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ction parameter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8초

복합전이금속(Ni, Co, Mn) 기반 스피넬계 산화물의 소결 거동 및 온도센서 특성 연구 (Sintering behavio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ransition metal (Ni, Co, Mn) based spinel oxides for temperature sensor applications)

  • 소영희;이은서;이진영;민성욱;이빈;김형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3-77
    • /
    • 2024
  • 스피넬계 산화물 중 (Nix, Mny, Co3-x-y)O4(NMC)는 부온도계수 온도센서 소재로 활용되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NMC는 Ni, Mn, Co 화합물 분말을 이용하여 고상반응법을 통해 제조되는데 이 중 소결 공정을 통한 치밀화 과정이 온도센서 소재의 온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NMC 펠렛을 고상반응법을 통해 제조하고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또한, 소결 과정 동안의 치밀화 거동 분석을 위한 활성화 에너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NMC 펠렛의 상온 저항은 10.03 Kohm이었으며 센서민 감도인 B-value는 3601.8 K로 다양한 산업군에 온도센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치밀화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는 273.3 ± 0.4kJ/mol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소결 과정의 열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Ni(II)-거대고리 리간드 착이온 ($NiL_m{^{2+}}$) 과 $CN^-$ 이온간의 반응성 (Chemical Reactivity between Ni(II)-Macrocycle Complex Ions ($NiL_m{^{2+}}$) and $CN^-$)

  • 박유철;변종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4-343
    • /
    • 1987
  • $NiL_m{^{2+}}$착이온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Ni(1[14]4-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and\;Ni(meso-[14]-decane)^{2+}$}과 $CN^-$이온 사이의 화학반응은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NiL_m{^{2+}}$착이온과 $CN^-$이온으로부터 1:1착이온, $[NiLm(CN)]^+$생성반응의 평형상수$(K_1)$는 3 ~ $25^{\circ}C$ 범위에서 결정되었다. $NiL_m{^{2+}}$착이온이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Ni(1[14]4-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 그리고 $Ni(meso-[14]-decane)^{2+}$일때 평형상수($K_1$)은 $15^{\circ}C$에서 각각 4.7, 5.3, 6.2, 7.5, 9.4, 및 9.8이었다. $K_1$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K_1$에 대한 온도영향으로 부터 열역학적 파라메터 $({\Delta}G^{\circ},\;{\Delta}H^{\circ},\;{\Delta}S^{\circ})$를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 $[NiLm(CN)]^+$ 생성반응은 모두 발열반응으로 나타났다. $NiL_m{^{2+}}$ 착이온과 $CN^-$이온은 반응하여 Ni(CN)_4{^{2-}}$이온과 거대고리 리간드 (Lm)가 생성된다. $[CN^-],\;[HCN],\;and\;[OH^-]$ 변화에 따라 $Ni(CN)_4{^{2-}}$이온의 생성속도는 0.5M $NaClO_4$, 온도 3∼$25^{\circ}C$ 범위에서 연구되었다. $[CN^-]$가 일정할 때 [HCN]가 증가하면 $k_{obs}/[CN^-]^2$값은 선형으로 증가하였다. $OH^-$ 이온이 과량으로 존재할 때 [$OH^-$]에 따라 역시 $k_{obs}/[CN^-]^2$ 값은 선형으로 증가하였다. $NiL_m{^{2+}}$ 착이온과 $CN^-$이온 반응의 속도상수($k_{obs}$)에 대한 온도영향으로 부터 활성화 파라메터$({\Delta}H^{\neq},\;{\Delta}S^{\neq})$를 결정하였다.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 그리고 $Ni(meso-[14]-decane)^{2+}$ 순서로 d-d 전이에너지, $ν(cm^{-1})$가 감소할수록, ${\Delta}H^{\neq}$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5가지의 $NiL_m{^{2+}}$ 착이온과 $CN^-$이온 사이의 반응은 동일한 경로로 반응이 진행되었다.

