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Selectio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성인의 상악 전치부 인공치아 선택기준에 관한 계측학적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IN KOREAN ADULTS)

  • 안현정;양홍서;박하옥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84-492
    • /
    • 2002
  • The sele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is made primarily for esthetics and they must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oral environment. However the selection of artificial teeth is based on the large degree of subjective judgement or the dentists, therefore, this is one of the most unscientific proces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linically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among the wid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WMCI), the intercanine distance (ICD) the facial width(FW), and the interalar nasal width(IAW) in Korean adults, and to provide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The casts were obtained from 91 undergraduate dental students(49 males and 42 females) with Angle's class I occlusion presenting well-arranged intact anterior teeth. The WMCI and ICD were measured on the casts with a vernier calipers($Miltex^{(R)}$, Germany). The photographic procedures under standardized conditions were performed to record each subject's frontal face using digital camera($Olympus^{(R)}$, C-2500L, Japan). The FW and IAW were measured with image analyzer($Image-Pro^{(R)}$ PLUS. media cybermetrics. USA).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mean WMCI was $8.11{\pm}0.67mm$, ICD was $37.88{\pm}2.15mm$, FW was $141.29{\pm}5.84mm$. and IAW was $37.85{\pm}2.29 mm$. 2. The ratios of FW/WMCI, FW/ICD, IAW/ICD were 17.4, 3.7, 1.0 respectively. 3. All measurements(WMCI, ICD, FW, and IAW) of male group were longer than those of female group significantly in Student's t-test(p<0.01).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MCI, ICD, FW, and IAW i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p<0.01). 5, The relationship between IAW and ICD shows the strongest correlation among six combinations in linear regression analysis($R^2$=0.753, Y=7.046+0.815X). The FW and IAW could be very reliable guides for the sele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artificial teeth.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서의 진화내용분석 (Analysis of Evolutionary Content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 김학현;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0-483
    • /
    • 2003
  • 1차에서 6차에 이르기까지 13종의 교과서의 진화내용을 분석하였다. 9가지 성분으로 구분된 교과서의 내용분석은 80가지 진화내용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교과서에서 진화내용의 총량은 증가하였으나 총 진화내용 중 본논문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1차에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로 가며 점차 감소하였고 진화내용의 비중은 생물교육과정과 교과서 저자의 시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대체로 분석된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진화주제는 다양성면에서 부족하였다. 어떤 주제 항목은- '집단선택', '유전자 선택', '화석 기록에서의 공백', '공진화', 단속 평형설', '혼합진화', '인류진화에 있어서의 노동의 위치', 인종의 차이', ''개체발생의 계통발생을 반복한다'에 대한 비판',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활동'-다루어지지 않았고 또 어떤 항목은-'중립설', '지질시대에서 발견되는 주요사건에 관한 설(멸종에 관한 내용 제외)', '동소적 종분화', '연속변이적 종분화 및 지역효과 종분화', '배수성과 진화', '점진주의', '연장류의 기원과 진화'-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가장 강조된 주제 항목은 '일반적인 계통학', '세포전 단계의 형성', '기타' 순으로 많이 강조되었다. 자연선택설은 진화의 중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진화설중의 하나로 다루어졌다. 또한 유전적 평형을 붕괴시키는 요인으로서 유전적 부동이나 이주 등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고 종분화의 속도와 관련된 주제도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신뢰성이 의심되는 발생반복설이 진화 증거의 하나로 교과서에서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근거해 교과서 저자들이 진화와 진화설을 설명할 때 자연 선택설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의미 있는 주제를 소개할 것을 제안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위생점검표에 의한 육아지원기관 급식소 평가 및 개선대책 (Assessment and Corrective Measures of Child-care Foodservices by Sanitary Inspection Checklist Suggest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안수정;문혜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3호
    • /
    • pp.227-2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hygiene status of 145 child-care foodservices, which were newly registered in the Center for the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Changwon, Gyeongnam. Sanitary inspection checklist (40 food safety item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was used by the CCFSM in Changwon, Gyeongnam. Average score from the total safety items in 145 child-care foodservices was 21.41 points out of 40 points. Score gaps between the lower group (71 foodservices, 13.92 points) and higher group (74 foodservices, 28.61 poi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top five priorities of sanitary measures needing corrective actions for child-care foodservices were as follows: 'provide hand washing and sanitizing tools, and supply manuals on how to wash hands properly', 'supply record form for access/inspection', 'conduct education for cooks on standards in the selection of sanitizer for raw vegetables and proper methods to wash and sanitize raw vegetables',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freezer with installed thermometers and temperature record monitoring logs', 'encourage separation of contamination operating zone and clean zone or conduct training for cooks on way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by performing work separately by the hour'. For the higher group, most were national/public facilities (83.3%), whereas in the lower group, private facilities (62.1%) were more common than national/public ones (37.9%). Therefore,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as detected in the two groups. These private facilities should be supported.

