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rocity Structur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노인의 질병 관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y of the Concept of Illness by the Elderly)

  • 조명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90-705
    • /
    • 2000
  • This ethnography was based on Kleinman's explanatory model of a health care system. It is conducted to make thick discription of illness conception of the elderly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e basic assumptions were as follows. 1) A health care system is a cultural system, and as with any other cultural system, it is a system of symbolic meanings anchored in a particular arrangement of social institutions and patter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 In all societies health care activities are more or less interrelated. Therefore, they need to be in a holistic manner as socially organized responses to disease that constitute a special cultural system; health care system; 3) Health and illness experiences are the natural process of disease. Individuals who recognized a for state of health, their family, neighbors, and communities define the state, search for causes of the health problems, and response to it. According by, they proceed to search for healing stratagies. So,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experience is the starting point for health car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 elders aged 60 or more. The fieldwork was conducted in an agricultural clan village of Namwon city.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yclic, from descriptive observation, domain analysis, focused observation, taxanomic analysis, selected observation, componential analysis, and finally cultural themes were all analysed. Proxemic and text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e data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990 to 1992. Informations on illness concepts were collected during 1994 using focused observation. Data confirming and contras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rom 1997 and 1999. Illness concepts of the elderly were taxonomized supernatural cause, non-supernatural cause, immediate cause, and ultimate cause. The supernatural ones were ancestors, god of home, god of village, and ghost such as 'sal(evil force of dead man)' and 'gagqui(ghost of begger)'. The non-supernatural ones were Ki, natural phenomenones, natural objects, foods, human and human behaviors. Immediate ones were insufficiency and overflows, discretion and consolidation, disorder and out of order, cloudness and contamination, and fluctuation and stagnation of supernatural cause and non-supernatural ones. Ultimate causes were intrusion and loss of supernatural and nonsupernatural ones. The cultural themes of illness concepts of the elderly are: 1) illness concepts are not based on causality principle, but on reciprocal principle; 2) illness concepts are affected by social level and charicteristics of the patients; 3) the causes of disease are recognized as impo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health based on interpretation of the indiviuals; 4) illness concepts reflects on principles of everyday life of the society members such as hierachial structure and group cohesiveness; 5) illness concepts are ruled on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spread; 6) illness concepts are interrel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ticipan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llness concepts of the elderly in a traditional clan village are a component of health care system as a cultural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se results can be a useful basis for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and education.

  • PDF

소셜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통계학회 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 비교 (The comparison of coauthor networks of two statistical journal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335-3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통계학회가 출판하는 2개 학술지 한국통계학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를 가지고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개별 연구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트 영향력 분석뿐만 아니라 두 학술지가 가지고 있는 공저자 네트워크 형태와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데 있다. 그 결과, 공저자 네트워크의 형태를 나타내는 밀도, 포괄성, 상호연결성, 군집계수와 추이성은 거의 동일한 값을 보였으며, 응용통계연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보다 노드의 수가 많은 이유로 평균연결정도, 평균거리, 직경은 더 높게 나타났다. 결국 한국통계학회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지 공저자 네트워크의 형태는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두 논문집의 이용자가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두 학술지 공저자 네트워크의 중심성 변수들에 대한 비교는 통계적 유의수준 0.05에서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보다 근접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측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 공저자 네트워크보다 근접중심성이 더 높아 공저자들 간에 서로 정보가 더 빠르게 전달되고, 매개중심성 또한 더 높게 나타나 응용통계연구 공저자들이 한국통계학회논문집 공저자들보다 매개성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서(恕)의 두 형태와 그 윤리학적 의미 - 주자(朱子)와 대진(戴震)의 윤리학에서 서(恕)의 위상 - (The Two Forms of Confucian Golden Rule and Their Ethical Meanings)

  • 홍성민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341-366
    • /
    • 2014
  • 이 논문은 서(恕)에 관한 주자(朱子)와 대진(戴震)의 상반된 두 입장을 분석하고 그 윤리학적 의의를 탐색한 글이다. 논문에 따르면, 주자는 서(恕)가 단순한 동질화의 형식일 뿐 구체적인 윤리적 행위 지침을 제공하지는 못한다고 보고, 서(恕)가 오용될 경우는 오히려 부도덕의 상호 용인과 악의 동질화라는 비윤리적 행위를 양산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그는 주체의 도덕적 충실성(忠)을 반드시 서(恕)의 선결요건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야만 서(恕)가 주관적이고 자의적으로 오용되는 것을 막고 윤리의 보편타당성과 도덕의 지고한 가치를 견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대진은 주자의 생각이 도덕 주체를 필연적으로 주관성의 늪에 빠져버리게 할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만일 타자와의 관계성을 괄호에 넣고 우선 도덕성을 연마해야 한다면, 그렇게 완성된 도덕성 역시 주체 내부의 것에 불과하게 되므로 보편타당한 윤리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진은 서(恕)의 가치를 다시 부활시킨다. 그는 욕망의 실정(實情)에 입각하여 서로를 헤아리는 서(恕)의 과정을 통해, 구체적이면서 사실적인 그리고 보편타당한 윤리 준칙이 마련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논문은 주자와 대진의 입장에 현격한 차이가 있지만, 양자가 지향했던 윤리학적 목표는 동일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윤리학적 목표는 공히 주관주의의 폐단을 극복하고 윤리의 객관성과 보편타당성을 확보하려는 것이었고, 이를 통해 약자의 생존을 보장하고 사회적 균등을 실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서(恕)의 보편화 가능성을 정립하고 공정과 평등의 가치 실현을 지향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걷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변화 이해 -과학진로 문화자본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Change -Focus on the Science Career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 안주영;윤선미;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그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개발하여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의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요인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과학관련 진로의 포기, 중간 선택, 유지한 경우에서 각각 4명씩의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각 요인이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외재적 자원을 기반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라는 구조 안에서 의무 및 상호관계 규범을 통해 내재적 자원을 형성하였다. 이 때 형성된 내재적 자원은 과학관련 진로에 대한 희망 여부를 결정하였다. 초등학교 때는 주로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중요시 한 반면, 고등학교로 가면서 진로인식, 적성인식, 진로 가치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는 교육 활동과 일상 활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육 활동의 영향이 증가하였다.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는 초등학교 때는 주로 일상 활동을 통해 형성되며, 고등학교로 가면서 다양한 내재적, 외재적 자원이 영향을 주어 형성되었다. 과학관련 진로를 꾸준히 유지한 학생들은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외재적 자원을 유입시키면서 흥미를 갖는 과학 분야를 좀 더 세분화하고 과학관련 진로를 구체화하였으며, 다양한 외재적 자원과 상호작용하여 내재적 자원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있어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