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 assa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교애사물탕의 변이원성 및 간독성에 관한 연구 (Mutagenicity and Hepato-Toxicity of Kyoaesamultang)

  • 우덕안;홍희탁;문진영;이태균;김철호;김준기;최미정;남경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1997
  • Kyoaesamultang(KA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prescription for various diseases including threatened abortion, associated with pregnancy in traditional medicine. In oder to identify the safety of KA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mutagenicity and hepato-toxicity. In Rec-assay, Bacillus subtills H-17($Rec{^+}$) and M-45($Rec{^-}$) strains were used to clarify the DNA damage property. In Ames te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were used for mutagenicity testing. In SOS umu test,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containing plasmid pSK1002 was used as a tester strain, and the levels of umu operon expression were monitored by measuring the $\beta$-galactosidase activity. From tested results, KAT did not show DNA damage and mutagenicity. On the other hand, hepato-toxicity of KAT to female ICR mice was monitored by the measurements of s-GOT, s-GPT and LDH activities after oral feeding for 15days. KAT showed 34% increase of s-GOT and s-GPT activities, also exhibited 35% increase of LDH activity in mice sera.

  • PDF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 함승시;강신태;최근표;박원봉;이득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9-36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utagenecity and antimutagenic effects from crude extract, heating extract and alcohol extract of Korean mistletoe(Viscum album L.) on the bacterial short-term tests, such as Ames test, spore rec-assay, SOS spot test and SOS chromotest by using several kinds of mutagens. In the Ames test, each extract did not show any mutagenesis, but each extract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80∼95% and 70∼94% against mutagenesis induced by 3-amino-1, 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 and 2-aminofluorene(2-AF)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respectively. In th spore rec-assay, mistletoe ectracts showed antimutagenic effect with inhibiton zone in the range of 5∼11mm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mitomycin C(MMC, 18mm)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ne (MNNG, 24mm), respectively. The heating and alcohol extracts in the SOS chromotest showed 96% and 70% inhibition against benzo-α-pyrene[B(α)P] and Trp-P-1 induced mutagenesis, respectively.

  • PDF

생강성분 6-Paradol의 세포 독성 및 병리학적 연구 (Cytotoxicological and Pathological Studies of 6-Paradol, a Pungent Principle of Ginger)

  • 김옥희;유은숙;정인경;이상섭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6
    • /
    • 1998
  • It is previously reported that 6-paradol can induce prolonged analgesia in experimental anima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of 6-paradol, Ames Samonella/microsome plate assay was carried ou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 98, TA 100, TA 1535 and TA 1538, 6-Paradol was nonmutagenic in Salmonella typhimurium with and without rat liver microsomal activation. The rec assay with Bacillus substilis strains H 17 $rec^+$ and M 45 $rec^+$ was carried out ot test 6-paradol and other compounds (1-3 mg/disc) for DNA damaging activity, 6-Paradol was also nonmutagenic in DNA damaging activity. The relative size of the inhibition zone for 6-paradol was smaller than that of capsaicin. We have also determined the pathological effects of this compound on the various tissues of rats after administrating(i.p.) with increasing doses of 4, 8, 12, 16 mg/kg at 2 hour intervals and found no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histology.

  • PDF

재래종 적색자두(Prunus salicina)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Enzymatically Browned Substances Obtained from the Reaction of Prunus salicina (Red) Enzyme and Polyphenols)

  • 함승시;홍은희;대촌호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2-219
    • /
    • 1987
  • 재래종 적색 자두 (Prunus salicina)에서 효소를 추출하여 4종류의 polyphenol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Bacillus subtilis H17과 M45를 이용한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mes test, 그리고 calfcthymus DNA를 이용하는 DNA절단시험을 이용하여 돌연변이원성과 돌연변이 억제작용을 조사하였다. 포자 rec-assay 에서는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3,4-dihydroxytoluene, chlorogenic acid 의 갈변반응 생성물은 모두 DNA손상능력이 없었으며 8가지 금속이온 중 ${Zn}^{2+}$${Ni}^{2+}$의 첨가로 고초균 DNA손상에 약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DNA절단시험 결과 4종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DNA절단작용이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에 있어서는 pyrogallol 갈변반응 생성물이 ${Cu}^{2+}$의 영향을 받아 ${Cu}^{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한 절단작용을 나타내었으며 3,4-dihydroxytoluene 과 hydroxyhydroquinone갈변반응 생성물은 금속이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 또한 chlorogenic acid갈변반응 생성물은 DNA 절단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Ames test에서는 4가지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benzo$[{\alpha}]$pyrene을 사용한 변이원성 억제작용 실험결과 benzo$[{\alpha}]$pyrene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잎의 용매별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rsimmon Leaves on the Mutagenicity in Spore Rec Assay and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문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8
    • /
    • 2002
  •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과 이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불리한 용매별 획분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spore rec assay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의 증식에 대한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은 spore rec assay에서 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MNNG) 의 돌연변이성을 61% 정도 억제하였으며,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었던 활성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획분 중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강한 돌연변이 유발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U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에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을 50$\mu\textrm{g}$/ml와 100$\mu\textrm{g}$/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이 각각 90%와 99%가지 크게 억제되었다.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을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분리한 획분들 중에서는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인 AZ-521에 감잎의 클로로포름 획분을 각각 50$\mu\textrm{g}$/ml와 100$\mu\textrm{g}$/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 억제율이 100%에 달하였고 감잎의 에틸아세테이트 획분도 사람의 결장암 세포(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AZ-521)에 대해 클로로포름 획분 다음으로 강한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헥산 획분도 이들 두 획분(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보다는 낮았으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항돌연변이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주요 솔잎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ain Pine Needle Extra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icity)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0-455
    • /
    • 1998
  • 한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 assay로서 spore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법으로 시료자체 변이원성 유무와 4가지 양성변이원 물질(MNNG, 4NQO, Trp-P-1 및 B(a)p)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고찰하였다.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 추출물은 spore rec-assay와 S. typhimurium를 이용한 mutagenicity assay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돌연변이 억제 시험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따른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또 각각의 시료들의 분획물 중 잣나무와 소나무의 에테르 분획물들이 간접변이원인 Trp-P-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 PDF

