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e of spread

검색결과 995건 처리시간 0.037초

초지화재 발생시 바람의 속도 및 초본의 높이가 화염전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Wind Velocity and Height of Grassland on the flame Spread Rate of Forest Fires)

  • 배승용;김동현;유홍선;이성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52-257
    • /
    • 2008
  • 산불은 산림이 울창해짐에 따라 대형화되고 화재에 의한 피해면적이나 그 피해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산불은 바람의 속도, 초지의 습도, 높이, 열량 등 많은 환경변수들의 차이에 따라 화염전파속도가 달라진다. 산불의 화염전파속도에 이러한 환경변수가 주는 영향을 정확히 예측한다면 산불 진화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아직 정확한 영향에 대한 분석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NIST에서 개발된 산불 화염전파 예측프로그램인 WFDS를 이용하여 다량의 실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호주의 초원화재실험조건을 기본 시뮬레이션 조건으로 설정하고, 수치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초본의 높이와 바람속도의 변화에 따른 화염전파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치해석 결과 표면연료의 높이와 화염전파속도는 의 관계를 가지고, 바람의 속도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는 호주의 실험값에 비해 17%가량 하향 예측되었다. 또한 바람의 속도가 7.5m/s이상 높아지면, 열분해 된 가연물질이 빠른 바람의 속도에 의한 이동으로 인해 농도가 낮아지므로, 화염전파속도가 늦어진다.

정책자금 정당성에 근거한 정책자금의 대출금리 결정 방안 (A Framework to Determine the Loan Rate of the Government Loan Program based on Rationales of the Government Loan Program)

  • 윤병섭;유시용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109
    • /
    • 2007
  • 정책자금의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정책목적성 스프레드와 신용위험 스프레드를 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중진공의 중산기금 대출사업은 정책목적성 중심의 저금리 대출이라는 공공성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기금의 안정성과 수익성은 크게 훼손되고 있다. 중산기금이 설치목적과 공익에 맞도록 운영되더라도 기금의 안정성과 수익성이 훼손되어서는 아니 된다. 결국 중산기금 중 대출사업 관리주체인 중진공은 대출금리 설정에 있어서 최소한 기금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끔 대출금리를 설정해야 한다. 이는 정부의 정책목적성 스프레드를 현재 부(-)에서 영(0)으로 바꾸어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 PDF

DLL을 이용한 다중 변조 비율 확산대역클록 발생기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with Multi Modulation Rate Using DLL (Delay Locked Loop))

  • 신대중;유병재;김태진;조현묵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CMOS 회로를 이용한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SSCG)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지연고정루프(DLL)의 저역통과필터(LPF)에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럭 변조 로직에 의해 조절되는 전하펌프를 연결하여 전압 제어지연로직(VCDL)에 가해지는 제어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주파수의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변조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부가적인 회로가 필요없기 때문에 레이아웃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전력소모가 작아지는 장점을 갖는다.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록 발생기는 UMC 0.25um 공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및 레이아웃을 수행하였으며 전체 면적은 290um${\times}$120um^2 이다.

입경 변화에 따른 퇴적금속 분체층의 화염전파 (Flame Spreading Over Metal Dust Deposits With Particles Size)

  • 한우섭;최이락;한인수;이정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603-608
    • /
    • 2010
  • 퇴적금속분체의 입경 변화에 따른 화염전파 거동과 발화특성을 자체 제작한 실험장치와 열중량분석 시험장치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균입경이 다른 Mg, Ti를 포함한 Zr, Ta, Mg-Al(90:10 wt%)의 금속분진과 PMMA 시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금속 퇴적층의 두께가 5 mm 이상의 경우에는 화염전파속도의 퇴적층 두께에 대한 의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Ti는 화염전파속도가 증가하지만 Mg의 경우에는 화염전파속도가 감소하였다. 평균입경 $51{\mu}m$에 있어서 Mg퇴적분체는 Mg-Al(90:10%wt)합금 퇴적분체에 비하여 화염전파속도가 약 50%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금속분체 산화물층 두께는 화염전파속도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입경 변화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i와 Mg의 열중량 분석시험 결과, Mg는 $550^{\circ}C$, Ta는 $578^{\circ}C$에서 발화에 의한 연소로 판단되는 중량 증가가 관찰되었다.

산불 지표화의 1차원 화염전파 모델의 수치해석 연구 - 평지조건 기반에서 - (A Numerical Study of 1-D Surface Flame Spread Model - Based on a Flatland Conditions -)

  • 김동현;전중효의;통본규우;이명보;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3-69
    • /
    • 2008
  • 산불의 확산특성은 일반적으로 가연물의 특성, 지형, 바람조건과 같은 기상 상태등과 관련이 있다. 산불의 발달과정에 있어 수치해석을 통한 확산예측 모델은 열전달 과정에 기본을 둔 열에너지 전달에 대한 해석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론이다. 산불의 발생시 열에너지의 전파속도를 해석하는 것은 화염의 생성과 열전달, 그리고 소멸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해석을 통해 화염의 이동에 따른 전파속도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체연소물질의 표면화염전파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1차원 지표화 확산모델식을 제시하였다. 1차원 확산모델식은 평지상태에서 풍속조건에 따른 화염의 전파속도 산정식으로써 지표연료의 화염유지시간, 화염의 높이, 화염의 온도, 지표연료의 착화온도 등에 대한 실험 및 이론식을 적용하였다. 실험값 및 다른 모델식과의 ROS 비교 결과, 풍속 3 m/s 이하의 조건에서는 지수함수식의 증가곡선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침엽수종인 소나무 낙엽에 대한 수치해석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풍속 1-2m/s 조건에서는 확산속도가 약 10% 상향예측이 되었고 풍속 3m/s 조건에서는 약 20% 하향예측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지표화 확산 예측을 위해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화염확산 알고리즘을 이용한 초기 산불확산 예측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교류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선을 통해 전파하는 화염에 대한 전선직경의 영향 (Effect of Diameter on Spreading Flame over Electrical Wire with Applied AC Electric Fields)

