價格)은 각각(各各) 0.10%, 0.93%씩 하락(下落)하여,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목제가격(木材價格)은 하락(下落)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처럼 상대가격(相對價格)이 하락(下落)한 원인(原因)은 목재소비절약(木材消費節約) 및대체재개발(代替材開發)에 따른 수요(需要)의 간소(減少)와 외재도입량(外材導入量)의 지속적(持續的) 증가(增加)에 따른 공급(供給)의 증가(增加) 때문이다. 2. 목재(木材)의 계절변동(季節變動)은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그 변동폭(變動幅)이 작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1961~1968년(年) 사이에는 봄과 여름의 가격지수(價格指數)가 대단히 높고 여름과 겨울의 지수(指數)가 낮아서 그 변동율(變動率)이 크게 나타났으나, 1968~1975년(年) 사이에는 봄철을 극상기(極上期)로 하여 겨울철에 이르기까지 점차 하향평준화(下向平準化)되는 경향(傾向)을 보이며, 그 이유(理由)는 건축활동(建築活動)의 평준화(平準化)와 월별(月別) 목재도입량(木材導入量)의 평준화(平準化)에 있다. 3. 경향변동(傾向變動)과 계절변동(季節變動)에 있어서 제품가격(製品價格)의 변동추세(變動趨勢)는 원목가격(原木價格)의 변동추세(變動趨勢)에 의존(依存)하며, 그 변동율(變動率)은 제품(製品)에 비(比)하여 원목가격(原木價格)이 크다.

  • PDF

화재 시 연소성 물질에 대한 화재 위험성 등급 평가 (Rating Evaluation of Fire Risk for Combustible Materials in Case of Fire)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2권1호
    • /
    • pp.75-82
    • /
    • 2021
  •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 및 플라스틱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새로 고안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삼나무, 적송, PMMA, PVC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화재성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1.0~15.0으로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적송, 삼나무, PMMA 순서로 증가하였다. 화재성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0.5~3.3으로 나타났다. 화재성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PMMA, 적송, 삼나무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6~570 ppm으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적밀도가 낮은 삼나무와 PMMA와 같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재료는 화재성능지수-III가 낮고, 화재성장지수-III가 높으므로 화재로 인한 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화재위험성지수-IV와 일치하였다.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Bark Extract Attenuates Aβ-Induced Cognitive Impairment by Regulating Cholinergic Dysfunction and Neuroinflammation

  • Go, Min Ji;Kim, Jong Min;Kang, Jin Yong;Park, Seon Kyeong;Lee, Chang Jun;Kim, Min Ji;Lee, Hyo Rim;Kim, Tae Yoon;Joo, Seung Gyum;Kim, Dae-Ok;Heo, Ho 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9호
    • /
    • pp.1154-1167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amnesic effect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bark extract (KRPBE) against amyloid beta1-42 (Aβ1-42)-induced neurotoxicity.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KRPBE improved the behavioral function in Aβ-induced mice, and also boosted the antioxidant system in mice by decreasing malondialdehyde (MDA) content, increasing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and reducing glutathione (GSH) levels. In addition, KRPBE improved the cholinergic system by suppressing reduced acetylcholine (ACh) content while also activating acetylcholinesterase (AChE),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postsynaptic density protein-95 (PSD-95), and synaptophysin. KRPBE also showed an ameliorating effect on cerebral mitochondrial deficit by regulat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ATP levels. Moreover, KRPBE modul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neurotoxicity indicators Aβ and phosphorylated tau (p-tau) and inflammatory cytokines TNF-α, p-IκB-α, and IL-1β. Furthermore, we found that KRPBE improved the expression levels of neuronal apoptosis-related markers BAX and BCl-2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BDNF and p-CREB.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KRPBE treatment has an anti-amnestic effect by modulating cholinergic system dysfunction and neuroinflammation in Aβ1-42-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임업(林業)에서의 순수작업시간(純粹作業時間)과 임목형상조건(林木形狀條件)과의 관계연구(關係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Tree Formal Characteristics)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81-395
    • /
    • 1989
  • 본 연구는 임업 경영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특히 간벌 작업에서 순수 작업시간과 임목의 형상 조건과의 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임금표나 공정표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 대상지와 수종은 경남 양산에서 참나무 460본, 강원도 봉평에서 낙엽송 372본과 적송 232본, 전북진안에서 리기다 소나무 240본을 선정하였으며, 회귀식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종별 임목의 형상 조건인 5개의 독립 변수는 순수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데 있어 작업원별로 동일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2. 임목의 형상 조건간의 서로 상관관계를 구명,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순수 작업시간(WT)은 흉고직경(DBH)과 전체 가지수(NOB)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3. 변수의 수에 따른 결정계수(Rp)와 잔차평균제곱(MSEp)을 비교하여 최적회귀식을 수종별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에서 모든 수종으로부터 흉고직경(DBH)과 가지수(NOB)가 조합된 $WT=a+b1{\times}NOB+b2{\times}DBF$의 식이 유도 되었다. 4. 간벌 작업에서 걸림시간(Hang-up time)을 산출해보면 전체 작업 사간에 대하여 참나무가 평균 66%, 낙엽송 74%, 적송55%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가 52%를 나타났다. 5. 수종별 휴고직경(DBH)과 가지수(NOB) 2변수로 부터의 최적 회귀 방정식에 작업 시간표를 작성하였으며, 6. 여기에서 전체 작업시간(Total WT)은 벌도시간(FT)과 조재시간(LT) 그리고 걸림시간(HT)을 모두 합한 것으로써 임목의 1cm 증가마다 11-13초의 작업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 PDF

