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s Center

검색결과 1,862건 처리시간 0.032초

20세기 이전 한국의 역사 기록에서 확인되는 황사 현상 (A Study on the Asian Dust Phenomenon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Korea Prior to the 20th Century)

  • 전준혁
    • 대기
    • /
    • 제28권4호
    • /
    • pp.491-507
    • /
    • 2018
  •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records related to the Asian dust phenomenon in Korean history books. I collected a wide range of records from diverse sources and identified data for analysis. 290 records were selected through this process. These records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time and duration of the phenomenon, other natural phenomenon occurring at the same date, descriptions of the phenomenon, and so on. Reports on, Asian dust in the historical records was not continuous or uniform. However, their appearance in certain months of the year is similar to that observed in modern times. In addition, I collected 90 records showing it tha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viewpoints which they were a natural calamity or an unusual phenomenon. Generally, natural phenomenons in historical books are mostly recorded in viewpoint of unusual phenomenon. Nevertheless, research result verified the record as actual observational data. Consequentially, it also indicates that this data is important for research from a meteorological point of view. I think tha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modern meteorological studies related to the Asian dust phenomenon.

일본(日本)에 있어서 기록관리학(記錄管理學)의 발전상황(發展狀況)과 기록관리학(記錄管理學)의 역할(役割) (The Overview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in Japan : Historical process and roles of the Records Management Society, Japan)

  • 마사야 다카야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7
    • /
    • 2001
  • vcrtical filing 개념이 일본에 도입된 것은 20세기 초였다. 이것이 사무관리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차대전 후 점령군이 미국식의 문서관리법을 소개했고 filing system이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filing 방법은 사무직원에게 필요한 기술로 인식되었다. 사무문서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사무관리에 있어 정보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이 기록관리학의 도입과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 사무실에서의 기록관리 개념과 방법을 전파하기 위해 학술연구와 교육체제를 확립할 필요성이 생겼다. 그런 상황 속에서 1989년도에 일본기록관리학회가 설립되었고 1999년도에는 스루가다이대학교에 기록관리학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었다. 이들은 일본에 있어 기록관리 연구와 학술활동의 중심이 되고 있다.

불완전 검정일 기록이 RRTDM을 이용한 홀스타인 젖소의 유전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complete Lactation Records for Genetic Evaluations with Random Regression Test-Day Models (RRTDM) in Holstein Cattle)

  • 조주현;조광현;이광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47-1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that daughters' incomplete lactation records affect sire's breeding values through genetic evaluation using RRTDM(random regression test-day model). First, we estimated genetic parameters and breeding values on sires having complete lactation records of daughter by RRTDM, second, we changed complete lactation records of specific sires into incomplete records by various methods. Third, the breeding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complete and incomplete records. Finally,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thods to minimize the estimation errors of young bulls' breeding value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and a total of 97,562 records were composed of 10,929 first parity with both parents known, since 1999. Breeding values on the daughters from randomly chosen sir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among 90 day, 150day, and 200 day's incomplete records. For milk yields, sire's ranks of breeding values used by complete lactation records were very different from sire's ranks of breeding values obtained by incomplete lactation records(Rank_90 cut, 150cut, 200 cut).The differences were also obtained between complete lactation records(per305_full) and incomplete lactation record (per_90 cut, 150cut, 200 cut) in breeding values regarding persistency. Especially, the differences between per_90 cut and per305_full were very large(from 1.8 kg to 145kg).

공공기록물관리법과 특수기록관리제도에 관한 고찰 (An Study o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Special Archives in Korea)

  • 윤은하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169-203
    • /
    • 2024
  • 특수기록관에서 관리되는 기록들은 실질적인 권력 주체들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생산되고 관리되는 핵심기록들이다. 공공기록물관리법에서는 특수기록관에 한해 소관 비공개기록물의 이관시기를 생산연도 종료 후 30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30년이 지난 후에도 업무수행에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관시기를 연장할 수도록 규정했다. 이러한 특수기록관리 제도의 예외적 절차와 그 시행에 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수기록관의 의미뿐 아니라 특수기록물의 특징과 범위, 유형에 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국가기록원의 백서와 통계자료에서 드러난 특수기록물의 이관 현황을 분석하고 특수기록물과 특수기록관의 유형과 범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특수기록관의 설립과 조직체계에 따른 운영방식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변화를 위한 도전, 법무부 기록관의 건립 (Challenge for a Chang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Record Center)

  • 임진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3-249
    • /
    • 2019
  • 본고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법무부에서 추진한 기록관 건립과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한 추진 경과 및 남은 과제를 소개하는 글이다. 기록관 건립을 위해서는 내부적 합의 도출, 관계기관과의 협의, 기록관 조직 구성 및 운영체계 확립 등 내 외부의 다각적인 분야에서 상호 유기적인 협의와 검토 및 반영과정이 장기적이면서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글에서는 각 분야별 추진사항과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법무부의 기록관 건립 사례가 향후 기록관 건립을 모색하는 기관들로 하여금 유용하고도 유익한 사례가 되길 기원한다.

