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 Estate Incom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세종시 투자자의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와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l Estate Investment Factors in Investors of Sejong City on Investment Performance and Reinvestment Intention)

  • 박태복;정재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4호
    • /
    • pp.63-7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세종시 부동산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와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였다. 세종시 부동산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세종시 부동산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투자성과가 투자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 적합도 분석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각 경로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가치적 측면, 정책적 측면, 재정적 측면의 투자요인은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가치적 측면에 해당하는 지역선정, 투자가치, 입지선정 요인이 세종시투자를 결정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책적 측면의 투자요인은 투자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동산정책, 물가/경기, 부동산시장 요인이 부정적 상황으로 변화하여도 세종시 부동산 투자성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투자성과가 투자만족도와 재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자만족도 역시 재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동산 투자요인 항목 중에서 세종시 부동산의 중요한 투자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선정, 투자가치, 부동산정책, 언론매체 요인의 경로계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익성, 자산가치, 부동산성과, 부동산만족, 가치상승 요인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세종시 부동산투자는 투자성과와 함께 투자만족도가 높고 향후 재투자에도 매우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계 재무구조 분석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s by Family Life Cycle)

  • 김민정;이희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financial structures differ from the family life cycle. The data was drawn from the 2002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1,957 households. The level of total income and subcategories of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amily life cycle and showed tendencies to increase up to the period of child birth and then sharply dropped down during the retirement period.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in total and subcategories showed a U shape by family life cycle and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amily life cycl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f dining out showed the highest level at the beginning of family establishment, whereas medical cost showed the highest level for later years. The level of total asset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family life cycle and a little decreased for the later years, and the level of real estate assets showed the highest ratio(90% over) out of total asset components of family life cycle.

주택가격, 소득불평등 및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Price, Income Inequality and Macroeconomic Variables)

  • 권선희;현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55-62
    • /
    • 2019
  • 본 연구는 주택가격의 변화가 거시경제변수와 소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여 주택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지니계수, 금리, 취업자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16개 광역시 도의 자료를 활용한 패널분석을 하였고 패널자료임을 감안하여 패널 VAR모형을 구축한 뒤 그랜저인과관계, 충격반응함수,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랜저인과성 검사와 충격반응검사 결과, 주택시장의 매매가격과 취업자수, 금리가 소득불평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전세가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주택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산분해분석 결과에서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전세가격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난 반면에 금융위기 이후에는 전세가격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금리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금리, 취업자수, 주택시장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소득불평등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롯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시 변수들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소득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수립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Income Inequality Decomposed by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A Comparison of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81
    • /
    • 2020
  • 본 논문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1998~2018년 한국노동패널(KLIPS) 조사자료의 APC(Age-Period-Cohort) 모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소득 불평등의 강도와 추세 및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 추세를 비교·분석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호트와 연령효과 양자의 경우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위 베이비붐 및 '386세대'를 포함하는 50~60대는 비수도권의 다른 연령대 및 코호트와 비교해 상대적인 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가 있다. 둘째,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를 설명하는 데에 미시적인 개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보다는 누락변수의 구조적·제도적 요인과 특성변수의 사회적인 차별 효과가 더 의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코호트 내 및 코호트 간 소득 불평등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다.

가구의 소득분위별 가계부채 주관적 상환부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Subjective Repayment Burden in Household Debt by Income Quintile Groups)

  • 박윤태;노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45-158
    • /
    • 2017
  • 최근 가계부채의 급증과 경제적 변화는 가구의 현금 흐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높은 원리금 상환부담으로 부실위험이 증가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들은 가계부채에 대한 객관적 상환부담지표를 구성하여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수요자 인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이용하여 가구의 소득분위별 가계부채 주관적 상환부담요인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소득 1 2분위에서 월세, 신용카드대출, 주거마련 대출비율이 높을수록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3 4분위는 60대 이상, 가구원수, 부동산담보대출이 많을수록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5분위는 부채상환마련 대출비율이 높을수록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경제에 적합한 양도소득세 중과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avier transfer income tax for a digital economy)

  • 김종우;최정일;이옥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53-64
    • /
    • 2013
  • 디지털 경제에 적합한 주택시장안정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주택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억제하고 투기이익을 환수하기 위해 1세대 2주택 이상자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중과하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주택 투기소득을 조세로 적극 흡수하여 주택에 대한 기대수익률을 낮추고 투기적 주택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취지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1주택자와 다주택자 등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이외에 부동산업 종사자, 세무사, 세무공무원 등 다주택자 중과제도에 대한 전문적인 견해를 피력할 수 있는 그룹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다주택자 중과제도 존속에 대한 찬반 여부와 효과 등에 대한 의견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주택보유량이 많은 서울시 거주자일수록 다주택자 중과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 보유량이 많을수록 다주택자 중과제도 폐지에 찬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의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제도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형자산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소득접근법의 평가기법을 중심으로 - (A Theoretical Review on the Intangible Assets Valuation Techniques of Income Approach)

