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Preferenc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좌석 자원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Seat Resource Management System Driven User)

  • 강민성;이상준;안기중;김장형;김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19-2326
    • /
    • 2007
  • 최근 비행기, 기차, 버스를 비롯하여 극장이나 도서관 좌석 등과 같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좌석 자원을 초과하는 수요가 발생하면 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때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기존의 한정 된 좌석 자원의 배정 및 관리 방식은 중앙 시스템에서 집중 관리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관점에서 한정된 도서관 열람실 좌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객이 직접 좌석을 선택하고 좌석에 대한 기회를 균등하게 가질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좌석 할당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Effects of a mobile healthcare service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s on practicing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isk factors

  • Kim, Tae-Yon;Lee, Yun-Su;Yu, Eun-Jung;Kim, Min-Su;Yang, Sun-Young;Hur, Yang-Im;Kang, Jae-H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6호
    • /
    • pp.509-52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a mobile health (mHealth) application can instigate healthy behavior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metabolic disorders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abnormalities. SUBJECTS/METHOD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mHealth intervention group (IG), which used a mobile app for 24 weeks, and a conventional IG. All mobile apps featured activity monitors, with blood pressure and glucose monitors, and body-composition measuring devic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fter 24 weeks in terms of health-behavior practice rate and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risks, and health behaviors performed by the IG that contributed to reductions in more than one health risk factor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Preference for low-sodium diet, reading nutritional facts, having breakfast, and perform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Health IG. Furthermore, the mHealth I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eight items in the mini-dietary assessment; particularly, the items "I eat at least two types of vegetables of various colors at every meal" and "I consume dairies, such as milk, yogurt, and cheese, every day."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risks, with the exception of fasting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Health IG, while only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at-risk triglycerides and waist circumference of femal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show improvements of health risks, those who showed improvements of health risks in the mHealth IG had an odds ratio of 1.61 for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1.65 for "I do not add more salt or soy sauce in my food," and 1.77 for "I remove fat in my meat before eating."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dditional use of a community-based mHealth service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is effective for improving health behaviors and lowering metabolic risks in Koreans.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D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e-Books Usage in Small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D University Library)

  • 김진영;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29-44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관련 정책과 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지방의 한 소규모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9명의 유효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이책과 전자책의 선호도에서 아직은 전자책의 선호도(12%)보다 종이책의 선호도(71%)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자책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전자책의 이용 만족도(45.6%)가 종이책의 이용 만족도(27.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자책을 일반독서 용도로 사용할 때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 기기는 태블릿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책서비스 운영 정책 및 홍보 계획의 수립, 이용자에게 친숙한 전자책서비스 이용 환경의 제공, 다양한 주제의 전자책 확보, 전자책 이용 목적에 부합하는 전용 단말기의 제공, 대학 간 전자책 공동 이용 연합체의 구성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Role of Processing Fluency in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

  • Cho, Hyeje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1-52
    • /
    • 2013
  • The metacognitive experience of the ease or difficulty with which new, extern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referred to as 'processing fluency,' has been shown to influence a wide range of human judgments including truth judgments, familiarity judgments, risk perception, evaluation, and preference (see Alter and Oppenheimer 2009 for a review).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consumer's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 based on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new informat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if the inferential link between (dis)fluency-(un)familiarity can feed into the perception of innovativeness. This study also explores how a consumer's processing motivation can moderate the consumer's reliance on processing fluency in judgments and how the influence of fluency can vary depending on judgment task orders. In an experiment, participants rated a new product's innovativeness and then indicated their product attitude (or vice versa depending on the judgment task order condition) after reading a product review article that was printed in either an easy-to-read or a difficult-to-read font (for fluency manipulation). The findings show that low need for cognition individuals infer higher product innovativeness when processing product information is difficult rather than easy, consistent with the common assumption that 'new information is more difficult to process than familiar informa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once low fluency is attributed to innovativeness, it may no longer lead to a negative response to the product. High need for cognition individuals' judgments on product innovativeness are not affected by fluency. The findings also demonstrate a judgment task order effect on the use of fluency in judgments (e.g., Xu and Schwarz 2005).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idence that an individual's fluency experience can be us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in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s especially under low processing motivation conditions. The findings can help marketers better understand the malleability of consumer judgments and perceptions of product characteristics (e.g., product innovativeness) by demonstrating an interesting interplay of processing fluency, processing motivation, and judgment task-related contextual factors.

