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seed oil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6초

조숙 올레인산 고함유 1대잡종 유채 신품종 '수안' (A New F1 Hybrid Variety of Rapeseed 'Suan' with Early Maturing and High Oleic Acid)

  • 이영화;김광수;장영석;조현준;최현구;장영직;강달순;강형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2-176
    • /
    • 2011
  • '수안'은 숙기가 빠르고, 올레인산 함량도 높아 바이오디젤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로 2006년에 목포-CGMS(웅성불임)과 8634-B-1-3-1-8(임성회복화분친)을 교배하여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력 검정시험과,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육성된 품종이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수안'의 수량은 381 kg/10a로 같은 1대잡종인 '선망'에 비해 4% 증수되었다. '수안'의 기름함량은 44.3%이고, 지방산중 올레인산의 함량은 68.3%로 '선망'에 비해 5.2% 높았으며, 구루코지노레이트 함량은 2.31 mg/g으로 국제허용기준치인 3.0 mg/g 이하였다. '수안'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수안'은 도복과 균핵병 저항성이 대비품종 '선망'에 비해 다소 강했다. '수안'의 개화기와 성숙기는 4월 9일과 6월 2일로 '선망'보다 각각 10일과 6일 빠르다. '수안'은 전남, 전북, 및 경남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서남부지역에서 이모작 재배에 유리한 품종이다.

조숙, 다수성, 올레인산 고함유 유채 신품종 "보람" (A New Early Maturing, High Yielding and High Oleic Acid Rapeseed (Brassica napus L.) of F1 Hybrid "Boram")

  • 김광수;장영석;이영화;방진기;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64-668
    • /
    • 2009
  • "보람"은 조숙, 다수성이며 바이오디젤 생산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 로 2006년에 목포-CGMS(웅성불임)과 8634-B-1-3-1-8(임성회복화분친)을 교배하여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력 검정시험과, 2008년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육성된 품종이다. "보람"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개화기(4월 9일)와 성숙기(6월 4일)는 "선망"과 비슷하나 "탐미유채"보다는 개화는 6일, 성숙기는 3일 정도 빠르다. 지역적응 시험시험 결과, "보람"의 수량은 10a 당 424 kg로 같은 1대 잡종인 "선망"에 비해 11%, 고정종인 "탐미유채"에 비해 48% 증수되었다. "보람"의 기름함량은 44.2%이고, 올레인산의 함량은 68.5%로 "탐미유채"와 "선망"에 비해 각각 3.7%와 5.4%높아져 바이오디젤 생산용으로 적합하며, 구루코지노레이트 함량은 2.27 mg/g으로 국제허용기준치인 3.0 mg/g 이하였다. "보람"은 전남, 전북, 경남 및 제주도를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서남부지역에서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다.

조숙, 다수성, 올레인산 고함유 유채 신품종 '조망' (A New F1 Hybrid Variety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Jomang' with Early Maturation, High Yield and High Oleic Acid)

  • 김광수;장영석;이영화;조현준;방진기;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6-240
    • /
    • 2010
  • '조망'은 조숙, 다수성이며 바이오디젤 생산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로 2006년에 웅성불임인 목포-CGMS와 임성회복환분친인 8634-B-1-3-1-8을 교배하여 생산력검정시험(2007, 2008)과, 지역적응시험(2008)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조망'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조망'의 성숙일는 6월 3일로 '선망'보다 1일, '탐미유채'보다는 4일 정도 빠르다. 지역적응시험시험 결과, '조망'의 수량은 10a 당 406 kg으로 같은 1대잡종인 '선망'에 비해 7%, 고정종인 '탐미유채'에 비해 42% 증수되었다. '조망'의 기름함량은 44.5%이고, 지방산 중 에루신산은 없는 반면, 올레인산의 함량은 68.2%로 '탐미유채'와 '선망'에 비해 각각 3.4%, 5.1% 높아져 바이오디젤 생산용으로 적합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2.31 mg/g으로 국제허용기준치인 3.0 mg/g 이하였다. '조망'은 전남, 전북, 경남 및 제주도를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서남부지역에서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다.