기록값 통계량에 기초한 무한고장 NHPP 소프트웨어 혼합 신뢰성장 모형에 관한 연구 (Infinite Failure NHPP Software Mixture Reliability Growth Model Base on Record Value Statistics)

  • 김희철;신현철;김경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1-60
    • /
    • 2007
  • 무한고장수를 가진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에 기초한 모형들에서 잔존 결함 1개당 고장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상수, 혹은 단조증가 및 단조 감소 추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인 지수분포모형과 어랑 분포 모형을 재조명하고 보다 현실적인 혼합분포모형을 제안 하였다. 고장 간격시간으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한 모수추정 방법은 최우추정법과 일반적인 수치해석 방법인 이분법을 사용하여 모수 추정을 실시하고 효율적인 모형 선택은 편차자 승합(SSE) 및 콜모고로프 거리를 적용하여 모형들에 대한 효율성 입증방법을 설명하였다. 소프트웨어 고장 자료 분석에서는 41개의 고장 수를 가진 S27[12]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자료들에서 지수분포 모형과 어랑분포 모형 및 혼합분포 모형의 비교를 위하여 산술적 및 라플라스 검정, 편의 검정 등을 이용하였다.

  • PDF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의 특성과 퇴원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사업가의 개입사례와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MA(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Case and Causal Factors of DAMA - Perspective of Medical Social Worker's Role and Intervention -)

  • 강흥구;이상진;조경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20-1627
    • /
    • 2000
  • Objectives : DAMA cases were analyzed to examine what the main casual factors of DAMA were and how to deal with these cases effectively in hospital with the DAMA interdisciplinary team including medical social worker whose role is to perform psycho-social assessment, family counsel, to evaluate family's DAMA need. Patients and Methods : The content analysis of medical record and social work record were reviewed in 37 cases referred by medical doctor to DAMA team. These cases were reported by patients' self discharge request or family's request for discharge from September 1998 to February 2000. The DAMA team consists of Assistant Director of Hospital as team leader, medical staff in-charge, social worker, QI nurse, other staff members who are not involved in direct treatment for patient, and administrative clerk. Results :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 1) The most causal factors of DAMA consist of combination of more than 2 factors. 2) The major decision-maker is revealed to be son and daughter of patient. 3) In 59.4% of cases, family was not informed of patients' prognosis, alternatives, the consequence of DAMA at all. 4) In cases of DAMA report, the rapid intervention of social worker is carried out.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to make decision legitimately and ethically for DAMA.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deal with DAMA case properly, the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2) The criteria for DAMA case should be formed carefully. For the explicit selection of DAMA case, preliminary system for high-risk patient screening is recommended. 3) The medical social worker is available for the psycho-social problems of the patient once family members. For the effective family counselling, discharge planning and nursing home placement, the particip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 should be mandatory.

  • PDF

추계학적 방법에 의한 한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by the Use of Stochastic Method)

  • 정상만;신현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97-210
    • /
    • 1999
  • 본 연구는 추계학적 과정을 고려함으로써 연유출의 핵심적 통계치를 한발 확률 분포에 관련된 통계치로 유도하는데 사용하여 재현 기간과 물 수요의 다양한 조합에 대하여 한발 기간과 누가부족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한발의 심각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단계에선는 기록기간, 기록의 질을 특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우리 나라의 하천 관측 기록의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에 의하여 선택된 하천의 연속 한발에 대한 추계학적 형태를 정의하는데 필요한 연유량을 결정하였다. 앞의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연속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또는 추정된 연유량 통계치를 최대 한발 사상의 확률 분포와 연관시켰다. 이 결과로 계측 지점에서의 한발 사상에 재현 기간을 부여할 수 있었으며 한발 기록의 확률 평가가 가능하였다.

  • PDF

산란종계의 란중 증대성과 조기 선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crease of Egg Weight and Early Selection based on Part Record in Layer)

  • Park, Y.H.;Ohh, B. K.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1
    • /
    • 1983
  • 산란종계의 란중을 개량하기 위하여 란중에 대한 유전력과 유전상관등의 유전적 모수를 추정한 후 백색 레그혼종 2계통(A, K)에서 주령에 따른 란중의 증가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발에 의한 유전적 개량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조기선발을 실시할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년 평균란중에 대한 각 기간별 란중의 상관관계와 아울러 회귀관계를 분석하여 최적 선발시기를 알아보았고 각 기간별 선발에 의한 개량량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므로써 조기선발에 대한 타당성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령이 늘어남에 따라 란중도 증가하였는데 산란초기에서는 증가량이 컸지만 점차 감소하였으며 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낸 증가량은 A, K계통에서 주당 각각 0.46g과 0.83g이었다. 년 평균 란중에 대한 각 기간별 란중의 회귀계수는 29-32주령의 평균란중이 0.86(A), 0.88(K)로 나타나 가장 큰 수치를 보였다. 45-48주령의 평균란중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선발에 대한 각 기간 평균란중의 선발상대효율에서는 A계통에서 33-36주령, K통계에서 29-32주령의 추정치가 가장 크게 나타나서 이 시기에서의 조기선발에, 대한 타당성을 보여주었다.

