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nstruction error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522초

3차원 메쉬의 면적 정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잡음 제거 (An effective filtering for noise smoothing using the area information of 3D mesh)

  • 현대환;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2호
    • /
    • pp.55-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자동 교정을 통한 3차원 재구성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로 인해 포함되는 잡음을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교한 3차원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잡음 평활화 과정은 잡음 때문에 면적이 큰 메쉬는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데 문제점이 존재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메쉬의 면적이 중요하기 때문에 취득된 3차원 데이터는 불필요한 삼각형 메쉬들을 사전에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차원 메쉬의 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피크 잡음과 가우스 잡음을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한다. 본 알고리즘의 성능은 재구성 데이터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기존의 메쉬 평활화 방법보다 더 정교한 3차원 데이터를 얻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인의 관상면상 원위 경골 관절면 각의 측정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the Coronal Plane in Koreans)

  • 이경태;김진수;양기원;김재영;차승도;김응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59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ormal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coronal plane in Koreans. This would be helpful as the basic data for ankle reconstruction after trauma or deformity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ight bearing anteroposterior radiographs of 123 normal ankles were reviewed. A line parallel to the shaft of the tibia was made. Another line was drawn parallel to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distal tibia. The superolateral angle that subtended by these two lines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72 males and 51 females. The mean age overall was 35.7 years old. The mean age for males was 31.9 ($28{\sim}36$) years old. The mean age for females was 41.1 ($37{\sim}45$) years old.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was $90.8^{\circ}$.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for males was $91.5^{\circ}$ and for females $89.9^{\circ}$. Conclusion: The mean distal tibial articular surface angle in coronal plane for Koreans is $90.8^{\circ}$. We can avoid the error of the varization at the ankle alignment when the correction was performed vertical or minimal valgus to tibia tuberosity axis in Korean people.

  • PDF

Rapid Prototyping으로 제작한 3D Medical Model의 오차 측정에 관한 연구 (임상 적용 가능성 및 사례) (ACCURACY TESTS OF 3D RAPID PROTOTYPING (RP) MEDICAL MODELS: ITS POTENTIAL AND CLINICAL APPLICATIONS)

  • 최진영;최정호;김남국;이종기;김명기;김명진;김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295-303
    • /
    • 1999
  • Presented in this paper are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measure rapid prototyping (RP) errors in 3D medical models. We identified various factors that can cause dimensional errors when producing RP models, specifically in maxillofacial areas. For the experiment, we used a human dry skull. A number of linear measurements based on landmarks were first obtained on the skull. This was followed by CT scanning, 3D model reconstruction, and RP model fabrication. The landmarks were measured again on both the reconstructed models and the physical RP models,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ose on dry skull. We focused on major sources of errors, such as CT scanning, conversion from CT data to STL models, and RP model fabr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error from skull to RP is $0.64{\times}0.36mm(0.71{\times}0.66%)$ in absolute value. This indicates that the RP technology can be acceptable in the real clinical applications. A clinical case that has applied RP models successfully for treatment planning and surgical rehearsal is presented. Although the use of RP models is rare in the medical area yet, we believe RP is promising in that it has a great potential in developing new tools which can ai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surgical rehearsal, education, and so on.

  • PDF

Three-dimensional comparison of 2 digital models obtained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polyvinyl siloxane impressions and plaster models

  • Park, Jin-Yi;Kim, Dasomi;Han, Sang-Sun;Yu, Hyung-Seog;Cha, Jung-Yu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4호
    • /
    • pp.257-26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digital dental models constructed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scans of polyvinyl siloxane (PVS) impressions and cast scan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A pair of PVS impressions was obtained from 20 subjects and scanned using CBCT (resolution, 0.1 mm). A cast scan model was constructed by scanning the gypsum model using a model scanner. After reconstruction of the digital models, the mesio-distal width of each tooth, inter-canine width, and inter-molar width were measured, and the Bolton ratio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2 models were superimpo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was measured using 3-dimensional analysis. Results: The range of mean error between the cast scan model and the CBCT scan model was -0.15 mm to 0.13 mm in the mesio-distal width of the teeth and 0.03 mm to 0.42 mm in the width analysis. The differences in the Bolton ratios between the cast scan models and CBCT scan models were 0.87 (anterior ratio) and 0.72 (overall ratio),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mean maxillary and mandibular difference when the cast scan model and the CBCT scan model were superimposed was 53 ㎛. Conclus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the measurements. The maximum tooth size difference was 0.15mm, and the average difference in model overlap was 53 ㎛. Digital models produced by scanning impressions at a high resolution using CBCT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대역통과필터 기반 인공필터뱅크 (Band-pass Filter based Artificial Filter Bank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 허광희;전준용;전승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843-855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 band-pass filter based artificial filter bank(BAFB) based on that in order to efficiently obtain the significant dynamic responses. The BAFB was then optimized about the El-centro earthquake wave which was often used in the construction research, and the software implementation of BAFB was finally embedded in the wireless unified management system(WiUMS). For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BAFB, a real time dynamic respons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a cable-stayed bridge model, and the response of the cable-stayed bridge model was measured using both the traditional wired system and the developed BAFB-based WiUM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compressed dynamic response acquired by the BAFB-based WiUMS matched significantly with that of the traditional wired system while still carrying sufficient modal information of the cable-stayed bridge. Finally, the developed BAFB was able to reconstruct or re-sample the dynamic response wholly from the compressed response signal, and it can be applied as a new kind of measurement system for a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that secures both economy and efficiency.

