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ed Asphalt Mixtur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순환 슬러지 및 순환 유리골재를 사용한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기초특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Recycled Cold Asphalt Mixtures with Recycled Sludge and Recycled Glass Aggregate)

  • 이후석;강석표;강혜주;이민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02-309
    • /
    • 2020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시설에서 발생하고 있는 폐슬러지를 건조 분쇄한 순환 슬러지와 재활용되지 못하는 폐유리병을 가공처리한 순환 유리골재를 순환 상온아스팔트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순환 슬러지 및 순환 유리골재의 사용에 따른 순환 상온아스팔트의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순환 슬러지를 채움재로서 사용량을 증가할수록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 간접인강강도, 인장강도비는 감소하고 흐름값, 공극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 유리골재를 사용함으로서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 간접인강강도, 인장강도비는 감소하고 흐름값, 공극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을 위한 폐아스팔트 혼합재의 역학적 특성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Asphalt Waste for Recycling)

  • 정성윤;이규환;정대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932-937
    • /
    • 2008
  • The asphalt waste has been collected more than ten thousands' ton from repairing works on the road and excavation repair works, most of them are disposed on land of reclamation. Only a few percentage of wasted asphalt recycled to new one. Therefore, In this study, usage of wasted asphalt and has been done engineered characteristic test for recycling materials of sub-grade and structure. To know the characteristic of asphalt waste, tamping test, bearing-ratio test, permeability test and direct shear test was done using asphalt-sand mixture. The test results shows that, mixed asphalt materials with sand can be used for materials of subgrade-soil and structure.

  • PDF

순환 가열 아스팔트의 용도별 기계적성능 평가 및 경제성 분석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Economic Analysis by Reclaimed Hot Asphalt Pavement)

  • 문성호;가현길;이시원;박용부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4호
    • /
    • pp.51-59
    • /
    • 2019
  •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notice of obligatory reclaimed asphalt as a result of the economic and social positioning of green growth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resources and to solve natural resource problems by recycling continuously generated waste resourc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lication guideline for each application to apply reclaimed asphalt to the site because quality control of the reclaimed asphalt is difficult and the specifications are ambiguous as wel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ix design, quality test, performance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about reclaimed Asphalt Pavement were conducted to develop application guideline for reclaimed hot asphalt. The mix design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ative general hot mix asphalt mixture,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additive, and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without the additive. Indirect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atio test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results of dynamic modulus test and FWD test for KPRP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performance life was evaluated for general pavement and pavement using recycled aggregate. Finally,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s of reclaimed asphalt concrete pavement.

부산석회를 채움재로 재활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학적 특성 (A Study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sphalt Concrete Mixtures Using Filler with Recycled Waste Lime)

  • 황성도;박희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71-78
    • /
    • 2005
  • 본 연구는 판유리 등의 생산 기초 원료인 소다회 $(Na_2CO_3)$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 부산물인 부산석회를 아스팔트 혼합물의 채움재로서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부산석회의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석회를 기존의 석회석분 채움재에서 중량 대비 25%, 50%, 75%, 100%로 대체하여 제조한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해 간접인장강도 시험, 회복탄성계수 시험, 수분 민감성 시험, 반복하중 간접인장 시험, 휠트래킹 시험을 실시하여 부산석회의 채움재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 석회석분 채움재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과 소석회 (Hydrated Lime)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석회를 재활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증진 효과를 평가하고 본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 PDF

바인더 회생방식을 개선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소성변형 특성 연구 (Evaluation of Perman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sphalt Concretes Made by Improved Binder-Rejuvenation)

  • 김광우;권오선;도영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06
  • 본 논문은 가열 재생아스팔트 흔합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분이다. 새로이 개발된 혼합 방법은 회수 아스팔트 포장의 기존 바인더를 훨씬 많이 회생시켜 재생 혼합물에서 균일한 바인더의 정도를 갖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이 개발된 혼합 방법으로 제조된 재생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두 종류 골재(편마암 화강암), RAP의 두 가지 함량(15, 30%), LDPE의 두 가지 첨가량(0, 6%)를 이용하였으며, 혼합방법은 바인더의 불균등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 즉 일반적인 기존의 A 방법과 새롭게 개발한 F 방법을 이용하였다. 재생 혼합물 내의 바인더 산화 정도의 차를 조사하기 위하여 GPC분석을 실시하였고, 흔합 방법에 따른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혼합 방법에 따라 제작한 재생 흔합물을 휠 트랙킹 시험과 변형강도를 측정하였다. 소성변형 저항 특성과 변형강도와의 상관관계는 기존의 A 방법보다 새롭게 개발된 F 방법이 더 높게 나타나, F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물의 품질이 보다 일관성 있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생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성능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ecycled Asphalt Pavement using Hot Recycling Plant)