  • PDF

T1영상에서 TR, TE 매개변수에 따른 Gadoteridol의 신호강도 변화 (Gadoteridol's Signal Change according to TR, TE Parameters in T1 Image)

  • 정현근;정현도;남기창;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9호
    • /
    • pp.117-1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조영증강 MRI 검사 시 T1 effect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 매개변수 중 대표적인 TR과 TE가 가돌리늄과 결합한 $H_1$ 스핀의 신호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R 가돌리늄 조영제인 0.5 mol Gadoteridol로 제작된 MR팬텀을 이용하여 1.5T MRI 장비에서 FSE(Fast Spin Echo)시퀀스로 실험하였다. 이때 FSE 매개변수 중 TR과 TE의 값들을 서로 달리하였다. 이 때 TR 수치는 각각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msec, TE는 6.2, 12.4, 18.6, 21.6 msec로 임상적인 T1 effect를 구현하는데 있어 매개변수 값이 물리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였고, TR, TE가 서로 교차되어 실험되었다.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통해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이 때 조영증강 반응시작 지점인 RSP(Reaction Starting Point)는 TR과는 무관하게 TE 6.2 msec에서 100 mmol, TE 12.4 msec에서 50 mmol, TE 18.6 msec에서 40mmol, TE 21.6 msec에서 30 mmol을 나타내었다. 최대 신호강도인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는 TR 200 msec에서는 TE모두 4mmol에서 형성되었고, TR 250에서 600 msec까지는 모두 4, 2, 1, 0.8, 0.6 mmol의 저 농도 영역으로 피크치가 지연되었다. 반응면적인 RA(Reaction Area)는 TR 200-600 msec에서 각각 21183.2, 21536.6, 21875.9, 22114.3, 22419.1, 22895.8, 23208.6, 23189.1, 23210.4 [a.u]로 TE 6.2 msec일 때 가장 수치가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돌리늄 조영증강 정도는 MR매개변수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T1 조영증강 검사에 있어서 본 연구의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진단학적으로 효율적인 TR, TE 매개변수 값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스트레스에 의한 오이와 토마토 공정육묘의 광화학적 지표 해석 (The Assessment of Photochemical Index of Nursery Seedlings of Cucumber and Tomato under Drought Stress)

  • 함현돈;김태성;이미현;박기배;안재호;강동현;김태완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479-487
    • /
    • 2018
  • 본 연구는 엽록소형광반응 분석을 이용하여 건조스트레스에 의한 공정육묘의 광화학적 활력을 분석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공정육묘를 8일 동안 건조스트레스 처리를 하였다. 엽록소형광반응(OJIP)과 매개변수 분석을 통해 건조스트레스로 인한 작물의 광화학적 변동을 평가하였다. 엽록소 형광반응(OJIP) 분석 결과, 토마토는 처리 후 5일부터 최대 형광량(P)이 감소한 반면 J-I 단계에서는 엽록소 형광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생리적 활력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이의 경우 처리 후 4일부터 최대 형광(P) 및 변동 형광량($F_V$)이 낮아지고 J-I 단계의 엽록소 형광 수치가 증가하였다. 엽록소 형광 매개변수 분석한 결과 토마토는 처리 후 5일부터 특히 $ET2_O/RC$$RE1_O/RC$가 감소하면서 광계II와 광계I의 전자전달효율이 유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보인 반면 오이는 처리 후 4일부터 $ET2_O/RC$$PI_{ABS}$가 상당히 변화하였다. 결론적으로 $F_V/F_M$, $DI_O/RC$, $ET2_O/RC$, $RE1_O/RC$, $PI_{ABS}$, $PI_{TOTAL}ABS$ 6개의 지표가 공정육묘의 건조스트레스를 판단하는 지표로 선정되었다. 건조스트레스지수(DFI)를 통해 건조스트레스로 인한 작물별 건전성 평가를 하였고 오이의 경우 토마토에 비해 건조 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가스 혼합-순환식 플라즈마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as Mixing-circulation Plasma Process using Design of Experiments)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9-368
    • /
    • 2014
  • The aim of our research was to apply experimental design methodology in the optimization of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which is indictor of OH radical formation) degradation using gas mixing-circulation plasma process. The reaction was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voltage ($X_1$), gas flow rate ($X_2$), liquid flow rate ($X_3$) and time ($X_4$)] being modeled by the use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RNO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using a second-order polynomial multiple regression model.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value of 0.9111, thus ensuring a satisfactory adjustment of the second-order polynomi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NO removal efficiency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a coded unit: RNO removal efficiency (%) = $77.71+10.04X_1+10.72X_2+1.78X_3+17.66X_4+5.91X_1X_2+3.64X_2X_3-8.72X_2X_4-7.80X{_1}^2-6.49X{_2}^2-5.67X{_4}^2$. Maximum RNO removal efficiency was predicted and experimentally validated. The optimum voltage, air flow rate, liquid flow rate and time were obtained for the highest desirability at 117.99 V, 4.88 L/min, 6.27 L/min and 24.65 min, respectively. Under optimal value of process parameters, high removal(> 97 %) was obtained for RNO.