  • 박순호;임승재;권오붕;박정;정석호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
    • /
    • 2017
  • An experimental study on spreading flame over electrical wire, which was insulated by Polyethylene(PE) and had different diameters, was conducted with applied AC electric field. The result showed that the flame spread rate decreased in increase of the diameter of insulator at a fixed electric field. The flame spread rate exhibited increase or decrease tendency with applied AC electric field, having three distinct regimes depending on applied voltage and frequency. In each regime, the flame spread rate was characterized by physical parameters of applied electric fields and wire dimensions, and the behaviors could be explained by a thermal balance mechanism.

해양 다중 경로 환경에 알맞은 오버랩 기반 처프 확산 대역 전송 기법 (Overlap-Based Chirp Spread Spectrum Transmission Scheme for Maritime Multipath Environment)

  • 채근홍;이성로;윤석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1호
    • /
    • pp.1124-1131
    • /
    • 2014
  • 처프 확산 대역 (chirp spread spectrum: CSS) 기술은 데이터 신호를 처프 신호를 통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잠수함 음향 탐지 등 해양 무선 통신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해양 통신 중 존재하는 다중 경로 환경으로 인하여, CSS 기술의 데이터 전송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버랩 기반 처프 확산 대역 기술을 제안하고 분석한다. 근사화된 가우시안 Q 함수를 바탕으로 오버랩 기반 CSS 시스템의 닫힌꼴 비트 오류율 (bit error rate: BER) 수식을 유도하고, 또한 오버랩 횟수에 따른 심벌 간 간섭을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분석한다.

Burning Characteristics of Wood-based Materials using Cone Calorimeter and Inclined Panel Tests

  • Park, Joo-Saeng;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8-25
    • /
    • 2002
  • Research to discuss the fire performance of materials requires tools for measuring their burning characteristics and validated fire growth models to predict fire behavior of the materials under specific tire scenarios using the measured properties as input for the models. In this study, bur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to ignition, weight loss rate, flame spread, heat release rate, total heat evolved, and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for four types of wood-based materials were evaluated using the cone calorimeter and inclined panel tests. Time to ignition was affected by not only surface condition and specific gravity of the tested materials but also the type and magnitude of heat source. Results of weight loss rate, measured by inclined panel tests, indicated that heat transfer from the contacted flame used as the heat source into the inner part of the specime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specific gravity of material. Flame spread was closely related with ignition time at the near part of burning zone. Under constant and severe external heat flux,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weight loss rate and total heat evolved between four types of wood-based panels. More applied heat flux caused by longer ignition time induced a higher first peak value of heat release rate. Burning characteristics data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as input for fire growth models to predict the fire behavior of materials under specific fire scenarios.

Sources of Trade Balance Dynamics in Korea

  • Kim, Jiwoon;Yu, Jongmi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2호
    • /
    • pp.21-44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quantifies sources of trade balance dynamics over the business cycle in Korea. Specifically, we qua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domestic and foreign factors on trade balance dynamics using a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SOE-RBC) model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tabilization policies. Aggregate productivity and interest rate spreads are considered domestic factors affecting the trade balance. A world interest rate (the U.S. interest rate) is considered a foreign factor. Design/methodology - Following Neumeyer and Perri (2005), we build the SOE-RBC model with three types of shocks: aggregate productivity, interest rate spread, and world interest shocks. The model is estimated by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using relevant business cycle statistics. The estimated model is used for quant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domestic and foreign factors on trade balance dynamics in Korea. Findings -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85.64% of the trade balance fluctuations in Korea are explained by domestic factors, the remaining 14.35% by foreign factors. Particularly, trade balance dynamics are mostly accounted for by the change in aggregate productivity shocks (85.58%). World interest rate shocks considerably explain trade balance (14.35%), whereas the role of interest rate spread shocks that represent domestic risks is limited (0.08%). Although aggregate productivity is key in explaining trade balance dynamics in Korea, interest rates still have an essential role. This is because aggregate productivity changes induce interest rate spread variations and, thus, the trade balance significa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 policies mitigating fluctuations in aggregate productivity would be effective for stabilization policies in Korea by reducing the trade balance volatility. Originality/value - Existing studies on the emerging market business cycle examine mostly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the main object of the studies is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rather than trade balance dynamics. Conversely, our study examines Korea rather than Latin American countries. Additionally, we examine sources of trade balance dynamics, which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in Korea, rather than those of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Hence, we estimate the model to explicitly match moments related to trade balance in the data.

정압기지에 대한 산불화재 영향평가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 장서일;차순철;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57
    • /
    • 2007
  •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in shrub land. Theoretically, to evaluate effects of forest fire, it is combined that Spread Rate of Forest Fire, Flame Model, and Thermal Radiation Effects Model; i.e. a travel time of forest fire is calculated by Spread Rate of Forest Fire, fire-line intensity is calculated by Flame Model, and effects of fire-line intensity is affected by Thermal Radiation Effects Model. With the aforementioned method, we could carry out the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in shrub land and could distinguish scenarios to need protection plan from all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