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of Student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29-4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사회감정전략을 이용한 영어독해수업 모형제시를 위한 이론 및 사례연구 분석 (An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a case study for teaching EFL reading with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 최경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spc호
    • /
    • pp.185-2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of the theories concerning socioaffective strategies, to analyze the dialogues of the students negotiating for meaning of a reading material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reading. The examination of the theories - the interaction hypothesis and the sociocultural theory - suggest that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facilitates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hat is to be found. distributed, and taken in among the participants. The discourse analyses of the students' interaction in a Korean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 show ample evidence of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that helped them understand the meaning of a text. However, the analyses show that the strategies are mostly used to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meaning of clauses. Only few analytical questions are raised for some structural and pragmatical features in the text which are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its meaning. Imbalance also exists in the types of the questions used by the participants. The analyses indicate that, instead of negotiating more interactively, the students tend to rely upon a more advanced student when they face difficult English sentences. Therefore as a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socioaffective strategies to help students to help themselves to become more cooperative, independent and analytical in reading English texts.

  • PDF

영자신문 활용을 통한 중학생의 독해능력 향상 (Improving English Reading Compet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Newspapers in Education)

  • 김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7-48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수업을 통해 중학생의 독해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개의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해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숙달도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영자신문 활용 수업은 흥미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 대상은 광주에 있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4명과 통제집단 36명 총 70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험집단은 영자 신문을 활용한 수업을 10주간 진행하였다. 그리도 통제집단은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문법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12.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영어독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도록 하였다.

공감독서교육이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송지애;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67-292
    • /
    • 2018
  • 본 연구는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감독서교육의 현실적인 공감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공감독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10명과 교재도서의 중요도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집단 12명의 델파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기도 U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104명을 대상으로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체제에 관한 학생들의 시 지각 반응 연구 (A Study of Student' Visual Perceptive Response to Reading System for High School Textbooks)

  • 이영호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9-115
    • /
    • 1994
  • This styudy analyzed the main bodies, marginal space, Position of the main bodies of curent textbooks in high schools and "the eriteria of reading system for textbooks" which was sugeste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rovided some sugestions for the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s used for the study were bot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dsdarch with a questionaire. Inorder to research for the main body of textbook, space of margin, the optimum position fo the main body, sizes of litters, spaces between letters, words, lines length of lines, sizes of main body and margin, and margin, and postitionof main body were checked through a related literature review. For the questionaire experiment, a questionaire based on data drawn from analysis of textbooks, "criteria for reading system of textbook" sugest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y the researcher was made and used for the test, targetting 384 body and girl students in high schools.

  • PDF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Reading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 송민선;장인호;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85-308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3-4세 유아를 위한 '쉬운 책'의 개발 및 '쉬운 책'이 유아의 책 읽기 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asy-to-read' Books on Preschooler's Independent Reading)

  • 현은자;김영실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onstruct 'easy-to-read' books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sy-to-read' books on young children's independent reading, the subjects were twenty six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Saemaul murery school in Irk, chullapuk-do.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d of two storybook reading conditions: in the first condition. subjects were encouraged to read traditional storybooks and in the second condition, subjects were encouraged to read 'easy-to-read' books. The paired t-test and the Student's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in both groups attempted to read more frequently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Subject in the 'easy-to-read' condition attempted to read more frequently on the post test than subjects in the traditional book condition.

  • PDF

대학도서관건립(大學図書館建立)에 있어서 배치(配置)와 모형(模型)에 관(関)한 시안(試案) -특(特)히 "J대학" 제(第) 2 도서관(図書館)을 중심(中心)으로- (A TENTATIVE PLAN ON AN ARRANGEMENT AND A MODEL OF UNIVERSITY LIBRARY BUILDING)

  • 최정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5-184
    • /
    • 1981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 tentative plan on an arrangement and a model of university library building which is the 2nd (branch) library of J. National University in North Jeonla province. At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built new library building for undergraduate student in J. National University. Secondary, I studied on the site problems, a model, size and an arrangement planning in this campus. Finally, at least, to install modernized facilities for this library have to require as follows: 1. General Reading Room 2. Reference Room 3. Basic Reading Room 4. Free Reading Room 5. Reserved Room 6. Periodical Room 7. Seminar and Group Study Room 8. Brousing Room 9. Smoking Room 10. Display Hall.

  • PDF

초등학교의 독서교육을 위한 웹 기반 동료평가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Peer Evaluation System for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박창욱;문교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71-480
    • /
    • 2004
  • 독서를 통하여 높은 수준의 사고능력을 습득할 수 있으므로 독서능력은 모든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기본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독서교육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사고와 비판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서교육은 교사의 시간적 제약과 대응력의 부족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료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여 독서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학생들은 웹에서 자유롭게 독후감을 작성하고 다른 학생들이 쓴 독후감을 평가할 수 있다. 동료평가 과정은 단순히 점수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동료들의 평가와 조언을 활발하게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평가하면서 자신의 글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 교사중심이 아닌 학습자중심의 활동으로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유익을 주기 위함이다. 본 시스템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과대학 학생들의 전공독서 실태 분석 연구: A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ading of Major Subject Books by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a University)

  • 이종문;주용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49-165
    • /
    • 2016
  • 본 연구는 A대학교 문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서역량과 전공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문과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학생 457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과별 독서역량에 집단 간 어휘력과 독해력, 속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공독서 실태에서는 전체 학과에서 독서를 하지 않는 학생이 66.9%에 달하고, 그 이유가 교재만으로 수업과 과제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67.7%)이 많았다. 셋째 전체 전공독서량을 조사한 결과 82.1%가 15권미만이고, 11.3%가 1권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의 전공독서시간이 5시간미만 68.9%, 10시간미만 13.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독서역량 학과 간 편차, 전공독서 여부 및 독서량, 시간 등)를 토대로, 전공독서의 양과 질을 넓혀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