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time Monitoring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초

고출력 레이저 치료를 통한 근강직 완화의 실시간 모니터링 연구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Muscle Tension by High Intensity Laser Therapy)

  • 홍정선;윤종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8-134
    • /
    • 2012
  • Currently, high-intensity laser therapy (HILT) is increasingly used in various muscle disorders like muscle tension. Our proposed study includes the development of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a myotonometer for HILT.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a piezoelectric sensor and laser distance sensor for muscle stiffness monitoring during the treatm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evel of muscle tension was rapidly decreased after 3 minutes of the high-intensity laser treatmen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combined HILT and realtime muscle tension monitoring system may help to evaluate the therapeutic procedure and efficient treatments for various muscle pains.

CCD 카메라와 수위계를 조합한 철도교량 실시간 홍수위 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Flood Monitoring System composed of CCD Camera and Water Level Gauge)

  • 박영곤;윤희택;김선종;신민호;정승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4-228
    • /
    • 2004
  • In these days, as it frequently happens that water level in the river exceeds the design floods due to irregular heavy rainfall, so it is required, first of an, to manage with railroad bridge safely. Because train control criterion under heavy rainfall is still not prepared and automatic flood monitoring system for railroad bridges is not used, worry over invisible economic loss due to train passage delay is in exist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safety and detect the risk like turnover or failure of railroad bridges through systematic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monitoring method to real time monitoring method supported by sensors and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technology is rapidly needed. This research is on developing the real time flood monitoring system which prevents railroad disasters in advance by detecting continuously the water level of railroad bridge through CCD camera and water level gauge.

  • PDF

연안 해양학적 자료 수집을 위한 관측망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twork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Oceanographic Data)

  • 김상봉;감병오;강병철;김동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2호통권28호
    • /
    • pp.139-146
    • /
    • 1998
  • This paper introduces a network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oceanographic data. The network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such as the buoy to observe oceanographic data, the local site to collect data transferred from buoys, and the host site to construct the oceanographic data-base and to share the information for monitoring coastal oceanographic data. The buoy has a one-board microcomputer to manage and to acquire coastal environment data in real-time. A wireless and wire communication technique is employed in order to transfer data measured by buoys and to link local and host sites, respectively. In measuring coastal environment data, this system shows more cost-effective way than the presents conventional. In addition,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continuously from various sites with the network systems.

  • PDF

GPS를 이용한 수송사고 조기경보시스템 개발(1단계 : 국내외 사례조사와 개발방법제시) (Development of Truck Shipment Incident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Using GPS)

  • 오세창;조용성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9-88
    • /
    • 2002
  • 국가응급대응정보시스템(NERIS)개발의 일부인 수송안전정보부분은 최적수송경로제공시스템과 수송사고 조기경보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수송하는 차량에 대하여 수송시 차량의 위치 및 위험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수송시 발생할수 있는 유고에 따른 피해(화재, 폭발, 가스 유출 등)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조기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실시간 모니터링, 폭발 상황관리, 관련기관정보제공의 3가지 시나리오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른 기능적 요구사항과 아키텍쳐를 제시한다 총 3단계 연구중 1단계 결과로 실시간 유해물질 차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의 실시간 관리가 가능할 뿐 아니라 기타 특정 폐기물이나 건축 폐기물 등의 무단당치 및 폐기 등의 불법적인 행위에 대한 자동 단속 및 관리를 위한 지침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시범 적용을 위해 위치검지 및 통신기술에 대한 비교 $\cdot$ 검토를 진행 중에 있으며, 향후 적절한 기술을 선정하여 1차적으로 수도권에 한하여 시범적용을 수행 할 예정이다.

  • PDF

능동적 응급 호출 서비스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System for Active Emergency Call Services)

  • 한원희;송은하;한성국;정영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016-102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능동적 응급 호출 서비스 지원 ACE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ACE(Active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시스템은 의사전달이 가능한 경증 장애인, 독거노인 및 어린이 등이 사용가능한 E-단말(Emergency Mobile Device), E-단말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 기능 및 E-단말의 제어 기능을 가진 E-서버(Emergency Server)로 물리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다. E-단말은 저가, 경량으로 개발하고 경증 장애인, 독거노인, 어린이 등이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개발한다. E-단말을 통하여 응급 상황을 응급 기관 혹은 E-단말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인터넷 및 CDMA 네트워크를 통하여 응급 상황을 알린다. E-서버는 기본적으로 E-단말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관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 E-단말의 응급 호출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기능을 제공하며, 효율적인 E-단말 관리와 양질의 응급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 PDF

흐름특성과 하상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교량세굴심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Bridge Scour Depth Considering Flow Conditions and Bed Characteristics)

  • 최종석;여운광;김문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893-89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하상이 단단한 지질구조로 이루어진 하상조건에서의 실제적인 세굴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간 교량세굴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세굴심을 측정하였다. 또한, 홍수 전$\cdot$후의 지반구조를 측정할 수 있는 GPR(Ground Penetrating Radar)탐사를 통하여 홍수로 인한 세굴가능성을 면밀히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지질구조에 따른 세굴심 산정공식의 적용성 여부를 판단하였고 하상특성과 흐름특성이 동시에 고려된 실제적인 세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998년 춘계 제주도 북서쪽해역에 출현하는 저밀도수의 거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Water Appeared in the Northwestern Sea of Cheju Island and Its Effect in Spring, 1998)

  • 김상현;노흥길;송야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6-56
    • /
    • 2002
  • 황해남부해역에 근원을 갖고 있는 저온 $\cdot$ 저염의 저밀도수가 춘계인 1998년 3월 중순부터 4월 초순까지 표층에서부터 약 20m층까지 분포하며 연취되는 북서계절풍에 편승하여 제주도 연안천해역으로 Ekman 수송되어 제주도 북부 연안천해역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의 축적을 통하여 해양환경의 Realtime monitoring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어$\codt$해황예보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A Study on Environmental Micro-Dust Level Detection and Remote Monitoring of Outdoor Facilities

  • Kim, Seung Kyun;Mariappan, Vinayagam;Cha, Jae 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63-69
    • /
    • 2020
  • The rapid development in modern industrialization pollutant the water and atmospheric air across the globe that have a major impact on the human and livings health. In worldwide, every country government increasing the importance to improve the outdoor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control to provide quality of life and prevent the citizens and livings life from hazard disease. We proposed the environmental dust level detection method for outdoor facilities using sensor fusion technology to measure precise micro-dust level and monitor in realtime. In this proposed approach use the camera sensor and commercial dust level sensor data to predict the micro-dust level with data fusion method. The camera sensor based dust level detection uses the optical flow bas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detect the dust level and then fused with commercial dust level sensor data to predict the precise micro-dust level of the outdoor facilities and send the dust level informations to the outdoor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method implemented on raspberry pi based open-source hardware with Internet-of-Things (IoT) framework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real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micro-dust level detection is precise and reliable in sensing the air dust and pollution, which helps to indicate the change in the air pollution more precisely than the commercial sensor based method in some extent.

분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Realtime Remote-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Photovoltaic Power Plants)

  • 김창준;김정기;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450-24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분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상태정보 수집 장치인 PVC(PhotoVoltaic Client),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인 UTC(User Terminal Client), 시스템 운영프로그램인 OTC(Operating Terminal Client), 그리고 통신서버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태정보 수집 장치는 인버터와 시리얼통신을 통하여 운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어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모니터링 되고, 수집장치 및 사용자 등의 정보는 운영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리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발전량 및 고장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장인지 향상 및 유지보수비용 감소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