POU class 1 homeobox 1 gene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growth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Manjula, Prabuddha;Choi, Nuri;Seo, Dongwon;Lee, Jun He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643-649
    • /
    • 2018
  • Objective: POU class 1 homeobox 1 (POU1F1) mediates growth hormone expression and activity by altering transcription, eventually resulting in growth rate variations. Therefore, we aimed to identify chicken POU1F1 polymorphisms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growth-related traits, and logistic growth curve parameter traits (${\alpha}$, ${\beta}$, and ${\gamma}$). Methods: Three SNPs (M_1 to M_3) were used to genotype 585 $F_1$ and 88 $F_0$ birds from five Korean native chicken line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Results: Single marker analyses and traits association analyses showed that M_2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weight at two weeks, weight gain from hatch to 2 weeks, and weight gain from 16 to 18 weeks (p<0.05). M_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eight gain from 14 to 16 weeks and from 16 to 18 weeks, and asymptotic body weight (${\alpha}$) (p<0.05). No traits were associated with M_1. The POU1F1 haplogrou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eight gain from 14 to 16 weeks (p = 0.020). Linkage disequilibrium test and Haploview analysis shown one main haploblock between M_2 and M_3 SNP. Conclusion: Thus, POU1F1 significantly affects the growth of Korean native chickens and their growth curve traits.

Correlation of the Rates of Solvolyses of Cinnamyl Bromide

  • Koo, In-Sun;Cho, Jun-Mi;An, Sun-Kyoung;Yang, Ki-Yull;Lee, Jong-Pal;Lee, 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431-436
    • /
    • 2003
  • Solvolytic rate constants at 25℃ are reported for solvolyses of cinnamyl bromide (1) in binary mixtures of water with acetone, ethanol, methanol, methanol-d, and 2,2,2-trifluoroethanol. Product selectivities are reported for solvolyses of 1 in aqueous ethanol and methanol. Rate ratios in solvents of the same $Y_{Br}$ value and different nucleophilicity provide measures of the minimum extent of nucleophilic solvent assistance (e.g. $[k_{40EW}/k_{97TFE}]$Y = 2.88, EW = ethanol-water). With use of the extended Grunwald-Winstein equation, the l and m values are similar to the values of 0.43 and 0.88 obtained for the solvolyses of 1 using the equation (see below) which includes a parameter (I) for solvation of aromatic rings. The magnitude of l and m values associated with a change of solvent composition predicts the $S_{N1}$ reaction mechanism rather than an $S_{N2}$ channel. Product selectivities (S), defined by S = [ether product]/[alcohol product]×[water]/[alcohol solvent] are related to four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involving one molecule of solvent as nucleophile and another molecule of solvent as general base catalyst.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1/S and molar ratio of solvent is derived theoretically and validated experimentally for solvolyses of the above substrates from water up 75% 1/S = $(k_{wa}/k_{aw})$([alcohol solvent]/[water]) + $k_{ww}/k_{aw}$ alcohol-water. The results are best explained by product formation from a “free” carbocation intermediate rather than from a solvent-separated ion pair.

