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Selectio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7초

Gumbel 분포형의 수정 Anderson-Darling 검정통계량 유도 및 기각력 검토 (Derivation of Modified Anderson-Darling Test Statistics and Power Test for the Gumbel Distribution)

  • 신홍준;성경민;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9호
    • /
    • pp.813-822
    • /
    • 2010
  • 빈도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는 특정 재현기간에 대한 수문량의 크기를 산정하는 것으로, 빈도해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측기간보다 긴 재현기간에 해당하는 수문량의 크기를 산정하기 위해 가정된 확률분포형을 표본 자료에 적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확률분포형의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대상 자료로부터 얻어지는 경험적 빈도분포와 가정한 확률분포의 일치 정도를 판단하는 적합도 검정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적합도검정 방법들은 모든 표본 자료들의 적합 정도를 동일하게 고려하기 때문에 극치사상의 크기 증가에 따른 영향은 반영하기 힘든 방법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극치사상에 대하여 가중치를 주는 modified Anderson-Darling (AD) 검정 방법의 Gumbel 분포형에 대한 검정 통계량 한계값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여러 적합도 검정 방법과의 기각력을 비교해 보고,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modified AD 검정 방법이 기존의 여러 가지 적합도 검정 방법보다도 기각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적합도 검정 방법으로는 부족한 분포형 선정 기준의 부족한 부분을 어느 정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악관절 강직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 송민석;민병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60-72
    • /
    • 1995
  •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is the movemental obstacle of mandible which depend on proliferation of bony or fibrous tissue in temporomandibular joint structure by various causes. In order to treat this, various surgical methods have been performed, but no operative methods have been produced consistently successful results.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th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by studying classification, cause, onset, duration, anesthesia and treatment method, symptom, change of mouth opening, complication through medical record, X-ray, follow-up for being a help to proper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 and evaluation of prognosis.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44 cases among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during 8 year hospitalization from 1986 to 1993 i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 The occurrence was in the order of below 10, 20's, 10's, 30's. The average of occurrence was 12.95. Illness period was 50.0% within 10 years and 50% beyond 10 years. The average period of illness was 13.33 years. 2. Trauma occupied 54.5% of causes and inflammation occupied 45.5%. Men had more occurrences due to trauma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se of inflammation. 3. In nasotracheal intubations for general anesthesia, the cases of using fiberoptic laryngoscope occupied 40.9%, direct or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occupied 40.9% and the cases of using tracheostomy occupied 18.2%. 4. In operative approaching methods, submandibular & preauricular approach were mainly applied, and in operative methods, high condylectomy(Group I) occupied 11.4%, arthroplasty without interpositional material following condylectomy or gap ostectomy(Group II) occupied 11.4%, with interpositional material following high condylectomy (Group III) occupied 40.9%, and using condylar reconstruction following condylectomy or gap ostectomy(Group IV) occupied 36.6%. 5. In change of mouth opening reformed after surgery, Group III showed the best result of average 23.5mm, Group IV showed 16.3mm, Group I showed 14.9mm and Group II showed 10.2mm of reformation. Summarizing the results as written above, it is considered that early treatment is important as soon as possible in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It is recommended in surgical method what can lead to postoperative early movement maintaining anatomaical & functional form, and the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rgical methods will be requested.

  • PDF

건강검진 수검자의 의료기관내 검진센터 선택요인과 만족도 (Determin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Health Screening Center by Health Examination at Hospital)

  • 임복희;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57-467
    • /
    • 2014
  • 본 연구는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의 선택요인, 만족도, 재이용의사를 파악하여 이용자의 선호도를 이해하고 검진센터 이용자의 지속적인 검진센터 유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3년 2월 22일부터 2013년 4월 5일 까지 부산시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10개소를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검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89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의 차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 50대 연령, 대졸 이상의 학력, 사무 전문직, 월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 직장인 일반 신검자, 신검센터의 방문이 처음이 아닌 사람, 질병이 없고,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검진센터 선택요인은 접근성, 직장과의 제휴, 주변권유 순의 결과를 보였다. 검진센터에 대한 만족도는 접근성(3.59), 검진내용(3.59), 브랜드인지도(3.58)시설 환경(3.50), 비용경제성(3.40) 순의 결과를 보였다. 질병이 없는 40~50대 연령층에서 검진센터를 재방문 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센터의 검진 종류 및 검진 항목을 다양화하여 이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건강 검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산란종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es of Egg Mass during Laying Period)

