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 driving emissio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42초

3-Dimension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n AC PDP Cell

  • Jung, Jae-Chul;Jeong, Dong-Cheol;Bae, Hyun-Sook;Whang, Ki-Woo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529-532
    • /
    • 2004
  •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fra Red(IR) emission images were obtained from a real 3-dimensional discharge space of a surface discharge type,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AC PDP) cell with the Ne-Xe(4%) 400Torr gas mixture. IR emissions were observed in each period of the ADS(Address and Display Separation) driving scheme with ramp initializing waveform using an images intensified charge coupled device(ICCD) camera. The roles of each electrode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discharge simulation and of the wall charge distributions measured by the electro-optic technique.

  • PDF

차량주행주기를 감안한 환경오염물질 산정 및 적용 - 타당성 평가 적용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and Estimation of Environment Pollutant Emission Considering Vehicle Driving Cycle - Focusing on Feasibility Study -)

  • 정성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3-230
    • /
    • 2011
  • EMEP/EEA Emission Inventory Guidebook에 의하면 자동차 주행에 따른 총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Hot Start와 Cold Start로 구분해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동차 주행주기 특성을 감안하여 교통사업의 타당성 분석 시환경비용절감 편익의 현실적인 산정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수요 분석모형(EMME/3)을 이용하여 분석영향권내 모든 링크단위의 교통량과 통행속도 자료를 활용하는 Tier 3 방식으로 환경오염 물질을 선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현재 계획중인 철도 투자평가사업에 적용하였으며, 적용결과 환경부문의 편익이 기존 대비 약 3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이 투자평가과정에서 적용된다면 철도와 같은 친환경 교통수단의 투자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평균차속을 이용한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모형의 보완방향 (Improvement of the Emission model Based on Average Speed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 김영호;홍성진;이태우;박준홍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6
    • /
    • 2012
  • 교통부문에서 발생되는 $CO_2$ 배출량이 전체 $CO_2$ 배출 총량의 33%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현재까지 표준화된 교통부문 오염물질 배출량 산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균 차속 모형은 빠르고 간편하게 대기오염 영향을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다양한 도로조건과 교통조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평균 차속 모형을 통하여 산출된 배출량이 주행 여건에 따라 현실에서 발생하는 배출량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향후에는 평균 차속 모형의 배출계수가 도로 유형과 교통 상황에 따라 구분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Parametric investigation of a hybrid vehicle's achievable fuel economy with optimization based energy management strategy

  • Amini, Ali;Baslamisli, S. Caglar;Ince, Bayramcan;Koprubasi, Kerem;Solmaz, Selim
    • Advances in Automotive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105-121
    • /
    • 2018
  • The hybrid electric powertrain is a robust solution that allows for major improvements in both fuel economy and emission reduction. In the present study, a through-the-road hybrid vehicle model with an electric motor driving the rear axl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driving the front axle has been constructed. We then present a systemat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real time applicable optimal Energy Management Strategy (EMS) for a hybrid road vehicle. More precisely,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rule-based EMS strategies to an optimization-based strategy, namely ECMS (Equivalent Consumption Minimization Strategy). The comparison is conducted in parallel with a parameterization of the siz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implementation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that allows following the line of best fuel economy. For the FTP-75 driving cycle, the constrained engine On-off control algorithm is shown to offer a 28% improvement potential of fuel consump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le the ECMS strategy achieves an improved potential of nearly 33%.

SULEV LPG 자동차의 배출가스 저감효과 평가 (Estimation on the Emission Reduction of SULEV LPG Vehicles)

  • 박준홍;이종태;김선문;김정수;강대일;임윤성;한보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8-76
    • /
    • 2012
  • SULEV (Super Ultra Low Emission Vehicle) which is one of the emission standards in Fleet Average System introduced to Korea from 2009 is known as the most severe standard to achiev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sidering low sales volume of hybrid vehicles in Korea, vehicle manufacturers are required to develop SULEV technologies for conventional gasoline and LPG vehicles to meet the future Fleet Average standar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emissions has been made between SULEV developed and ULEV LPG vehicles mainly produced in this time. To estimate the emission reduction of SULEV vehicles, CVS-75 and NIER test modes have been used. CVS-75 has been used for emission certification of gasoline and LPG vehicles. NIER modes cover various average vehicle speed and reflect Korean real driving patterns better than CVS-75. The test results show that SULEV LPG vehicles have very high potential to reduce $NO_x$ in regulated emissions, $N_2O$ in green house gases and toluene in VOCs. However, SULEV LPG vehicles don't affect much on the reduction of CO and total green house gases.