  • 김인수;서영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2-118
    • /
    • 2011
  • 환경에 관련된 인식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현재의 흐름에 따라 도로포장부문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재생아스팔트포장에 관한 실제 성능 및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실내실험, 현장 시공 및 공용성능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재생아스팔트포장의 현장적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실제 생산현장과 접촉하여 시료를 획득하여 배합설계와 현장시공을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습니다. 배합설계(실내실험)에서는 재생골재의 세립분 및 골재파쇄로 인해 배합설계에 시간소모가 많았으며 목표입도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공용성능 추적조사에서는 시험시공구간의 균열이 시공후 5-6년 이후에도 발견되지 않았고 기타 포장파손도 발견되지 않아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또한, DSR을 이용한 재생바인더에 대한 피로시험결과, 일반적으로 선택되고 있는 재생골재 투입비율 30%에서 바인더의 피로수명이 베이스 아스팔트에 비하여 약 30~40%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재생아스팔트포장의 취약점으로 알려진 균열문제는 충분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극복될 수 있으며 이 품질관리에는 적절한 바인더 선택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재생아스팔트포장은 일반아스팔트포장과 비교하여 품질에 큰 차이는 없으며 재생골재의 투입비율과 바인더 선택을 적절히 하는 경우에는 국가적으로 이산화탄소 발생 억제를 통한 환경보호와 비용절감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PDF

준고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기본특성 평가 (Evaluation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Warm-mix Recycled Asphalt Concretes)

  • 김남호;김진철;홍준표;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11-120
    • /
    • 2010
  • 본 연구는 준고온 공법을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굵은 골재 최대치수 13mm의 화강암과 침입도 60-80인 신규 바인더 60-80을 재생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배합설계는 RAP(굵은 입자 : 잔입자=6 : 4) 첨가비율 20%와 30%를 사용하였고 GPC, 침입도, 절대점도, 동점도를 준고온 첨가제(Evotherm와 Sasobit)의 첨가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측정하였다. LD(low-density poly ethylene)를 본 연구에서 준고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개질제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개의 준고온 재생 혼합물(2 RAP함량 ${\times}$ 2 준고온 첨가제 ${\times}$ 2 개질제)뿐만 아니라 2개의 일반 재생 혼합물, 1개의 가열혼합 일반혼합물(control)까지 총 11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변형강도 시험, 간접인장강도 시험, 수분민감성 시험, wheel tracking을 통한 소성변형 시험을 준고온 재생혼합물의 기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열 재생혼합물의 노화특성 개선을 위한 연구 (Methodology for Modifying Aging Condition of Hot-mix Recycled Asphalt Mixture)

  • 김광우;홍상기;이기호;도영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9
    • /
    • 2005
  • 본 연구는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취 약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생혼합물 내의 신 구 재료에 묻어 있는 바인더의 노화상태를 균등하게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혼합방법을 제안하고 바인더의 노화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생혼합물의 굵은골재 및 매트릭스의 바인더 노화특성 분석은 Gel-permeation chromatography(GPC)를 통해 수행되었다. 재생혼합물 내 바인더의 노화상태 분석을 위한 혼합물 제조에는 원형골재(13mm 강자갈)가 굵은골재로 사용되어 RAP 굵은골재와의 구분이 용이토록 하였다. GPC를 통한 재생혼합물 내 바인더의 노화상태를 분석한 결과 신 구 바인더의 노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5가지 혼합방법(AE)을 검토하였으며 D방법(RAP과 신규바인더를 선 비빔 후 신규골재 투입)에 의한 혼합방법의 개선으로 재생혼합물 내의 노화 정도의 차이가 크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