  • 오봉국;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86
  • 산란종계의 능력개량을 위해 산란수와 란중의 종합개념의 형질인 산란량을 계산하고 이를 선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산란기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보였다. 1. 계통의 능력 평균치를 조사한 바, 초산일령은 143.24일이었으며, 초산일령부터 60주령 까지의 산란수는 222.44개, 같은 기간중의 평균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54.31g과 12.065.19g으로 나타났다. 2. 부, 모, 전자매 분산성분을 이용한 유전력 추정치에서 초산일령은 0.404-0.570으로 나타났고 60주령까지의 산란수는 0.132-0.346, 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0.378-0.413과 0.204-0.27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유전력 추정치는 란중보다는 산란수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3. 초산일령과 유전상관에 있어서 산란수는 -0.280, 란중은 0.524로 나타나 산란수와 란중간의 부의 상관에 의한 이들 형질의 동시개량의 어려움을 보여 주었으나 산란량과는 0.13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육종에의 이용 가능성을 추측케 하였다. 또한 산란량과 산란수와는 0.711, 란중과는 0.431의 상관계수가 나타나 산란수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형질임을 보여 주었다. 4. 단기선발면을 고려하여 각 산란기간과 전체기간과의 유전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란량의 경우 산란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산란수의 단기검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이저스캔 센서를 이용한 유두위치인식에 관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f Position Recognition Cow-teats Used Scanning Range Finder)

  • 김웅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0
    • /
    • 2011
  • 본 연구는 로봇 착유시스템의 유두인식을 위한 기초연구로 레이저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모형유두의 위치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로봇 착유시스템에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유두와 같은 모양과 크기의 모형유두를 제작하였으며, 각 모형의 재질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센서의 거리에 따른 오차, 각도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4개 유두모형을 이용하여 각 유두의 2차원 거리정보를 동시에 획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유두의 재질선택을 위한 실험에서 손가락의 경우 거리오차가 최대 4.3 mm, 최소 1.3 mm, 평균 2.8 mm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고무재질의 모형유두가 평균 4.3 mm로 나타나 모형유두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거리에 따른 오차는 기준거리 100 mm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 300 mm를 지나 다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각도별 오차는 $170^{\circ}$에서 10.1 mm로 최대오차가 발생하였으며, $70^{\circ}$일 때 0.2 mm로 최소 오차를 나타내었다. 각도에 따른 오차는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 4개 모형유두에 대한 2차원 위치오차를 측정한 결과 거리오차의 경우 최소 3.8 mm, 최대 7.2 mm로 나타났으며, 각도 오차는 최대 $1.2^{\circ}$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오차가 센서 정밀도 내에 포함되며, 센서의 측정 속도와 착유컵의 구멍크기 등을 고려해 볼 때 로봇 착유시스템을 위한 유두의 거리측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Multi-Modal Controller Usability for Smart TV Control

  • Yu, Jeongil;Kim, Seongmin;Choe, Jaeho;Jung, Eui S.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17-528
    • /
    • 201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ulti-modal controller type for Smart TV Control. Background: Recently, many issues regarding the Smart TV are arising due to the rising complexity of features in a Smart TV. One of the specific issues involves what type of controller must be utilized in order to perform regulated tasks. This study examines the ongoing trend of the controller. Method: The selected participants had experiences with the Smart TV and were 20 to 30 years of age. A pre-survey determined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of five tasks(Live TV, Record, Share, Web, App Store).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type of controllers(Conventional, Mouse, Voice-Based Remote Controller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reference, task completion time, and error rate. The experiment consist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utilized a uni-modal Controller for tasks; the second experiment utilized a dual-modal Controller, while the third experiment utilized a triple-modal Controller. Results: The first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uni-modal Controller (Conventional, Voice Controller) showed the best results for the Live TV task. The second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dual-modal Controller(Conventional-Voice, Conventional-Mouse combinations) showed the best results for the Share, Web, App Store tasks. The third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triple-modal Controller among all the level had not effective compared with dual-modal Controller. Conclusion: In order to control simple tasks in a smart TV, our results showed that a uni-modal Controller was more effective than a dual-modal controller. However, the control of complex tasks was better suited to the dual-modal Controller. User preference for a controller differs according the Smart TV functions. For instance,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uni-Controller for simple functions while high user preference appeared for Dual-Controllers when the task was complex. Additionally, in accordance with task characteristics,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Voice Controller for channel and volume adjustment. Furthermore, there was a high user preference for the Conventional Controller for menu selection. In situations where the user had to input text, the Voice Controller ha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users while the Mouse Type, Voice Controller had the highest user preference for performing a search or selecting items on the menu.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in the design of a controller which can effectively carry out the various tasks of the Smart TV.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의 소아청소년환자 의뢰경향 (Referral Trends of Children i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3 years)

  • 배철현;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2-36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외부 의료기관에서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으로 의뢰된 환자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 의뢰되어 내원한 16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고, 환자의 분포 및 진료 내용을 분석하였다. 평균나이 7.4세의 환자가 의뢰되었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1.5배 더 많았다. 장애비율은 3.2%로, 지적장애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 의뢰기관은 주로 개인치과의원이었고, 의뢰이유로는 치료의 어려움이 가장 많았다. 의뢰환자는 주로 치료 전 단계에서 의뢰되었으며, 장애를 가지거나 의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 전 의뢰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의뢰환자의 주소별 비율은 소수술, 수복치료, 교정치료, 치수치료 순이었다. 소아치과에서 이루어지는 2차 의뢰는, 1차 의뢰에 비하여 소수술과 치수치료로 의뢰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치료 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은 더 낮고, 치료 도중에 의뢰되는 비율은 더 높았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소아치과의사가 의뢰된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하는데 있어, 합리적인 기준에 근거한 증례선택 및 재의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건지소(保健支所) 진료활동(診療活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f Medical Carein Health Subcenter)

