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e of Learning

검색결과 2,129건 처리시간 0.032초

An Improved Text Classification Method for Sentiment Classification

  • Wang, Guangxing;Shin, Seong Y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1호
    • /
    • pp.41-48
    • /
    • 2019
  • In recent years, sentiment analysis research has become popular. The research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have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in Amazon's book recommendation system and the North American movie box office evaluation system. Analyzing big data based on user preferences and evaluations and recommending hot-selling books and hot-rated movies to users in a targeted manner greatly improve book sales and attendance rate in movies [1, 2]. However, traditional machine learning-based sentiment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k-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kNN) had performed poorly in accuracy. In this paper, an improved kNN classification method is proposed. Through the improved method and normalizing of data, the purpose of improving accuracy is achieved. Subsequently, the three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the improved algorithm were compared based on experimental data. Experiments show that the improved method performs best in the kNN classification method, with an accuracy rate of 11.5% and a precision rate of 20.3%.

온톨로지를 이용한 tesseract 기반의 OCR 모델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sseract-based OCR Model Recognition Rate using Ontology)

  • 황치곤;윤대열;윤창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8-440
    • /
    • 2021
  • 기계학습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 분야 중 이미지에 있는 문자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OCR 기법이 있다. HP에서 개발된 tesseract는 그 기법의 하나다. 그러나 이미지의 문자를 인식하는 인식률이 아직은 낮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문맥을 인지시키는 후처리 과정을 통해서 이미지의 문자 변환율에 향상을 기하고자 한다.

  • PDF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 (Literacy learner's satisfaction revel and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73-180
    • /
    • 2018
  • 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울산광역시의 문해교육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하위변인으로 살펴보면 학습환경에서 가장 높았고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내용과 학습결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이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별은 차이가 없었으나, 70세 이상의 연령에서 학습지속의 높은 의사표시를 나타냈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내용,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환경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문해교육 학습자는 나이가 많고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경우 학습지속이 높았으며, 문해교육 학습자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 내용임이 분석되었다.

퍼지 시스템을 이용한 코호넨 클러스터링 네트웍 (Kohonen Clustring Network Using The Fuzzy System)

  • 강성호;손동설;임중규;박진성;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22-32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해석으로 알려진 고전적인 패턴인식 알고리즘인 KCN(Kohonen Clustering Network)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퍼지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동안 자동적으로 이웃 반경의 크기와 학습율을 조절한다. 퍼지 시스템의 입력은 입력 데이터와 연결강도와의 거리와 거리의 변화율을 사용하였으며, 출력은 이웃 반경의 크기와 학습율을 사용하였다. 퍼지 시스템의 제어 규칙은 기존의 코호넨 클러스터링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정하였다. 제안한 방식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Anderson의 IR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코호넨 클러스터링 네트웍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제안한 방식의 성능의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언어장애인의 스마트스피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인화된 음성 분류 기법 (Personalized Speech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Smart Speaker Accessibility Improvement of the Speech-Impaired people)

  • 이승권;최우진;전광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1호
    • /
    • pp.17-24
    • /
    • 2022
  • 음성인식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스피커의 보급으로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나 지체장애인들도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연동하여 주택의 전등이나 TV와 같은 가전제품을 음성을 통해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삶의 질이 대폭 향상되었다. 하지만 언어장애인의 경우 조음장애나 구음장애 등으로 부정확한 발음을 하게 됨으로서 스마트스피커의 유용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스피커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일부 서비스를 대상으로 언어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화된 음성분류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량의 데이터와 짧은 학습시간으로도 언어장애인이 구사하는 문장의 인식률과 정확도를 높여 스마트스피커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논문에서는 ResNet18 모델을 fine tuning하고 데이터 증강과 one cycle learning rate 최적화 기법을 추가하여 적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30개의 스마트스피커 명령어 별로 10회 녹음한 후 3분 이내로 학습할 경우 음성분류 정확도가 95.2% 정도가 됨을 보였다.

전이학습을 이용한 UNet 기반 건물 추출 딥러닝 모델의 학습률에 따른 성능 향상 분석 (Performance Improvement Analysis of Building Extraction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UNet Using Transfer Learning at Different Learning Rates)

  • 예철수;안영만;백태웅;김경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4호
    • /
    • pp.1111-1123
    • /
    • 2023
  •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한 지표 속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이용한 의미론적 영상 분할 방법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의미론적 영상 분할 딥러닝 모델인 UNet 모델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UNet 기반의 딥러닝 모델들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 데이터셋의 크기가 충분해야 한다. 학습 데이터셋의 크기가 커지면 이를 처리하는 하드웨어 요구 사항도 커지고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도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전이학습은 대규모의 학습 데이터 셋이 없어도 모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UNet 기반의 딥러닝 모델들을 대표적인 사전 학습 모델(pretrained model)인 VGG19 모델 및 ResNet50 모델과 결합한 세 종류의 전이학습 모델인 UNet-ResNet50 모델, UNet-VGG19 모델, CBAM-DRUNet-VGG19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건물 추출에 적용하여 전이학습 적용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분석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학습률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률 설정에 따른 각 모델별 성능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건물 추출 결과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Kompsat-3A 데이터셋, WHU 데이터셋, INRIA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데이터셋에 대한 정확도 향상의 평균은 UNet 모델 대비 UNet-ResNet50 모델이 5.1%, UNet-VGG19 모델과 CBAM-DRUNet-VGG19 모델은 동일하게 7.2%의 결과를 얻었다.

