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cord Selection Strategy and Procedure in Dataset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 Published : 2009.01.30

Abstract

Due to the trend toward computerization of business services in public sector and the push for e-government, the volume of records that are produced in electronic system and the types of records vary as well. Of those types, dataset is attracting everyone's attention because it is rapidly being supplied. Even though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stipulated as an electronic record production system is increasing in number, as it is in blind spot for records management, the system can be superannuated or the records can be lost in case new system is developed. In addition, the system was designed not considering records management, it is managed in an unsatisfactory state because of not meeting the features and quality requirements as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the advanced countrie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ataset and then managed the archives for dataset and carried out the project on management systems and a preservation formats for keeping data. Korea also is carrying out the researches on an dataset and individual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but the official scheme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In this study the items for managing archives which should be reflected when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is designed was offered in two respects - an identification method and a quality requirement. The major directions for this system are as follows. First, as the dataset is a kind of an electronic reco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factor from the design step prior to production. Second, th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tegrating the strategy for records management to the information strategy for the whole organization. In this study, based on such two directions the strategies to establish the identification for dataset in a frame to push e-government were suggested. The problem on the archiving steps including preservation format and the management procedures in dataset archive does not included in the research contents. In line with this, more researches on those contents as well as a variety of researches on dataset are expected to be more actively conducted.

행정정보시스템은 계속 숫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시스템이 노후화되거나 새로 개발되는 경우 기록이 손실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록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의 특성과 요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기록관리 선진국에서는 정부차원에서 데이터세트 기록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데이터세트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사례도 있고, 보존을 위한 관리체계나 보존포맷에 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도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체제와 개별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수행되고 있으나 공식적인 관리 체계가 수립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에 기본 하여 전자정부 추진 전략의 틀에서 데이터세트 식별체계의 수립과 기록관리기준의 설정 전략을 제안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 기록화를 위한 데이터세트 선별 절차를 (1)기록화 대상 데이터세트 결정, (2)데이터세트 기록 건 식별 단계, (3)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계층 구성 단계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에 대한 보존포맷이나 데이터세트 아카이브 단계에서의 관리절차 등 아카이빙 단계의 문제는 연구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

Keywords

Cited by

  1.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09,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2. 복합적 기록 생산 환경에서의 평가를 위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 A구 '공장설립 및 등록' 업무를 사례로 vol.58,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8.147
  3. 폐교 사립대학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 vol.21, pp.1, 2009,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075
  4.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분석: 전자인사관리시스템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 작성을 중심으로 vol.21, pp.3, 2009,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