  • 김문식;김한중;김영기;김일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109-116
    • /
    • 1976
  • Reorganization of myun health care service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health care delivery in rural Korea. The fundamenta, concept of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myun health subcenter is that it is the basic unit of rural health care service and is to provid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curative and preventive servi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curative activities in the myun health subcenter in terms of the most prevalent types of diseases, necessary diagnostic methods and required equipment, types of treatment, necessary drugs and materials, and finally the cost of curative services. The population on which this study was done was the 1596 patients who visited the two myun health subcenters (Sunwon Myun and Naega Myun) in Kang Wha County, the area of the Yonsei University Community Health Teaching Project, during period from May 1, 1975 to June 10, 1976. For the patient's record in the clinic, 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s were used. Decisions regarding the disease classification, the diagnostic methods used and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and adequate medical treatment were made by a group of three experienced physicians after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which had been written by public physicians who were treating patients in the study area. The records were reviewed by resident staff members of th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 brief summary of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 1. 29.9%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s were ages between 0-4. No sex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patients less than 20 years of age. However, among patients over 20 years old, females predominated. Thus it is evident that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either children or mothers and grandmothers. 2. The distance from the individual villages to the myun health subcenter w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ratio of clinic visits. However, other factors such as the activities of the health workers also affected the rates substantially. 3. The most common 25 diseases comprised 90.2% of all the diseases recorded. Acute respiratory infection (25.5%), Skin (12.7%) , diarrheal diseases (6.8%), neuralgia and back pain (4.9%) and. all other injuries (3.9%) were the five most common diseases. 4. Of all the diseases diagnosed and treated, 9.2% required simple laboratory tests for diagnosis, 6.5% required X-ray examination, and altogether 13.6% required either laboratory test or X-ray examination. 5. Treatment and management of 42.0% of the cases could be accomplished with simple, inexpensive drugs, 12.8% required the use of more expensive drugs (mostly antibiotics) and injections were required in 19.7% of the cases. Minor surgery and referral were necessary in 5% of the cases. 6. The cos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was estimated with a standard which was set by general concensus. The average cost of diagnosis was 144 per case and the cost of treatment was 726 per case, The Total average cost per visit was 870.

  • PDF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 박창근;황준식;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39-949
    • /
    • 2020
  • 현재 농업환경 및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지 수요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정부에서는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통합 물 관리시대를 본격화 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61%라는 가장 많은 용수를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논 용수 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잠재증발산량 산정식 선정에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은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ns: 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이 아닌 과거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정 Penman 식이다. 또한 실제 증발산량 산정의 주요 인자인 작물계수는 23년 전의 작물계수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기후 및 작물품종 변화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전주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Penman 및 Penman-Monteith 식을 비교한 결과 수정 Penman 식이 Penma-Monteith 식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큰 값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적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높게 발생되는 5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 두 산정방식에 의한 결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북 김제지역 4개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량과 산정된 농업용수 수요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잠재증발산량 뿐 아니라 담수심법에 따라 최적 수요량 산정방법에는 차이를 보였다.

Bacteriophage MS2를 이용한 소독제 효력시험 확립에 관한 연구 (Method development for efficacy testing of veterinary disinfectants using bacteriophage MS2)

  • 이채홍;김수희;한복희;김영욱;허문;정우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49-155
    • /
    • 2021
  • In virucidal efficacy testing, the chemical inactivation cannot be determined for all viruses due to the difficulties or the inability to culture sufficiently or the risk of exposure to the viruses. Therefore, disinfectants against these viruses could be evaluated by different methods and surrogate viruses are used as alternativ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for efficacy testing of veterinary disinfectants using one of the candidate surrogate viruses, bacteriophage MS2, a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surrogate viruses for efficiency of efficacy testing of veterinary disinfectants. This method is based on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guidelines for efficacy testing of veterinary disinfectants. Bacteriophage and disinfectant are reacted in suspension in accordance with the APQA guidelines and then a newly established double agar layer method is applied for the efficacy test. The double agar layer method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ttom agar with 1.5% agar is boiled and cooled before poured into petri dishes at volume of 20 mL, and dried under biological safety cabinet. 2) The top agar with 0.7% agar is boiled and kept at 50℃ before E. coli culture was seeded. 3) The serially diluted bacteriophage MS2-disinfectant mixtures 0.05 mL and E. coli host 0.01 mL (OD600 0.2~0.3) are mixed with 5 mL of top agar and incubate them at 50℃ for 5 min for reaction. 4) The resulting mixture is poured over top of a bottom agar plate and rocked sufficiently to ensure that the top agar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agar. 5) The double agar layer is then placed under biological safety cabinet to allow the agar layer to solidify and subsequently incubated at 37℃ for 24 hr. 6) Following incubation, the plates may be inspected for plaques and record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