  • PDF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의 연구영역 중첩분석 (Overlap Analysis of Research Areas in Fou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 정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9-277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4대 학술지를 대상으로 구조적토픽모델과 문헌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영역을 분석하고, 각 학술지의 공통 및 특화된 연구영역을 식별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 지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지들이 각기 다른 연구영역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문헌정보학회지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전반적인 연구영역을 가장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또한 유사한 연구경향을 보였으나 도서관경영 및 도서관프로그램과 관련된 주제 선호도가 높았다.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는 문헌정보학 전반의 연구주제 및 타 학술지에 비해 학교도서관이나 독서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특화된 주제들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 정보관리학회지는 정보기술 및 정보학 전반에 대한 주제적 비중이 높아 다른 세 학술지와 비교했을 때 주제적 차별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학술지별 주요 연구영역을 파악함으로써 연구자들의 논문투고와 학술지의 주제 특성화 및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Analysis of Program P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 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12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산림치유 잠재수요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무엇인지 파악하게 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 성인 남 여 620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가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숲속 운동회, 캠핑을 선호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다른 연령과 비교해서 20대는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숲속 사진치료 등, 30대는 자유롭게 숲속 걷기, 상담, 강의 듣기(스트레스, 대인관계 관련), 비전 세우기 등, 40대는 명상,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맨발로 숲속 걷기 등, 50대는 호흡법 호흡체조, 요가, 등산, 묵언 산행, 자연음식 먹기 등의 프로그램을 각각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학생은 스트레스 평가와 진단, 음식 만들기 등을, 교사는 자유롭게 숲속걷기, 등산, 숲속 독서,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캠핑 등을, 주부는 요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등을, 전문 연구직은 호흡법 호흡체조, 묵언산행, 명상, 숲속 잠자기 등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중립도 기반 선택적 단어 제거를 통한 유용 리뷰 분류 정확도 향상 방안 (Increasing Accuracy of Classifying Useful Reviews by Removing Neutral Terms)

  • 이민식;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9-142
    • /
    • 2016
  •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결정에 판매 제품을 이미 구매하여 사용한 고객의 리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고객들이 제품 리뷰를 남기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구매고객들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한 제품에 대한 고객 리뷰가 너무 많아져서 구매하려는 제품의 모든 리뷰를 읽고 제품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 되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과 연구자들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리뷰들 중에서 유용한 리뷰들의 속성을 파악하거나 유용한 리뷰와 유용하지 않은 리뷰를 미리 분류하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고객들에게 유용한 리뷰를 필터링하여 전달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서-단어 매트릭스에서 단어의 제거 기준으로 온라인 고객 리뷰가 유용한 지, 그렇지 않은지를 구분하는 문제에서 단어들이 유용 리뷰 집합과 유용하지 않은 리뷰집합에 중복하여 등장하는 정도를 측정한 중립도를 제시한다. 제시한 중립도를 희소성과 함께 분석에 활용하여 제거할 단어를 선정한 후에 각 분류 알고리즘의 성과를 비교하였다. 최적의 성과를 보이는 중립도를 찾았으며, 희소성과 중립도에 따라 단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실험은 Amazon.com의 'Cellphones & Accessories', 'Movies & TV program', 'Automotive', 'CDs & Vinyl', 'Clothing, Shoes & Jewelry' 제품 분야 고객 리뷰와 사용자들의 리뷰에 대한 평가를 활용하였다. 전체 득표의 수가 4개 이상인 리뷰 중에서 제품 카테고리 별로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1,500개의 리뷰와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1,500개의 리뷰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집합에 따라 정확도 개선 정도가 상이하며, F-measure 기준으로는 두 알고리즘에서 모두 희소성과 중립도에 기반하여 단어를 제거하는 방안이 더 성과가 높았다. 하지만 Information Gain 알고리즘에서는 Recall 기준으로는 5개 제품 카테고리 데이터에서 언제나 희소성만을 기준으로 단어를 제거하는 방안의 성과가 높았으며, SVM에서는 전체 단어를 활용하는 방안이 Precision 기준으로 성과가 더 높았다. 따라서, 활용하는 알고리즘과 분석 목적에 따라서 단어 제거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주택 면적계획을 위한 요소로서 행위면적 산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he Area for Behavior as an Element in Planning the Floor Space of the Elderly Housing)