  • 안정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207-22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평가에 있어 소득접근법에 속하는 무형자산의 평가기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소득접근법에 의한 무형자산의 가치는 장래 기대되는 경제적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이다. 관계법령의 무형자산의 평가기준으로는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 지식재산기본법, 국유재산법의 규정을 검토하였다. 경제적 편익의 추계방법으로는 외삽법, 생애주기분석법, 감응도분석법, 시뮬레이션분석법, 판단법, 타불라라사법을, 자본환원율과 할인율의 추계방법으로는 시장추출법, 자본가격결정모형, 조성법, DCF모형, 가중평균자본비용법을 고찰하였다. 대상무형자산의 자본환원방법으로는 사용료절감법, 초과이익환원법, 이윤분할법, 업체가치잔여법, 가상소득환원법 등을 살펴보았다.

현대 산업 사회에 있어서 40대 중산층 주부가 지각한 가정 생활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Family Life Issues Percieved by the Middle-Class Housewives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 옥선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5-154
    • /
    • 199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find out overall family life issues percieved by the middle-classhousewives in their forties. 2) To examine detailed aspects related to middle years crises, leisure activities, children issues, family economy issues, and housing issues. 3) To clarify solutions to, and provide basic data on family issues raised by the middle-class families. The middle-class housewives in their forties living in the Seoul area were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sample size analysed in this study was 422. Data were analysed by the frequency, mean,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X2-tes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nd Scheffe-test as a post-hoc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class housewives tend to give more importance on children issues, especiall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family cohesion of middle-class families is comparatively high and intra-familial conflict is low, and middle years crisis of housewives is comparatively low, too. Third, the stability of middle-class families can be found in household economic management patterns. one fourth of the families own stocks and two fifths of the families own real estate except their own dwelling house. Be based on their property income add to their labor income, middle-class families are showed their economic stability, however, intra-class inequality is found, too. Fourth, the great part of middle-class families that possess their own house, tend to be unsatisfied with their housig scale, and a half of the families expect to enlarge their housing scale for more comfortable and convient living.

  • PDF

경기불황에 따른 자영업가구의 재정비율의 변화분석 -1997년 대비 1998년의 재정비율분석 비교- (Analysis of Financial Ratio Change in Self-Employed Households with Economy Depression -A Comparison between year of 1997 and 1998-)

  • 배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1-223
    • /
    • 2001
  • This study analyzed the financial ratio change of self-employed households between 1997 and 1998. The data were drawn from Korean Households Panel Study and utilitze7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period of time, 1997 and 1998. The sampe size in 1997 was 692 householdsand and 600 households in 1998. The mean of financial asset showed that in 1997, self-employed households had much less in liquidity assets, especially in bank-related income, stock, but had more in real-estate, Gye, and private loan than those in 1998. In cases of debt-owned, the self-employed tended to have more debt in non-bank related and it illustrates that the self-employed may experience the difficulties to access the financial assistance in economic depression. Using guideline of each ratios, for six financial ratios, self-employed could meet less proper level$ in 1998 compared to those in 1997. It proves that the economic crisis affect the stability of income and financial assets of self-employed households and types of financial assets changes because of the stability.

  • PDF

일본 공적역모기지의 변화와 시사점 (A Study on the Change and the Hint of Public Reverse Mortgage System in Japan)

  • 유선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9-56
    • /
    • 2005
  • This study will focus on status and structure of Japanese public reverse mortgage that has been changed since 1980. Especially, on newly introduced long-term supporting system for living fund after 2003. Privat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studied preceding cases of real estate products with reverse mortgage theory and also induced learning point from the change of Japanese public reverse mortgage market. From this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a better plan for successful reverse mortgage introduction in Korea. The data and articles of Japanese reverse mortgage are used for this study, also reverse mortgage related data are collected from web-site and research report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From the total postal survey in September, 2004, the system contents after Year 2003 are described here. As described above, reverse mortgage is a way to support public social pension system and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assisting method for stable housing and supporting living cost to the ag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introducing a public reverse mortgage as a welfare system for low incom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