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Accelera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5초

$B_{10}H_{14}$ 이온 주입을 통한 ultra-shallow $p^+-n$ junction 형성 및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Ultra-shallow$p^+-n$ Junctions using $B_{10}H_{14}$ ion Implantation)

  • 송재훈;김지수;임성일;전기영;최덕균;최원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1-158
    • /
    • 2002
  • Decaborane ($B_{10}H_{14}$) 이온 주입법으로 n-type Si (100) 기판에 ultra-shallow $p^{+}-n$ 접합을 형성시켰다. 이온 주입에너지는 5kV와 10kV, 이온 선량은 $1\times10^{12}\textrm{cm}^2$$1\times10^{13}\textrm{cm}^2$로 decaborane을 이온 주입시켰다. 이온 주입된 시료들은 $N_2$ 분위기에서 $800^\{\circ}C$, $900^{\circ}C$, $1000^{\circ}C$에서 10초 동안 RTA(Rapid Thermal Annealing) 처리를 하였다. 또한 가속에너지에 따른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 15 kV의 이온 주입 에너지에서 $1\times10^{14}\textrm{cm}^2$만큼 이온 주입하였다. 2 MeV $^4He^{2+}$ channeling spectra에서 15 kV로 주입된 시료가 bare n-type Si와 5 kV, 10 kV의 에너지로 주입된 시료보다 주입시 생긴 결함에 의해 backscattering yield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spectra로부터 얻은 이온 주입으로 인한 비정질층의 두께는 표면으로부터 가속전압이 5kV, 10kV, 15kV일 때 각각 1.9nm, 2.5nm, 4.3nm였다. 10 kV에서 이온 주입된 시료를 $800^{\circ}C$ 열처리 한 결과 결함의 회복으로 인해 bare Si와 비슷한 backscattering yield를 보였으며 이때의 계산된 비정질 층의 두께는 0.98 nm이었다. 홀 측정과 면저항 측정은 dopant의 활성화가 주입된 에너지, 이온 선량, 열처리 온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I-V 측정 결과 누설 전류 밀도는 열처리 온도가 $800^{\circ}C$에서 $1000^{\circ}C$까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주입에너지가 5kV에서 10kV까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무진동 크레인을 이용한 흔들림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wing control using anti-swing orane)

  • 박병석;윤지섭;이재설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0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26-27 Oct. 1990
    • /
    • pp.292-297
    • /
    • 1990
  • An anti-swing controller for an overhead crane in the stop position is designed. The developed anti-swing controller improves on the poor damping characteristics of overhead crane by feeding back the crane acceleration as a function of swing angular spe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crane using the proposed controller yields small stop position error and rapid damping response characteristics.

  • PDF

빛을 발산하는 기포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for a Sonoluminescing Gas Bubble)

  • 강상우;이윤표;곽호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69-74
    • /
    • 2001
  • It is well known that an air bubble trapped in water emits light at its collapse robustly with a proper forcing amplitude of ultrasound. Instability mechanism which causes deviation from sphericity of bubble wall was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e rapid change of the bubble wall velocity which is both dependent on the forcing amplitude, was found to be a major factor of instability of the interface. The Rayleigh-Taylor instability which occurs when rapid acceleration is directed from the lighter towards the heavier fluid is found to be not related to the instability of the sonoluminescing gas bubble.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calculation results and experimental data is found.

  • PDF

Integrated equations of motion for direct integration methods

  • Chang, Shuenn-Yi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3권5호
    • /
    • pp.569-589
    • /
    • 2002
  • In performing the dynamic analysis, the step size used in a step-by-step integration method might be much smaller than that required by the accuracy consideration in order to capture the rapid chances of dynamic loading or to eliminate the linearization errors. It was first found by Chen and Robinson that these difficulties might be overcome by integrating the equations of motion with respect to time once. A further study of this technique is conducted herein. This include the theoretic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capability to capture the rapid changes of dynamic loading if using the constant average acceleration method and its integral form and the explora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 time integration to reduce the linearization error. In addition, its advantage in the solution of the impact problems or the wave propagation problems is also numerically demonstrated. It seems that this time integration technique can be applicable to all the currently available direct integration methods.

