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ed mushroom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3초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버섯 종 다양성 연구 (Biodiversity research of mushrooms in hallasan mountain natural reserve)

  • 이승학;고기범;고평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2-296
    • /
    • 2020
  • 본 연구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 중 버섯류에 대한 연구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성판악탐방로와 돈내코탐방로 사이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된 버섯은 총 65과 184속 392종이며, 이 중 187종의 버섯이 죽은 나무나 나뭇가지에서 발생하였다. 주름버섯목에 속하는 버섯이 184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기적으로는 7월에 206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버섯은 600~800 m 사이 고도에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버섯들 중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에 해당되는 버섯이 5종, 후보종 2종이 나타났으며, 392종 중 국외 반출 승인 대상 생물자원에는 163종이 해당되었다(*Appendix 홈페이지에 업로드).

The Fungicolous Ascomycetes Genus Hypomyces in Korea

  • Kim, Minkyeong;Ahn, Chorong;Kim, Changmu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09-212
    • /
    • 2017
  • The genus Hypomyces contains fungi that grow on mushrooms, including agarics, boletes, and Aphyllophorales. While 53 Hypomyces speci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only one was in Korea. In this study, two new Korean species were identified as H. luteovirens and H. tubariicola based on morphology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ing.

내장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Distribution of mushrooms spontaneously growing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고평열;박혜성;이승학;전용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8-217
    • /
    • 2022
  • 내장산국립공원 내 자생하는 버섯류를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 동안 조사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4문, 9강, 25목, 72과 171속 381분류군의 버섯류가 확인되었고 기후변화지표종은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주름버섯목이 24과, 62속, 170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그 중 무당버섯속이 3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광대버섯속이 27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조사한 12 지점 중, F5 지역에서 서로 다른 버섯이 56분류군 발견되어 가장 종이 다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외근균에 속하는 무당버섯속과 젖버섯속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경사가 완만할 뿐 아니라 조릿대 발생이 적어 버섯류가 자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경사가 가파르고 조릿대가 많이 발견된 다른 조사 지점인 F6, F8 그리고 F10에서는 19분류군만 관찰되었다. 그 외에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표본 NJ21064는 Chlorophyllum hortense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다.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감압건조에 대한 연구 (Design and Evaluation of a Microcomputer-based Vacuum Drying System for Shiitake Mushrooms)

  • 최재용;김공환;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0-555
    • /
    • 1987
  • 건조실내의 압력과 건조시료의 수분감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부르돈관과 하중변환기 표면에 strain gauge를 부착시켜 감응장치로 이용하였다. 이 감응장치를 Bear II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시켜 마이크로컴퓨터 감압건조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접속장치로는 MC 6821, ADC 0809, SN 74244, SN 7474 등의 IC 칩이 사용되었다. 컴퓨터의 디지탈출력값(D)과 감압건조실내의 압력(P)과의 관계는 P=3.0800D-13.4875(r=0.9999)로 나타났고 시료무게 (W)와의 관계는 W=0.4076D-6.4762(r=0.9999)이었다. 표고버섯은 감압건조하는 동안 마이크로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은 압력과 무게측정값의 자료로부터 표고버섯의 감압건조곡선을 얻었다. 이 결과 표고버섯의 감압건조에서는 온도나 시료의 형태가 건조속도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감압건조실내의 압력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감압건조하에서 표고버섯내의 수분이동은 Page model을 따랐으며 그 관계식은 $50^{\circ}C$에서 건조된 원형 표고버섯의 경우 400mmHg에서 건조를 시작한 후 14시간 정도까지는 $(M-M_e)/(M_o-M_e)=\exp(-0.1569t^{1.0048})$로, 600mmHg에서 8시간정도까지는 $(M-M_e)/(M_o-M_e)=\exp(-0.1385_t^{1.2688})$이었다.

  • PDF

한국산 민주름버섯 기록종 목록 (List of Recorded Korean Aphyllophorales)

  • 이진성;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53
    • /
    • 2005
  • 저자들은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되었던 민주름버섯목에 속하는 버섯들을 1978년 한국균학회가 제정한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안"을 기초로 2000년 한국균학회에서 제안한 "버섯이름 한국명 통일안"과 최근에 발표된 논문들과 관련 데이터베이스 사이트들을 참고하여, 민주름버섯목의 현대 분류체계에 따라 우리말 버섯이름들을 재정리하였다. 현행 우리말 버섯이름 중, 기본적으로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안"에 어긋나거나 잘못 명명된 40종을 개칭하였으며, 재정리를 마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버섯들은 총 23과, 144속, 411종에 해당하였다.

