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ing plastic wast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6초

열가소성 재활용수지를 건축용 단층방수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인장 및 신장 특성 분석 연구 (Tension Strength and Expansion Property Analysis Research to Utillize Thermoplasticity Recycling Plastic to Single Play Waterproof System for Construction)

  • 박성우;고진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9-94
    • /
    • 2011
  • In this research, among thermoplasticity plastic raw material that recycling is possible polyolefine(TPO) and polyvinyl chloride(PVC) as target recycling plan examine wish to. It is polyolefine(TPO) and polyvinyl chloride(PVC)) is mediocrity material that there are a lot of amount useds among plastic material and it is material that recycling is also activated most. Long term made first new regulation raw material, by-product raw material happened at process of production at second factory and third time to examine recycling plan of this material divides this as raw material that pass through process separation and pelet Tuesday and analyzed each special quality removing each removed waste after is used. Measure tension strength and ext. heightening gradually mixing proportion of refreshing resources on standard Sample manufactured as new raw material and application examined possibility availability to single fly system.

  • PDF

복합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Composites with Mixed Plastic Waste Aggregates)

  • 이준;김경민;조영근;김호규;김영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7-324
    • /
    • 2020
  • 플라스틱은 우수한 물성과 가공성 및 경제성으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분리,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재활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생활폐기물 발생 폐플라스틱은 이물질과 혼합배출로 분리, 선별 공정 비용이 증가하여 재활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발생 복합 폐플라스틱을 콘크리트용 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폐플라스틱 종류(복합재질 1종류 및 단일 재질 2종류) 및 치환율(잔골재 용적 대비 25%, 50% 및 75%)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는 양호한 입도 분포로 부순 굵은 골재 대비 밀도는 낮고 흡수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일재질의 폐플라스틱 잔골재는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었으며 부순 잔골재 대비 밀도와 흡수율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질 굵은 골재 치환 콘크리트는 가장 많은 폐플라스틱 치환량에도 양호한 입도 분포로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공기랑도 증가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플라스틱 골재의 낮은 강도, 소수성으로 인한 시멘트 수화반응 억제, 폐플라스틱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의 낮은 부착력 등으로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입도 분포가 양호한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를 치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저하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플라스틱 필름의 액상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Liquid-phase Thermal Degradation Properties of Waste Plastic Film)

  • 황택성;김영수;강태원;황의환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116-121
    • /
    • 2003
  • In this study, the thermal degradation process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reaction temperature$(350{\sim}400^{\circ}C)$ and times$(30{\sim}120\;min)$ in order to recycle waste plastic films as solid state wax. Waste plastic films were easily melted by adding a small amount of waxes. The effects of wax addition and nitrogen flow rate on their thermal degradat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T-IR, GPC and viscometer were used to analyze properties of the solid wax including the structure, moli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melt viscosity.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solid wax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temperature and amount of wax added, Also, the viscosity of solid wax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at a constant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nd its viscosity got close to zero above $390^{\circ}C$.

  • PDF

Environmentally Friendly Usage of Post-consumed Plastic

  • Kye, Hyoung-San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14-214
    • /
    • 2006
  • The huge amounts of wastes were produced nowadays. Among the solid waste stream, the waste plastic portion is about 20 % in weight, over 50 % in volume. But the most of waste plastics were incinerated or land filled. Only a bit of waste plastics were recycled and reused. On the view point of current energy crisis, this will be an extravagance of beneficial resource. So we should consider the waste plastics as a beneficial raw material. Also need to develop the field of reusing and recycling of post-consumed plastic. In this context, present paper describes the methodology for enhancing or improving the specific properties by way of using inorganic filler waste. Also develop the product from these post-consumed plastic.

  • PDF

영남권(嶺南圈) 산업단지(産業團地) 발생폐기물(發生廢棄物)을 이용한 고형연료(固形燃料) 제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Fuel Manufactured from Industrial Combustible Waste Generated in Youngnam Area)

  • 강민수;김양도;류영복;이강우;이만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6호
    • /
    • pp.54-59
    • /
    • 2009
  • RDF 생산 기술은 국내 실정에 맞는 제조 설비로 자체 생산할 수 있는 단계이지만, 사업장 가연성 폐기물에 대한 연료화 설비가 구축된 사례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가연성 폐기물을 대상으로 한 RPF(Refuse Plastic Fuel) 제조 공정의 고형연료 제조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형연료는 폐합성수지, 폐지 및 폐목재의 지역별 폐기물 발생비율 기준으로 제조되었으며, 제조된 RPF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경(대구, 경북)지역을 기준으로 제조된 RPF의 발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폐지와 폐목재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발열량은 감소하였다.

