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ompetenc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3-441
    • /
    • 2007
  •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 PDF

방사선과 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 장현철;이행기;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87-294
    • /
    • 2015
  • 직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을 더욱더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대학교 재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및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직업능력 일곱 개 영역에 있어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병원 근무에 있어서 환자 및 구성원들과 대인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교 재학생 및 모든 학과에 대해 일반화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직업기초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학년별 및 학생 수준별로 진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산업체와 잘 연계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 직업인식과 직무역량 강화방안 (Dental hygienist's job recognition and vocational competency reinforcement)

  • 조은덕;김은솔;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5-66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ies and problems to be solv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and to identify the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Methods: From April 1 to May 30, 2019, a total of 325 people participated (152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RDH, 173 students of dental hygiene: SDH) in this study. The survey items were as follows: "job awareness" (6 items), "problem to be solved to strengthen vocational competency" (5 items), "qualities to be equipped to strengthen"competency" (9 items), and "practical work to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4 items). Results: RDH and SDH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3.68, 3.99 points), and low remuneration against work (4.21, 4.18 points)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The qualiti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expertise knowledge (4.68, 4.64 points) and vocation for job (3.76, 4.09 points). Practical work to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appeared as follows: X-ray film reading, dental hygiene diagnosis, periodontal pocket measurement, and periodontal pockets (<6 mm)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to strengthen the vocational competency among dental hygienists, construct work autonomy, and rationalize and legalize practical work.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on Cultural Competenc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민아;최소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0-46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cultur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Korea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with 432 papers published between 1985 and 2016 from five electronic databases and other sources using such key words as 'cultural competency', 'cultural nursing', 'multi-cultural competency', 'nursing students', 'nurses', etc. Results: The research design of 86 nursing researches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analyzed in this study was 90.7% in quantitative research, 9.3% in qualitative research, and 2.3% in mixed research. Cultural competence was the most measured concept. A total of 41 papers (47.7%) out of 86 papers were used to measure cultural competence. Ten different tools were used various instruments of cultural competency were used in 41 papers. In 11 experimental studies, new methods such as role playing, case study, four stage 3D puzzle model, newspaper reading, and writing reflection note were used other than traditional method of lecture. Conclusion: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well-designed experimental studies, qualitative studies and repeated studies to confirm the effects of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highly diverse teaching methods is recommended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y. Supporting systems and funding are required to help activate research of nurses.

정보활용교육 주요 토픽과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in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 이민수;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5-477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주요 토픽과 사서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서교사가 적절한 요소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2년 5월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술지에서 출판된 정보활용교육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20개의 토픽 중 정보활용교육(T10)이 12.0%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T2) 10.4%, 이용자 서비스(T3) 8.8%가 그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토론(T7) 3.3%, 독서교육(T19) 2.9%, 인력 관리(T13) 2.1%, 사서교사 직무 만족도(T17) 2.1% 등은 정보활용교육 토픽모델링에서 저조한 토픽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수업모형개발(T1)과 교육과정 개발(T20)은 사서교사가 협업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에는 고유한 평가지표로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교육 및 수업 지원' 요소에 '수업모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추가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PISA 2012 공개 문항을 활용한 예비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 분석 사례연구 (Analysi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based on PISA 2012 Items)

  • 임해미;이민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07-222
    • /
    • 2015
  •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MCK") includes not only knowledge for mathematics, but also academic knowledge for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process knowledge. We can consider the items in PISA 2012 as suitable tools to assess process knowledge as well a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because these items are developed by competent international educational experts. Therefore, the responses to items with the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conjunction with the mathematical conten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FMC. The results showed the reasoning competency in responses using the conditions of the problem and of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after reading the complex problems within the context (i.e. the reasoning and argumentation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requires improvements.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e errors due to a lack of ability of devising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the implications towards the directions of the education for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ve been derived.

Designing of Assessment System using Multiple Devices based on NCS Professional Basic

  • Chang, Young-Hyun;Ko, Chang-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4호
    • /
    • pp.48-53
    • /
    • 2016
  • In this paper, all elements used in integrated infrastructure for job competency assessments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ill be merged into assessment system using multiple devices(ASMD). NCS is a systematic approach on required abilities (knowledge, technical expertise, attitude) to process the tasks in the fields by industry. Competiveness of ASMD design is that no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using personal devices like PC, laptop, smartphone, and tablet, while seeing screen, hearing, touching, speaking, and writing. Question type can be limitless to express the situation. To lead technologies and market for domestic and oversea assessment system, supporting on multiple devices with connectivity that will eliminat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s the key feature for design competitiveness. Design of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NCS, fundamental competency evaluation, online test, job aptitude test, and foreign language test which involve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Compared with existing evaluation method, reduction of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 will be greater. Along with development of ICT technologies, the next generation of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will be quickly changed to ASMD, which already involves connected service between internet and smart devices.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 이경화;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1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 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9-102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 후 조직 내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5개 기관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모형 사례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9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9개 영역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정보 기술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력관계 형성능력,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능력, 가치관 및 태도, 리더십 영역이다. 그리고 9개 핵심역량을 습득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을 대학 교양과목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내용과 학습효과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역할과 역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Job Roles and Competency Levels Recognized by Teacher Librarians)

  • 박주현;강봉숙;임정훈;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3-22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직무별 중요도와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수행 역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사서교사의 직무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서교사의 직무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임정훈 외(2021)가 선정한 25개의 직무를 수정한 뒤 사서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사서교사 자신의 직무별 중요도,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별 중요도 그리고 사서교사 자신의 수행 역량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독서교육과 리터러시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로 '도서관 행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도서관 이용지도' 수행 역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중점적으로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이 필요한 직무로는 '콘텐츠 큐레이션', '다른 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지원', '디지털 기능과 기술 활용', '교수학습매체 제작', '정보의 접근과 공정이용', '교수설계 및 구현',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을 포함한 9개의 직무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