Korean New Records of Five Bdelloids including Four Rare Species

  • Song, Min Ok
    • 환경생물
    • /
    • 제33권3호
    • /
    • pp.283-289
    • /
    • 2015
  • The bdelloids collected from various terrestrial habitats such as mosses, lichens, mushrooms on tree trunks, leaf litter and soil at four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ive bdelloids new to Korea were identified: Macrotrachella inermis Donner, 1965, Macrotrachela magna Schulte, 1954, Macrotrachela oblita Donner, 1949, Habrotrocha eremita (Bryce, 1894) and Habrotrocha schultei Donner, 1965. All these rotifers except M. inermis are new to Asia as well. Remarkably, these five Korean new records included four rare species with poorly known distributions. M. magna and H. schultei are recorded outside their type localities for the first time. M. oblita has been reported only from five European countries, and M. inermis has been known from three European countries and Eastern Turkey before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each rare bdelloid are discussed here.

한국산(韓國産) 무당버섯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Russula of Korea)

  • 복진덕;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7-246
    • /
    • 1986
  • Mushrooms were collected from those grown at Mt. Gyeryong, Mt. Chilgab, Mt. Ducyu, Mt. Chiri, Mt. Songri and at the regions of Chungnam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83 to October, 1984. They were classified into 30 species, two varieties and one form of Russula. These species were grouped into eleven sections. Of the classified species, Russula subnigricans Hongo, R. albonigra (Kromb.) Fries, R. cyanoxantha (Kromb.) Fries, R. cyanoxantha var. peltereaui Singer and R. compacta Prost et Pk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 PDF

Six New Recorded Species of Macrofungi on Gayasan National Park in Korea

  • Kim, Nam Kyu;Kim, Minkyeong;Lee, Jin Sung;Park, Jae Young;Kim, Changmu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85-392
    • /
    • 2021
  • The fungi play important roles in maintaining the balance and homeostasis of natural ecosystems. We investigated fungal specimens indigenous to the Gayasan National Park located in the deep inlands of southeastern Korea from 2017-2020. Six fungal species in the Korean macromycota-Chiua olivaceoreticulata, Entoloma conchatum, Galerina sulciceps, Hebeloma radicosoides, Spongiporus gloeoporus, and Tricholoma sinoacerbum-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DNA sequences. The six fungal speices were newly reveal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supports that the continuous investigaton is the best way to realize the mycosis.

한국에 기록된 독우산광대버섯의 재동정 (Re-evaluation of specimens recorded as Amanita virosa in Korea)

  • 진용주;유기범;안금란;김성환;석순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22
    • /
    • 2017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수집되어 Amanita virosa로 동정된 40개 표본의 분자계통학적 종동정을 위해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Lepidella 아속의 Phalloideae절에 속하는 Amanita oberwinklerana의 14개 표본, A.cf. rimosa 5개 표본, A. pallidorosea 20개 표본 및 A. virosa 1개 표본을 확인하였고, 그들의 형태학적 특성을 재조사하였다. 백색 계열의 맹독성 버섯에 속하는 위 3종(A. oberwinklerana, A.cf. rimosa, A. pallidorosea)은 아직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형태학적 특징들이 A. virosa와 매우 유사하여 존재하더라도 오동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농업과학원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Alterations in Growth and Morphology of Ganoderma lucidum and Volvariella volvaceae in Response to Nanoparticle Supplementation

  • Singh, Swarnjeet;Kuca, Kamil;Kalia, Anu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383-391
    • /
    • 2020
  • Use of nanoparticles (NPs) in several commercial products has led to emergence of novel contaminants of air, soil and water bodies. The NPs may exhibit greater ecotoxicity due to nano-scale dependent properties over their bulk counterparts. The present investigation explores the effect of in vitro supplementation of TiO2, silica and silver NPs on radial growth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hyphae and spores of two mushroom genera, Ganoderma lucidum and Volvariella volvaceae. A concentration dependent decrease in radial growth on NP amended potato dextrose agar medium was recorded. However, in comparison to control, there was decrease in radial diameter on supplementation with TiO2 NPs while an increase was recorded for silica and silver NPs amendments as compared to their bulk salts at same concentrations after 48 h of incubation. Optical microscopy studies showed decrease in the number of spores while increase in spore diameter and thinning of hyphal diameter on NPs supplement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of fungal growth showed presence of deflated and oblong spores in two fruiting strains of Ganoderma while Volvariella exhibited decreased sporulation. Further, hyphal thinning and branching was recorded in response to NP amendments in both the test mushrooms. Enhancement of protein content was observed on NP compared to bulk supplementation for all cultures, concentrations and hours of incubation except for TiO2 NPs. Likewise, bulk and NP supplementations (at 100 mg L-1) resulted in enhanced laccase activity with occurrence of laccase specific protein bands on SDS-PAG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