Determination of Shelf Life Model of Pork Cutlet and Pork Lard during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 Park, Jung-Min;Lee, Su-Han;Koh, Jong-Ho;Kim, Jin-M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64-678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shelf life for pork cutlet of ground meat and pork lard by using various quality indicators and to understand how quality changes in these products are accelerated by temperature. The samples were selected and purchased from markets in Korea, and the chosen quality indicators were total aerobic counts and coliform group in microbiological analyse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ssay, volatile basic nitrogen, pH,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in physical chemic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The pork cutlet samples were stored at $-18^{\circ}C$, $-6^{\circ}C$, and $-1^{\circ}C$, whereas pork lard samples were stored at $10^{\circ}C$, $25^{\circ}C$, $35^{\circ}C$, and $45^{\circ}C$. Thes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set to real distribution conditions. The samples were then analyzed using various models including of reaction orders, arrhenius equation, and $Q_{10}$ value. The quality limits for each sample were calculated, and shelf life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emperature control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se products and revealed that temperature is a useful parameter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database for shelf life.

폴리에틸렌 왁스의 산화변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Oxidation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Wax)

  • 최병렬;박양준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37-843
    • /
    • 1997
  •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 제조에 있어서 주요 반응인자인 사용 왁스의 물성, 산화시간, 산화온도, 공기의 주입량 등에 따른 산가의 변화와 산화에 따른 폴리머의 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주어진 반응조건 하에서 산화온도에 대한 산가의 변화는 $160^{\circ}C$까지는 증가하였지만 $170^{\circ}C$에서는 오히려 산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공기 주입량에 비례하여 산가는 증가하였다. 또한 사용한 왁스의 분자량이 낮을수록 산가가 높았다. 분자량과 밀도차가 공존하는 시료의 산화반응에서는 가지의 길이, 수 등에 의한 밀도보다는 분자량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되었다. 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분자량은 감소하고 분자량 분포는 넓어짐을 알 수 있었다. 온화한 조건 하에서 고산가를 얻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개시제를 촉매로 사용하였는데 같은 조건 하에서 무촉매인 경우에 비하여 고산가의 산화형 왁스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DCPO(dicumylperoxide), HOPO(t-butyl peroxy 2-ethyl heaxanoate), BPO(butylperoxide) 순의로 반감기가 긴 촉매가 효율적이었다.

  • PDF

리튬 2차 전지용 LiCo1-XMgxO2(x=0.03)의 결정구조, 전기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 (Crystal Structures, Electrical Conductiviti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Co1-XMgxO2(x=0.03) for Secondary Lithium Ion Batteries)

  • 김호진;정우창;정연욱;이준형;김정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602-606
    • /
    • 2005
  • [ $LiCoO_{2}$ ] is the most common cathode electrod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LiCo_{0.97}Mg_{0.03}O_2$ was synthesized by the solid-state reaction method. We investigated crystal structures, electrical conductivitie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e crystal structure of $LiCo_{0.97}Mg_{0.03}O_2$ was analyzed by X-ray powder diffraction and Rietveld refinement. The material showed a single phase of a layered structure with the space group R-3m. The lattice parameter(a, c) of $LiCo_{0.97}Mg_{0.03}O_2$ was larger than that of $LiCoO_2$.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intered samples was measured by the Van der Pauw method.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LiCoO_2$ and $LiCo_{0.97}Mg_{0.03}O_2$ were $2.11{\times}10^{-4}\;S/cm$ and $2.41{\times}10^{-1}\;S/cm$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Hall effect analysis, the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LiCo_{0.97}Mg_{0.03}O_2$ is believed due to the increased carrier concentrations, while the carrier mobility was almost invariant.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by coin cell test. $LiCo_{0.97}Mg_{0.03}O_2$ showed improved cycling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LiCoO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