  • PDF

Plasma Metabolites Concentrations in Calves until 90 Days of Age for Estimating Genetic Ability for Milk Production Traits

  • Sasaki, O.;Yamamoto, N.;Togashi, K.;Minezaw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813-1821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seful secondary traits for estimating genetic ability of milk production traits.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using plasma metabolites concentrations. Two hundred and nineteen cattle out of 271 had only milk production traits records (G1), 33 had only metabolites records (G2), and 19 had both milk production traits and metabolites records (G3). Fifty two calves with metabolites records (G2 and G3) were born from 1992 to 1997. Forty three calves (29 females, 14 males) were used from 10 to 90 d of age and the others (3 females, 6 males) from 10 to 60 d of age. A total of 566 records of milk yield, fat yield and protein yield for 240 to 305 d on 238 heads (G1 and G2)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blood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AG1, 10 to 30 d; AG2, 40 to 60 d; and AG3, 70 to 90 d. Heritabilities of milk yield, fat yield and protein yield were $0.45{\pm}0.04$, $0.50{\pm}0.04$ and $0.38{\pm}0.04$, respectively. Heritability of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at AG1 was $0.45{\pm}0.08$.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and milk yield, fat yield and protein yield were -$0.35{\pm}0.28$, $0.64{\pm}0.24$ and $0.36{\pm}0.35$, respectively. When the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at AG1 was used to estimate genetic ability of these milk production traits, reliability of milk yield of animals without milk record increased 8.2%, fat yield increased 24.2% and protein yield increased 9.5%. Heritability of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at AG3 was $0.83{\pm}0.04$. Genetic correlation between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milk yield, fat yield and protein yield were $0.58{\pm}0.21$, $0.42{\pm}0.20$ and $0.45{\pm}0.22$, respectively. When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at AG3 was using to estimate genetic ability of these milk production traits, reliability of milk yield of animals without milk record increased 19.0%, fat yield increased 9.6%, and protein yield increased 13.5%. The annual genetic gain is in proportion to the reliability of sele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lasma metabolite concentrations would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genetic ability for milk production traits in the genetic improvement in herd of cows, where half of the animals selected are from a herd without its own milk record.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선도할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 입학제도 타당성 분석연구 (A Study on Validity Analysis of Observation-Recommendation Admission System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to Lead Software-oriented Society)

  • 전우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87-93
    • /
    • 2016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은 개인, 사회 및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있어서 정보통신기술관련산업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산업과는 달리 다양한 기반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수의 인재들에 의하여 단기간에 부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영재 발굴과 교육은 국가의 미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과거의 영재교육의 선발은 주로 지필고사를 통해 실시되었으나, 사교육 등 다양한 폐해로 인해 2013년 이후로 관찰추천제 방식이 전면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제 입학제도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한 정보영재아동들을 대상으로 입학성적과 수료성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관찰추천제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결과 정보영재아동은 입학성적과 수료성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정보영재아동의 경우 입학성적이 좋으면 수료성적이 좋음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교육에 있어서 관찰추천제의 유용성을 판단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A Study on Record Selection Strategy and Procedure in Dataset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 조은희;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251-291
    • /
    • 2009
  • 행정정보시스템은 계속 숫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시스템이 노후화되거나 새로 개발되는 경우 기록이 손실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록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의 특성과 요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기록관리 선진국에서는 정부차원에서 데이터세트 기록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데이터세트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사례도 있고, 보존을 위한 관리체계나 보존포맷에 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도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체제와 개별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수행되고 있으나 공식적인 관리 체계가 수립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에 기본 하여 전자정부 추진 전략의 틀에서 데이터세트 식별체계의 수립과 기록관리기준의 설정 전략을 제안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 기록화를 위한 데이터세트 선별 절차를 (1)기록화 대상 데이터세트 결정, (2)데이터세트 기록 건 식별 단계, (3)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계층 구성 단계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에 대한 보존포맷이나 데이터세트 아카이브 단계에서의 관리절차 등 아카이빙 단계의 문제는 연구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