A Genetic Approach to Transmission Rate and Power Control for Cellular Mobile Network (ICEIC'04)

  • Lee YoungDae;Park SangBo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
    • pp.10-14
    • /
    • 2004
  • When providing flexible data transmission for futur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networks, problems arise in two aspects: transmission rate. This paper has proposed an approach to maximize the cellular network capacity by combining the genetic transmission rate allocation and a rapid power control algorithm. We present a genetic chromosome representation to express call drop numbers and transmission rate to control mobile's transmission power levels while handling their flexible transmission rates. We suggest a rapid power control algorithm, which is based on optimal control theory and Steffenson acceleration technique comparing with the existing algorithms.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Conclusively, our proposed scheme showed high potential for increasing the cellular network capacity and it can be the fundamental basis of future research.

  • PDF

무인 소형궤도열차의 차량제어 알고리즘 (Vehicle Control Algorithm for PRT (Personal Rapid Transit) System)

  • 최규웅;이진수;원진명;최효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27-828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vehicle control algorithm for Personal Rapid Transit (PRT) system. PRT system is a one-way direction network system which is composed of guideway branches, merging/diverging points. Vehicle control algorithm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Those are merging control algorithm and the other. We emphasized on the merging control algorithm. For that, we first devised a front/virtual front vehicle finding strategies. Properly determined front/virtual front vehicle is the starting point of vehicle control. The objects of merging control are to avoid collision and to pass the merging point fluently. Which implies that jerk constraint and limits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etc. are should be considered.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vehicle algorithm, we executed simulations and presented test results.

  • PDF

PIP 개념을 이용한 비선형 기동 표적 추적 기법 (Non-linear Maneuvering Target Tracking Method Using PIP)

  • 손현승;박진배;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6-14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기동표적의 추적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소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예측 명중위치 개념을 이용한 칼만필터 기반의 적응 상호작용 다중모델 기법으로 측정된 위치 값과 예측된 명중위치 사이의 차이를 고려한 변형된 칼만필터 기법을 이용한다. 알 수 없는 가속도는 표적의 기동모델에 있어서 추가적인 프로세스 잡음으로 간주되고, 알고리즘 내의 하부 모델들은 각각의 가속도 수준에 따라 구해지는 전체적인 프로세스 잡음에 따라 특성화 된다. 칼만필터 기법이 비선형 기동에 있어 성능이 저하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황에 따라 제안된 기법과 칼만필터를 적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선택적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표적의 기동중에 나타나는 가속도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잡음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그 증가분을 가속도로 인식하여 기동표적 관계식에 이용한다. 그리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수행 가능성은 몇 가지수치 예를 통하여 증명한다.

가속도 기반 자율주행 패턴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of Acceleration-Based Automated Driving Patterns)

  • 황순천;이동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84-298
    • /
    • 2023
  • 자율주행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자율주행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대중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이용자 관점에서 편안한 승차감을 기대할 수 있는 선호하는 자율주행 패턴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터와 자율주행이 가능한 실험차를 활용하여 종·횡방향 가속도에 대한 이용자 측면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행 실험을 통하여 도출한 5가지 종·횡방향 가속도 값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패턴을 가상환경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으며, 그 중 3가지 값에 대해서는 실차 기반 자율주행으로 구현하여 만족도 및 불안감 수준 평가실험을 추가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종방향 가속도에 비하여 횡방향 가속도에 더 민감한 평가를 하였으며, 불안감 수준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측면 자율주행 패턴 평가연구 필요성과, 시뮬레이터 기반 평가방법의 적정성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 문세연;윤영미;한태화;이상은;장혁재;송시영;김현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21-629
    • /
    • 2017
  •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과도운전시 가솔린기관의 성능평가 (Evaluation of Transient Performance of Carburettered Gasoline Engine)

  • 조규상;류정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11
    • /
    • 1993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ent performance of carburettered gasoline engine under rapid accelerating transient driving condi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ent performance quantitatively, the concept of dead time $t_d$ response delay time $t_r$ are introduced. Performance parameters such as air mass fiowrate Gat, engine speed N, manifold boost pressure Pb, and output torque T are measured simultaneously during the rapid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by the stepping motor. During the rapid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air mass fiowrate Gat is increased immediately without delay time, but response of engine revolution N, and output torque T are delayed. Therefore hesitation, and stumble phenomena are occurred. Dead time $t_d$ and response delay time $t_r$ of engine revolution N, which is extremely delayed comparing to other performance parameters, are respectively 0.2-0.3sec., 3.0-4.6sec., and dead time rate $t_d/{\Delta}t$ and response delay time rate $t_r/{\Delta}t$ are linearly increased with the throttle valve opening rate ${\theta}$ during the acceleration from 12 degree to 20 degree at 1250rp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