교통환경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사점 (차량배출량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f Emissions Studies for Transportation Engineering)

  • 강종호;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8
    • /
    • 2007
  • 교통정책측면에서 국내의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구체화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교통환경 관련연구를 차량배출량 산정, 차량배출량감소 정책, 차량배출량감소 교통운영 관련연구로 구분하고 연구동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차량배출량 산정관련 연구는 차량의 주행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거시적인 산정방법위주의 연구에 그치고 있어, 미시적인 배출량산정 모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차량배출량감소 정책관련 연구는 계량화된 기초자료를 축적하여 권역별 대기오염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차량배출량감소 교통운영관련 연구는 환경영향의 정량적 평가와 ITS 및 신호시스템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을 통해 차량배출량을 최소화 시키는 교통신호운영전략의 수립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교통분야에서 환경의 고려가 중요시 되는바, 본 연구결과가 연구자들에게 최근 연구사항을 신속히 파악하여 연구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해양차량 쇽업소버용 강재의 이종 마찰용접과 AE평가 (Dissimilar Friction Welding for Marine Shock Absorber Steels and its Evaluation by Acoustic Emission)

  • 이배섭;공유식;김선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48
    • /
    • 2005
  • The shock absorbers for marine vehicles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to absorbing the shock resulting from driving. Depending on the kinds of vehicles, these essential components, piston and piston rod, must be made of S25C, S45C, and SCM440, must be precisely machined, and assembled by the bolts. Other materials used have been difficult to weld, and could be unstable in quality, by the conventional arc welding. Also, they have been associated with a lot of technical problems in manufacturing. However, using the friction welding technique, such problems will be avoided. These factors have necessitated the domestic development of the marine shock absorber using a friction welding, as well as stimulating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real-time weld quality evaluation by AE techniques.

국내 휘발유 자동차의 증발가스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porativ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oline Vehicles)

  • 박준홍;박영표;임윤성;이종태;김정수;최광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21-129
    • /
    • 2011
  • Hydrocarbons which are the main sources of VOCs from motor vehicles are emitted not only from the engine exhaust gas but also from evaporation of the fuel in storage and supplying systems. Evaporative emissions from gasoline fuel systems could be classified by diurnal, hotsoak and running loss. Diurnal loss test procedures are different as countries. Korea introduced new evaporative regulation in 2009 with 24hour VT-shed test procedure and relaxed emission standards. The estimations on different test procedure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new Korean regulation get a little more severe than before and the 2 day diurnal loss test of U.S. is the most severe. So the test procedures as well as the stronger standar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 evaporative emission regulation to reduce VOCs from motor vehicles. The important parameters to affect evaporative emissions are air and fuel temperature and fuel vapor pressure. Diurnal loss increases exponentially as rising air temperature and vapor pressure. The effects of vapor pressure on running loss are different as the capacities of canisters. Tests with simulating real temperature and driving conditions show that hydrocarbons in evaporative emissions could be more than those in exhaust gas in summer season because of the higher air temperature.

차량인증모드와 실도로 주행모드별 국내 경유 소형화물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특성 분석 (A Study of Greenhouse Gas Emission Rates from LDTs according to Emission Certification Modes and Real-World Vehicle Driving Cycles in Korea)

  • 김지영;서충열;손지환;박준홍;문태영;이상은;김정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35-243
    • /
    • 2012
  • 자동차 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배출원으로써,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하여 2020년까지 교통부문에서는 BAU 대비 34.3%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2012년부터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차기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마련하는데 있어 소형 화물차량에 대한 대상차종 포함 여부가 검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유 소형화물 자동차를 대상으로 주행모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차속모드인 NIER 모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량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반비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O_2$의 경우 일정차속(65.4 km/h) 이상의 고속구간에서는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자동차 주행거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모드를 적용한 결과, 유럽에서 적용하고 있는 NEDC 모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복합모드 시험 시 $CO_2$ 배출이 CVS-75 모드에 비하여 8% NEDC 모드에 비하여 14% 적게 나타났다.

Peugeot 607 경유승용차의 매연여과장치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PF System of Peugeot 607 Diesel Passenger Car)

  • 김홍석;김진현;신동길;조규백;정용일;김강출;이영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66-74
    • /
    • 2004
  • DPF technolog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reducing diesel particulate emission. PSA Peugeot Citroen introduced the DPF equipped diesel passenger car, Peugeot 607 HDI Sedan, in 2000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in which SiC filter, an oxidation catalyst, cerium based fuel born catalyst and post-injection technology were used for PM regener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ugeot 607 DPF system were studied on chassis dynamometer and real road driving conditions. The change of emissions and fuel economy during 80,000km operation were also tested. Additionally, ash contents accumulated in the DPF filter was analyzed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as investigated after running of 80,00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