기록관 유형별 업무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Per Record Center Type)

  • 박미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55
    • /
    • 2006
  • 우리나라 기록관 설치대상기관은 기타공공기관을 제외하더라도 700여개의 기관에 이른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이 대상기관 가운데 절반 가까운 기관에 기록관이 설치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기록관 설치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기록관 내실을 다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록관을 모기관의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기록관 유형별 업무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간기록관리기관으로서 기록관 업무를 추출하여 표준적인 기록관 업무모형을 설계하고, 모기관 특성을 반영하여 기록관 유형별 업무모형 을 설계하였다.

미소지진 계측기록을 이용한 사력댐 고유진동수 산정 (Evalua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of Rockfill Dam using Microearthquake Records)

  • 하익수;이종욱;오병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438-14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dam by the various methods using real microearthquake records which were measured on 'H' dam site and to compare each results. In this study, the fundamental frequency was evaluated by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microearthquake records which were measured on the dam crest, by the evaluation of acceleration amplification ratio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crest of dam, and by the evaluation of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ratio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crest of dam, respectively. Among these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by the evaluation of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ratio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crest of dam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But, if the simple engineering judgement can be considered, it was thought that the all three methods could reasonably evaluate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dam.

  • PDF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이관절차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fer Process Model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 천권주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39-96
    • /
    • 2007
  • 기록관리 환경이 점차 자동화되고 효율성과 편리성을 보장해 주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 보급됨으로써 기록은 사이버 공간에서도 생산, 관리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의 전자적 관리와 이관조항이 담긴 개정 법령이 시행된 점은 새로운 개념의 패러다임을 이행하려는 적절한 조치였다. 그러나 개정된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이하 기록관리법)에서의 전자이관은 일반적인 개념만을 제시한 것으로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절차가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기록을 이관한다는 것은 가치 있는 기록을 먼 훗날에도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기록관리 과정의 일부이다. 따라서 기록을 생산한 생산자와 이관 받을 기관이 상호 협력하여 기록 자체와 그 맥락을 온전히 유지하면서 기준과 원칙에 따라 장기보존시설로 옮겨 보존해야 한다. 결국, 이관의 문제는 일정한 절차 속에서 있는 그대로의 기록을 신뢰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로 옮겨서 장기보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를 위해, 모든 디지털 객체의 장기보존을 위한 표준인 OAIS 참조모형의 기능모델과 미항공우주국의 우주데이터 시스템 위원회(CCSDS :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에서 개발한 '생산자-아카이브 인터페이스 표준방법론(Producer-Archive Interface Methodology Abstract Standard-CCSDS Blue Book)'을 연구 분석하여 기록물관리기관간의 전자기록 이관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해외의 다양한 이관사례를 통해 표준과 실제의 갭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관준비 ${\rightarrow}$ 전송(접수) ${\rightarrow}$ 검증 ${\rightarrow}$ 보존처리 ${\rightarrow}$ 저장소 저장'이라는 5단계와 단계별 하위절차로 구성되는 이관절차모형을 제안하였으며, 한국의 전자기록 이관구조를 '(특수)기록관에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의 이관'과 '민간부문에서 기록물관리기관으로의 이관'으로 구분하고 설계된 표준절차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실행 가능성을 입증해 보았다.

최소오차 최적합화 방법에 의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군의 생성 (Generation of Artificial Time History Earthquake Record Family using the Least Squares Fitting Method)

  • 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31-38
    • /
    • 2008
  • 최근 구조물의 지진해석에서 시간이력 지진해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시간이력해석을 위해서는 최소7개의 지진기록을 사용하도록 IBC2003, ASCE와 KBC2005의 내진설계 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다. 시간이력 지진해석을 위해 지진기록의 선정은 주어진 대지 조건에 따른 설계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시간이력 지진기록을 설계 지반조건과 유사한 지반에서 계측된 지진기록들 중에서 선정하거나 설계스펙트럼을 만족하는 인공지진기록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절충적 방법으로 태평양지진연구센터(PEER) 데이터베이스에서 암반 지진기록으로 알려진 50개 계측지진기록을 이용하여 7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을 생성하였다. 일차 조정계수를 곱한 지진응답스펙트럼이 목표설계스펙트럼에 최적합한 7개 지진기록을 선정하고, SRSS 평균값이 목표설계스펙트럼과 최소의 오차를 갖게 하는 최적합화법으로 구한 조정계수를 선정된 각 지진기록에 곱하여 7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군을 생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