Is There any Role of Visceral Fat Area for Predicting Difficulty of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Shin, Ho-Jung;Son, Sang-Yong;Cui, Long-Hai;Byun, Cheulsu;Hur, Hoon;Lee, Jei Hee;Kim, Young Chul;Han, Sang-Uk;Cho, Yong Kwa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3호
    • /
    • pp.151-158
    • /
    • 2015
  • Purpose: Obesity is associated with morbidity following gastric cancer surgery, but whether obesity influences morbidity after laparoscopic gastrectomy (LG) remains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evaluated whether body mass index (BMI) and visceral fat area (VFA) predic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7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LG for gastric cancer between May 2003 and December 2005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before learning curve' and 'after learning curve') based on the learning curve effect of the surgeon. Each of these groups was sub-classified according to BMI (<$25kg/m^2$ and ${\geq}25kg/m^2$) and VFA (<$100cm^2$ and ${\geq}100cm^2$). Surgical outcomes, including operative time, quantity of blood los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BMI and VFA subgroup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efore learning curve group than in the after learning curve group. In the subgroup analysis, complication rate and length of hospital sta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BMI or VFA; however, for the before learning curve group, mean operative time and blood lo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VFA subgroup than in the low VFA subgroup (P=0.047 and P=0.028, respectively). Conclusions: VFA may be a better predictive marker than BMI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LG, which may help to get a better surgical outcome for inexperienced surgeons.

Effect of prenatal different auditory environment on learning ability and fearfulness in chicks

  • Zhao, Shuai;Xu, Chunzhu;Zhang, Runxiang;Li, Xiang;Li, Jianhong;Bao, Ju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9호
    • /
    • pp.1454-1460
    • /
    • 2022
  • Objective: Early environmental enrichment in life can improve cognition in animals. The effect of prenatal auditory stimulation on learning ability and fear level in chick embryos remained unexplor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natal auditory stimulation on the learning ability and fear level of chicks. Methods: A total of 450 fertilized egg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including control group (C), low-sound intensity music group (LM), low-sound intensity noise group (LN), high-sound intensity noise group (HN) and high-sound intensity music group (HM). From the 10th day of embryonic development until hatching, group LM and group LN received 65 to 75 dB of music and noise stimulation. Group HN and group HM received 85 to 95 dB of noise and music stimulation, and group C received no additional sound. At the end of incubation, the one-trial passive avoidance learning (PAL) task and tonic immobility (TI) tests were carried out, and the serum corticosterone (CORT) and serotonin (5-HT)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group C, 65 to 75 dB of music and noise stimulation did not affect the PAL avoidance rate (p>0.05), duration of TI (p>0.05) and the concentration of CORT (p>0.05) and 5-HT (p>0.05) in chicks. However, 85 to 95 dB of music and noise stimulation could reduce duration of TI (p<0.05) and the concentration of CORT (p<0.05),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on the concentration of 5-HT (p>0.05) and PAL avoidance rate (p>0.05). Conclusion: Therefore, the prenatal auditory stimulation of 85 to 95 dB can effectively reduce the fear level of chicks while it does not affect the learning ability.

Comparison of Teaching about Breast Cancer via Mobile or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n Gynecology Residents

  • Alipour, Sadaf;Moini, Ashraf;Jafari-Adli, Shahrzad;Gharaie, Nooshin;Mansouri, Khorshi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93-4595
    • /
    • 2012
  • Introduction: Mobile learning enables users to interact with educational resources while in variable locations. Medical students in residency positions need to assimilate considerable knowledge besides their practical training and we therefore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using short message service via cell phone as a learning tool in resident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our hospital. Methods: We sent short messages including data about breast cancer to the cell phones of 25 resident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and asked them to study a well-designed booklet containing another set of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in the same period. The rate of learning derived from the two methods was compared by pre- and post-tests and self-satisfaction assessed by a relevant questionnaire at the end of the program. Results: The mobile learning method had a significantly better effect on learning and created more interest in the subject. Conclusion: Learning via receiving SMS can be an effective and appealing method of knowledge acquisition in higher levels of education.

딥러닝 기반 80대·90대·100대 남녀 대상 폐암 진단 후 사망률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Mortality Rate after Lung Cancer Diagnosis for Men and Women in 80s, 90s, and 100s Based on Deep Learning )

  • 변경근;이덕규;이세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87-96
    • /
    • 2023
  • 최근 의학계에서도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결과 예측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소규모 환자 데이터와 특정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선택·활용, 연구를 진행하여 특정 조건 아래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환자 대상을 좀 더 확대·세분화하여 80대·90대·100대 남녀 대상으로 폐암 진단 후 사망률 예측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대규모 진료 정보와 다종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AutoML을 이용, 80대·90대·100대 남녀의 폐암 진단 후 84개월간의 사망률 예측을 위해 Decision Tre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XGBoost, Logistic Regression 등 5개 알고리즘별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도 추진하였다. 연구 결과, 80대와 90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사망 예측률이 더 높았으며 100대에서는 여성의 사망 예측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망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료기간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