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Warm-mix Recycled Asphalt Concretes

준고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기본특성 평가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15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strength properties of recycled asphalt concretes using warm-mix technology. Granite with maximum size of 13mm and penetration grade of 80-100 virgin binder were used for mixing in recycled mixtures. Mix design was performed using 20% and 30% RAP(coarse : fine= 6 : 4) contents. GPC, penetration, absolute viscosity and kinematic viscosity were measured for determining ratio of two warm-mix additives (Evotherm and Sasobit). Low-density polyethylene(LD) used as asphalt modifier for improving stiffness of recycled WMA mixtures in this study. Therefore, a total of 11 mixtures were prepared in this study; 8 warm-mix recycled mixtures(2 RAP contents${\times}$2 warm-mix additives${\times}$2 modifiers), 2 hot-mix recycled mixtures and 1 HMA virgin mixture(control). Deformation strength, indirect tensile strength, moisture sensitivity, permanent deformation by wheel tracking tests were measured out for evaluating fundamental properties of recycled asphalt concretes using warm-mix technology.

본 연구는 준고온 공법을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굵은 골재 최대치수 13mm의 화강암과 침입도 60-80인 신규 바인더 60-80을 재생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배합설계는 RAP(굵은 입자 : 잔입자=6 : 4) 첨가비율 20%와 30%를 사용하였고 GPC, 침입도, 절대점도, 동점도를 준고온 첨가제(Evotherm와 Sasobit)의 첨가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측정하였다. LD(low-density poly ethylene)를 본 연구에서 준고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개질제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개의 준고온 재생 혼합물(2 RAP함량 ${\times}$ 2 준고온 첨가제 ${\times}$ 2 개질제)뿐만 아니라 2개의 일반 재생 혼합물, 1개의 가열혼합 일반혼합물(control)까지 총 11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변형강도 시험, 간접인장강도 시험, 수분민감성 시험, wheel tracking을 통한 소성변형 시험을 준고온 재생혼합물의 기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 지침", (1998), 아스팔트 포장연구회, 도서출판 정보나라.
  2. 김광우, 도영수, (2006), "아스팔트 혼합물 반복주행 시험에서 합리적 동적안정도의 산정 방법",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8(1), 77-87.
  3. 김진철 (2010), "준고온 공법을 이용한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소성변형 특성 및 수분민감성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진철, 유민용, 김현환, 김광우 (2009), "아스팔트 재생시 준고온화 첨가제의 회생효과 분석",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1-156.
  5.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2009), 국토해양부.
  6. 월간전기 (2008)," 기획연재: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산업동향과 대응방안2", 전우문화사 2008. 3.
  7. 이학일, 김현환, 박남원, 김광우 (2008), "특정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노화, 균열 및 변형 특성",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0(2), 205-219
  8. 허정도 (2009), "폐아스콘 100% 재활용을 위한 신기술 개발",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83-586
  9. "Asphalt hot-mix recycling." (1996) The Asphalt Institute Manual series, 20 (MS-20).
  10. ASTM D4867 / D4867M - 09 Standard Test Method for Effect of Moisture on Asphalt Concrete Paving Mixtures, ASTM, 2009.
  11. Doh, Y. S., Kim, J. C., Yoo, M. Y. and Kim, K. W. (2010)", Evaluation of selected warm-mix additives for asphalt recycle", Paper presented at 2010 TRB Meeting, Washington, DC.
  12. Kim, K. W., Amirkhanian, S. N., Doh, Y. S., and Jung, J. H.(2007), "Reducing stiffness of oxidized binder in recycled mixture by stage mixing.", Journal of AAPT, Vol. 78.
  13. Kim, K. W., Kim, K. A., Doh, Y. S. and Amirkhanian, S. N.", Estimation of RAP's binder viscosity using GPC without binder recovery",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ASCE, 18(4), July/August, 2006, 561-567.
  14. La, I., Ryu, M. Y., Kim, H. H., Ahn, K., Doh, Y. S., and Kim, K. W.(2009), "Fundamental property evaluation of styrene monomer modified warm-mix asphalt concrete", Advanced Testing and Characterization of Bituminous Materials, 7th Int'l RILEM sympo. 619-626.
  15. "Recycling hot-mix asphalt pavements", (1996), Information series 123, NAPA.
  16. "Warm Mix Asphalt The Future of Flexible Pavements", (2008) 12th Annual Minnesota Pavement Conference St. Paul, MN F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