  • 이윤재;이현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59-7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amount of space for each behavio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ehavior in the housing to plan the optimal floor space of the elderly housing. The method for calculating space for behavior begins with classifying behaviors, identifying them and then taking pictures of the model of elderly people who reproduce each behavior. Based on the pictures, body parts which are necessary for each behavior are assembled and the formula for behavioral space is created. The space for behavior is produced considering the body dimensions of Korean elderly in their sixty's as well as the furniture size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people. 3D modeling is used to verify the result. Human behaviors can be classified into individual-related, housework-related, family-related, reception-related and other behaviors. These five behaviors are subdivided into more specific behaviors. The area for each specific behavior is calculated with the anthropometric data of the elderly, preferred furniture dimension and psychological area. As a result the required area for specific behaviors is as follows: the behavior of sleeping in a bed needs $4.3m^2$; the behavior of changing clothes on a chair, $1.7m^2$; the behavior of watching TV on the floor $1.3m^2$, the behavior of working and reading using a desk, $2.1m^2$, the behavior of exercise, $2.5m^2$; the behavior of showering on a chair, $1.3m^2$ and showering using a wheelchair, $1.9m^2$; the behavior of toileting using a wheelchair, $2.3m^2$; the behavior of washing up using a wheelchair, $1.9m^2$; the behavior of eating using a table for four persons, $4.4m^2$; the behavior of cooking and washing dishes, $0.9m^2$ per counter-top; the behavior of washing clothes using a washing machine, $0.9m^2$; the behavior of ironing on the floor $1.4m^2$; the behavior of reception(three persons) on the floor considering personal space, $4.0m^2$; the behavior of taking on and off shoes on a chair, $1.3m^2$. The result of the study is utilized as quantitative data to calculate optimal floor space for elderly housing. In addition, qualitative data such as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spacial usage and storage capacity are necessary to produce the floor space which can provide convenient and safe living environment.

PPA기법을 적용한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중점개선 여가활동 참가지수 분석 (Analysis on the Leisure Constraint and Index Concentrate Here Improvement's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Private Security Agents Applying PPA Technique)

  • 김경식;김찬선;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7-325
    • /
    • 2010
  • 이 연구는 PPA 기법을 적용하여 민간경호경비원들의 여가활동 집중개선 여가활동을 도출하고, 나아가 여가제약이 참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민간경호경비원들의 여가후생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투자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2월 서울 소재 6개소 민간경비업체를 대상으로 판단표집법을 적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26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PPA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768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활동 참가 지수인 선호도와 참여도는 차이가 있다. 중점개선 여가활동은 헬스, 산책/조깅, 숙박관광, 당일여행 등이며, 노력지속 여가활동은 영화, 국내유명관광지, 이성교재, 외식, 대인관계, 스포츠 관람, 독서, 노래방, TV 비디오 시청, 음주 등이다. 개선요망 여가활동은 수상스포츠, 등산, 자전거, 축구, 사진촬영, 구기운동, 항공스포츠, 바둑/장기, 인라인스케이트, 요리 등이다. 둘째, 민간경호경비원의 여가제약은 여가활동 참가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여가제약의 하위요인인 개인내적 제약, 주변의식적 제약이 클수록 선호하는 여가활동 참가지수는 감소하는 반면, 구조적 제약, 시간 경제적 제약과 같은 어려움을 극복할 경우 여가활동 참가지수는 증가한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기대수준에 관한 연구 -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xpected Level of Users of the Public Library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of Goyang -)

  • 이현정;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3-63
    • /
    • 2015
  • 도서관 서비스 품질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개별 기대수준에 따라 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 서비스도 결국은 이용자의 기댓값에 따라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평가도 좌우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이다. 만족도의 조사 결과, 고양시민들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만족의 선호순위는 1) 시설, 2) 문화프로그램 및 강좌, 3) 사서친절도, 4) 소장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순위의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1) 도서관 공간에 기대수준, 2) 도서관 사서에 대한 기대수준, 3) 이용자가 새롭게 희망하는 서비스, 4) 도서관에서 희망하는 강좌 등을 연령별, 직업별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법에 대한 요구는 연령이 높아지면서 나타났다. 또한 외부 강사활용과 같은 도서관외부자원을 활용한 서비스는 취업이나 예술강좌 등이었으며, 도서관 내 자원을 활용하는 독서강좌 등에 대한 이용자 기댓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