EXAMINATION OF TYR-264 FOR ATPase ACTIVE SITE IN E.coli RecA PROTEIN BY SITE-DIRECTED MUTAGENESIS

  • Kwon, Yong-Kook;Bae, Jun-Seong;Hahn, Tae-Ryo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2권1호
    • /
    • pp.27-29
    • /
    • 1995
  • Site directed mutagenesis has been introduced to determine active sit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E. coli RecA protein. Recombinant DNAs were constructed by point mutation of Tyr-264 to Phe which assumed active site for binding and hydrolysis of ATP. RecA proteins were purified from recombinants containing wild type and mutant genes and analyzed for ATPase activity assay. Result suggests that Tyr-264 is involved in ATP binding rather than ATP hydrolysis.

  • PDF

Genotoxicity Assay Using Chromosomally-Integrated Bacterial recA::Lux

  • Min, Ji-Ho;Gu, Man-B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99-103
    • /
    • 2003
  • An Escherichia coli strain containing the recA promoter that fused to the luxCDABE operon originating from Photorhabdus luminescens was shown to respond sensitively to genotoxic stresses. Two different recombinant bacteria, one (DPDI 657) harboring a plasmid with the recA promoter that fused to the luxCDABE operon, and the other (DPD1710) containing a chromosomally-integrated recA promoter that fused with luxCDABE, were compar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ensitivity of 'the two strai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bioluminescent level, response time, and the minimum detectable concentration of a chemical causing DNA damaging stress. DPDI 710, with a chromosomally-integrated single copy, generally led to lower basal luminescence levels, faster responses, increased response ratios, and an enhanced sensitivity to mutagens, when compared to DPD 1657 with a multi-copy plasmid.

동치미로부터 항돌연변이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Antimutagenic Substance from Korean Dongchimi)

  • 주길재;이창호;우철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32-438
    • /
    • 2001
  • 우리나라 동치미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항돌연변이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숙성중의 동치미부터 300여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들의 항돌연변이활성이 활성을 Salmonella enterotica serovar typhimurium TA100과 TA98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직접 변이원 MNNG, NPD, 4-NQO와 간접변이원으로서 AFB1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DLAB19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한 DL-AB19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ual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 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하였다. Leu.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의 배양 상징액의 MNNG, NPD, 4-NQO 및 AF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100$\mu$ι/plate 첨가시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 subtilis의 포자를 이용한 spore-assay 방법을 사용하여 MNNG와 4-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 PDF

쌀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 전향숙;김인호;김영진;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8-194
    • /
    • 1994
  • 쌀의 돌연변이 억제초과를 검토하기 위해 여러 돌연변이 유발원(3-amino-1,4-dimethyl-5H-pyrido [4,3-b]indole(Trp-P-1), 3-amino-1-methyl-5H-pyrido [4,3-b]indole(Trp-P-2), sodium azide(SA), 2-nitrofluorene(2NF), mitomycin C(MMC), aflatoxin $B_1(AFB_1)$ 및 4-nitroquinoline oxide(4-NQO))에 대한 쌀 추출물들의 억제효과를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SOS chromotest 및 spore rec-assay로 조사하였다. S. typhimurium TA 98 및 TA 100을 이용한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에서 현미(일품벼) 메탄올 추출물이 핵산,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 보다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Trp-P-1, Trp-P-2 및 $AFB_1$)에 대한 억제효과가 약 85% 이상으로써, 직접변이원(4-NQO, 2NF)에 대한 효과 보다 크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은 E.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에서도 Trp-P-1, Trp-P-2, $AFB_1$ 및 4-NQO에 의한 SOS유도에 대해 $77.6{\sim}88.9%$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고, B. subtilis $H17(rec^+)$$M45(rec^-)$를 사용한 spore recassay에서도 양성대조구인 $AFB_1$ 및 MMC에 의한 저지대의 차이를 감소시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현미(일품벼)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나, 농도가 5 mg/plate(5%) 이상에서는 억제효과가 약 90%로 일정하였다. 쌀 품종별 메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는 조사된 11개 품종 모두에게서 나타나, 직접변이원인 2NF에 대해 $4.1{\sim}75.2%$의 억제를, 간접 변이원인 Trp-P-1에 대해 $99.5{\sim}100.2%$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백미와 현미(일품벼)간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비교해 볼 경우, Trp-P-1 및 Trp-P-2에 의한 변이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4-NQO에 의한 변이에 대해서는 현미의 효과가 높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