농업용(農業用) 멀칭 폐(廢)비닐로부터 인공어초(人工魚礁) 개발(開發) 및 상용화(商用化)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rtificial Reefs from Waste Mulch Plastic Films)

  • 김혜태;손상진;김명호;최미란;백욱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5호
    • /
    • pp.19-24
    • /
    • 2007
  • 인공어초는 수중에서 물고기들에게 피난장, 휴식장, 산란장 및 먹이장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구조물이다. 전통적으로 인공어초는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시멘트나 강재로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자원 고갈이 심화되어 감에 따라 인공어초의 본체에 다른 재질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농업용 폐비닐은 국내에서만 연간 약 30만 톤 이상이 발생되지만 재활용의 패도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의미에서 영농용으로 사용된 농업용 멀칭 비닐을 수산증식용 인공어초로 재활용하면 자원순환사회구축에서 상징적인 면뿐만 아니라 실제적 면에서 효과가 지대할 것이다. 특히 이들 멀칭 비닐 재활용 인공어초는 1) 탁월한 위집효과, 2) 우수한 수중생물의 초기부착도, 3) 극히 낮은 해수에서의 부식성, 4) 비중 조절의 용이성, 5) 제작, 운송 및 침설에서의 경제성, 6) 낮은 유해 물질 침출성 그리고 7) 사용 후 재활용의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다.

열압 성형법에 의한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의 기초적 성질 (Basic Properties of Waste Wood-Plastic Composite Panels by Hot Press Molding Method)

  • 최낙운;문경주;최산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95-10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건설폐기물 재활용의 일환으로, 폐발포폴리스티렌의 스티렌 용액에 가교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결합재와, 폐목재 칩을 이용하여,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전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 비를 갖는 복합패널 공시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겉보기 밀도, 흡수율, 흡수에 의한 팽창률, 휨강도, 내수성 등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하였다.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의 겉보기밀도는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증대하며, 그 휨강도 및 습윤 휨강도는, 결합재량 35%, 충전재-결합재비 0.8에 있어서 최대치에 이른다. 흡수율 및 흡수에 의한 두께 팽창률은,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한다. 결합재량 30%이상의 경우, 충전재-결합재비에 관계없이, 복합패널의 24h 상온 수중($20^{\circ}C$) 침지 및 2h 끓는 물중($100^{\circ}C$)+1h상온 수중($20^{\circ}C$) 침지에 의한 휨강도의 감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내수성을 발현한다.

  • PDF

Potential Dioxin and Furan Sources from Hospital Solid Waste Streams : A Pilot Study

  • Lee, Byeong-Kyu;Fraso, Rafael-Moure;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E호
    • /
    • pp.13-21
    • /
    • 1995
  • This Pilot study identifies potential dioxin and furan sources and medical plastic wastes produced from hospital solid waste streams. In this study, air emissions of dioxins and furans from sources in the U.S., which were estimat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were summarized. Potential loading routes of dioxins and furans to the U.S.-Canada Great Lakes region have also been identified in trcent surveys. In addition, medical and hospital solid wastes produced in typical large city hospitals were characterized as important potential sources of dioxins and furans. Plastic contents in medical Plastics Characterization Survey (MMPCS), plastics composition data were obtained from a survey of five Massachusetts Hospitals and Medical Centers. By identifying plastic wastes as a percentage of total hospital wastes, we were able to use data from a preliminary study that analyzed the waste stream of 16 major New York City hospitals (NYCMWS) characterizing the plastic content of the wasters. This study determined the types of plastic wastes included in each medical waste stream (regulated medical waste or non regulated medical waste) and it discussed the potential for recyclibility of hospital plastic wastes. The combination of the NYCMWS and the MMPCS surveys provides for the first overview of the size of the recycling task of hospital plastic wastes and the potential of dioxin elimination if dioxin generating plastics were to be eliminated from hospital use.

  • PDF

통합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윤활유 페빈용기 회수 ㆍ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Processes of Used Oil Containers b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김청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9권2호
    • /
    • pp.94-101
    • /
    • 2003
  • Used motor oil contains pollutants, including organic chemicals and meta]s. When disposed of improperly - in the trash, on the ground or in a sewer system - the pollutants may reach rivers, lakes or the ground water. Thus, all the waste oil products such as waste motor oil, waste oil container, and waste oil filter should be collected and transported for recycling or disposal by waste oil regulations. Because waste oil container is a valuable resource, waste oil containers can be reused, cleaned, buried, and burned for recycling processes. This paper present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may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collecting and reprocessing waste oil containers such as steel can and plastic container.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confirmation and certifica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waste oil contai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