주요 국산수종의 휨가공성 평가 (Evaluation of Bending Property on Principal Domestic Speciees)

  • 정인석;이원희;장준복;배현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87-94
    • /
    • 2002
  • 본 연구는 고주파 가열에 의한 산벚나무, 소태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소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오동나무의 휨가공성을 평가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휨가공을 위한 곡율반경은 휨틀의 곡율반경에 의해 4 cm, 6 cm, 10 cm으로 구분하고, 대철의 두께는 0.6 mm와 0.8 mm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결과 소태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는 모든 곡율반경에서 100%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산벚나무와 굴참나무의 경우 58%와 83%의 성공률을 각각 나타내었다. 피나무와 오동나무의 경우 총 29%와 8%로 매우 불량하게 나타났고, 곡율반경 4 cm에서는 모두 실패로 나타났다. 침엽수재인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는 각각 44%와 56%의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대철의 두께는 휨가공성의 쉽고 어려움보다는 건조시 건조속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과정에서 대철두께가 얇을수록 휨가공부재의 건조 속도가 빠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울폐산림의 엽면적지수 추정을 위한 적색경계 밴드의 효과 (Effect of Red-edge Band to Estimate Leaf Area Index in Close Canopy Forest)

  • 이화선;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571-585
    • /
    • 2017
  • 적색경계밴드(red-edge band)가 식물의 생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적색경계밴드를 포함한 위성영상센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농림업중형위성에 적색경계밴드 탑재를 계획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적색경계밴드와 관련된 연구 현황과 활용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관울폐도가 높은 우리나라 산림의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 LAI 추정을 위한 최적의 파장폭과 파장영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LAI가 5 이상인 갈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를 대상으로 4월부터 10월까지 시계열 분광반사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LA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광반사측정자료에서 5개의 파장폭(10 nm, 20 nm, 30 nm, 40 nm, 50 nm)과 71개의 중심파장(680 nm부터 750 nm까지 1 nm 간격)을 달리하여 모두 355개의 적색경계밴드를 모의 생성했다. 적색경계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두 개의 분광지수 NDRE(normalized difference red-edge index)와 CIRE(chlorophyll index red-edge)를 산출하여 LAI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적색경계밴드 기반의 분광지수인 NDRE 및 CIRE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갈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LAI와 높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국내 산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DVI가 LAI와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0 nm부터 50 nm까지 적색경계밴드의 파장폭 효과는 산림의 LAI와 관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AI와 최대 상관관계를 보이는 적색경계밴드의 중심파장은 갈참나무에서는 720 nm 부근, 그리고 리기다소나무에서는 710 nm 주변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농작물 및 산림의 식생정보 획득과 모니터링을 위한 최적의 적색경계밴드의 파장폭과 파장영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생물리적인자(엽록소, 질소, 수분함량, 생체량 등)와의 관계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