전역적 특성과 거리가중치를 이용한 영상 인페인팅 (An Image Inpainting Method using Global Information and Distance Weighting)

  • 김창기;김백섭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8호
    • /
    • pp.629-640
    • /
    • 2010
  • 영상에서 일부분을 제거하거나 훼손된 영상에서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기위해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제 기반 인페인팅은 데이터 항 계산, 신뢰도 항 계산, 그리고 복사할 패치 선택 등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들 각각 부분을 개선하여 기존의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데이터 항을 계산하는데 편미방을 이용해서 국부적인 기울기를 구하기 때문에 잡음에 민감한 문제가 있어 이를 16개의 방향성 마스크를 사용하여 전역적 기울기를 구하도록 하여 잡음에 강건하도록 개선하였다. 신뢰도 항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복원할 영역 내부에서 신뢰도 값이 매우 작아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복원할 영역의 내부에서 신뢰도 항이 천천히 감소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복원할 영역에서 가까운 패치에 가중치를 주도록 패치 선택 방법을 개선하였다. 여러 가지 영상에 대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을 통한 인페인팅이 기존의 예제 기반 인페인팅보다 자연스럽게 복원함을 알 수 있었으며 훼손된 영상을 복원하는 경우에도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오차가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가상현실 기반 선원 훈련 플랫폼 저작도구 개발 (Developing VR-based Sailor Training Platform Authoring Tool)

  • 정진기;이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185
    • /
    • 2016
  • 본 논문은 선원 훈련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 선원 훈련 플랫폼을 위한 저작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저작도구는 훈련의 효율도를 높이기 위해 실 선박 환경을 3D 스캔하여 가상현실 환경으로 불러오는 가상환경 구축부와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훈련 내용을 소화할 수 있는 드래그-앤-드롭 기반의 스크립트 편집부를 지원한다. 본 저작 도구에서는 가상현실 장비들을 지원하고 실환경을 3D 스캔을 통해 가상 현실로 변환하기 때문에 피훈련자는 훈련이 필요한 실환경 내에서 요구되는 동일한 훈련을 이행하게 됨으로써 피훈련자의 몰입감과 훈련 효과를 높인다. 또한 다양한 선박 환경에 대한 훈련 시뮬레이션을 빠른 시간 내에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줄인다. 본 저작도구는 시나리오 편집부를 통해 다중 참여형 훈련 시나리오의 편집과 임무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 PDF

2차원 객체 영상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손실 특징점 보정 (Correction of Missing Feature Points for 3D Modeling from 2D object images)

  • 고성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44-2851
    • /
    • 2015
  • 다수의 2차원 객체 영상으로부터 3차원 형상을 복원하는 방법은 컴퓨터 비젼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복원된 3차원 형상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잡음 영향을 줄이거나 영상 프레임 수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렇지만 특징점 추정 시 잡음은 잠재적으로 내포되고, 관측행렬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수는 특징점 추적 실패, 장애요소 또는 낮은 해상력 등에 의해 일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그래서 잠음 환경 하에 손실된 특징점을 보다 정확히 보정하여 사용 가능한 영상 프레임 수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잡음 분포 하에서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해 손실 특징점의 오차 거리와 방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분석적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은 합성과 실제 객체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해서 검증한다.

자기공명 위상영상 재구성을 위한 향상된 중심배열 정렬 위상 펼침 방법 (Improved Center Array-Sequensing Phase Unwrapping(ICASPU)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MR phase image)

  • 한용희;김강수;정원범;김윤석;이상훈;정숙희;남상희;문치웅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3-26
    • /
    • 2009
  • 본 연구는 향상된 중심배열 정렬 위상 펼침 방법(ICASPL)을 제안하고 자기공명 위상 영상을 재구성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2% 한천젤에 0.6mM/l를 첨가한 팬텀을 제작하여 임상용젠작하5T 자기공명영상와젠상용화된 무릎코일을 이용하여 MR위상영상을 얻었다. 획득된 k 공간 자료는 PC로 옮긴 뒤 매트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제안된 ICASPU의 오차를 2차 회귀분석읕 이용하여 기존의 중심배열 정렬 위상 펼침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ICASPU방법에 비해 제안된 ICASPU방법이 5배 정도 오차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상된 중심배열 정렬 위상 펼침 방법을 이용한 위상영상 펼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위상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적용에 매우 유용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MODIS 손실 자료 복원을 위한 통계적 방법 개발: 평균 편차 방법, 회귀 분석 방법과 지역 변동 방법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methods for retrieving MODIS missing data: Mean bias, regressions analysis and local variation method)

  • 김민욱;이종혁;박연구;송정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94-101
    • /
    • 2016
  • 원격 관측 자료인 위성 자료는 한계점이 있으며, 특히 광학 관측기를 활용하면 구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손실 자료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MODIS)의 관측 자료 중, 지표면 온도 자료를 대상으로 손실 자료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인 평균 편차 방법, 회귀 분석 방법, 지역 변동 방법의 세 가지 복원 방법을 개발하였다. 검증을 위해 2014년과 2015년의 위성 자료에서 관측 비율을 근거로 사례를 선택하였다. 검증 자료에서 확인된 지역 변동 방법의 평균 제곱근 편차(RMSE)는 일부 사례에서 약 2 K 이상으로 다른 복원 방법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회귀 분석 방법의 RMSE는 평균 약 1.13 K으로 대부분의 사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평균 편차 방법 사용 시, RMSE는 회귀 분석 방법 시와 유사하게 약 1.32 K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