EFFECTS OF BLOOD-MIXED AND HEAT TREATMENT OF PROTEIN FEEDS ON NITROGEN DIGESTION IN THE RUMEN AND HINDGUT OF SHEEP

  • Yoon, C.S.;Lee, N.H.;Jung, K.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39-46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blood-mixed and heat-treated protein feeds on protein degradation in the rumen, flow of protein to the abomasums and availability of undegraded protein in the intestine of sheep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Soybean oil meal, rapeseed meal, and whole soybean were mixed with fresh swine blood and dried at $140^{\circ}C$ for 2 h. Proportionate disappearance of apparently digested OM in the postrumen for the blood and heat treated protein group was ranged from 43.2 to 50.5% as compared with 28.0% for the unheated soybean oil meal diet. The treated protein supplements were resulted in greater total N and NAN flow passing at the abomasums than untreated soybean oil meal diet was fed. The quantities of undegraded feed N passing at the abomasums for the treated protein diets was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untreated soybean oil meal diet and the estimated amount of undegraded N of the protein supplement itself was 79.1 to 84.2% as compared with 15% of soybean oil meal.

유채에서의 중쇄지방산 생산 (Production of Medium-chain Fatty Acids in Brassica napus by Biotechnology)

  • 노경희;이기종;박종석;김현욱;이경렬;김종범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2호
    • /
    • pp.65-70
    • /
    • 2010
  • 중쇄지방산은 탄소수가 8-12개로 구성된 포화지방산으로, 장쇄지방산과 달리 인체내 흡수가 빠르고 분해가 빨리 일어나 체지방으로 축적되지 않으면서 열효율이 높아 소화장애환자의 식이요법에 이용된다. 또한 최근 의료분야의 위장침투향상기술에 중쇄지방산 또는 중쇄지방산 유도물질이 사용되며, 이 기술은 최첨단 약물전달시스템 분야에 매우 중요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효용가치가 높은 중쇄지방산 기름은 아열대작물인 코코넛, 팜 그리고 쿠페아 종자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데, 기름함량이 적고 재배가 까다로워 상업적 이용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배지역이 넓고 재배가 용이한 유채의 종자에서 중쇄지방산을 생산하고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밝혀진 중쇄지방산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크게 Thioesterase(지방산 사슬 길이), KAS(지방산 사슬 연장), 그리고 Acyltransferase(지방산 전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전자를 단독 또는 동시에 유채에 형질전환 한후, 여기에서 얻어진 형질전환체 계통을 이용하여 고전육종과 분자육종의 병행을 통해 유채 종자에서 중쇄지방산인 Laurate함량이 60 mol%까지 축적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Caprylate와 Caprate함량은 각 각 8 mol%와 27 mol%까지 축적되었다. 비록 유채 종자에서 일부 중쇄지방산의 생산이 성공적으로 생산되는 결과를 얻었다 할지라도 실제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중쇄지방산 함량이 더 많이 생산되어야 한다. 본 총설에서는 지금까지 유채 종자 내에서 중쇄지방산이 생산된 연구결과를 면밀히 살펴보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논하였다.

Effects of Two Traditional Chinese Cooking Oils, Canola and Pork, on pH and Cholic Acid Content of Faeces and Colon Tumorigenesis in Kunming Mice

  • He, Xiao-Qiong;Duan, Jia-Li;Zhou, Jin;Song, Zhong-Yu;Cichello, Simon Angel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25-6229
    • /
    • 2015
  • Faecal pH and cholate are two important factors that can affect colon tumorigenesis, and can be modified by di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wo Chinese traditional cooking oils (pork oil and canola/rapeseed oil) on the pH and the cholic acid content in feces, in addition to colon tumorigenesis, were studied in mice. Kunming mice were randomized into various groups; negative control group (NCG), azoxymethane control group (ACG), pork oil group (POG), and canola oil Ggroup (COG). Mice in the ACG were fed a basic rodent chow; mice in POG and COG were given 10% cooking oil rodent chow with the respective oil type. All mice were given four weekly AOM (azoxymethane) i.p. injections (10mg/kg). The pH and cholic acid of the feces were examined every two weeks. Colon tumors, aberrant crypt foci and organ weights were examined 32 weeks following the final AOM inj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anola oil significantly decreased faecal pH in female mice (P<0.05), but had no influence on feces pH in male mice (P>0.05). Pork oi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eces pH in both male and female mice (P<0.05).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feces cholic acid content when mice were fed 10% pork oil or canola oil compared with the ACG. Although Kunming mice were not susceptible to AOM-induced tumorigenesis in terms of colon tumor incidence, pork oi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F number in male mice. Canola oil showed no influence on ACF in either male or female mice. Our results indicate that cooking oil effects faecal pH, but does not affect the faecal cholic acid content and thus AOM-induced colon neoplastic ACF is modified by dietary fat.

Open raceway pond에서 배양된 Nannochloropsis oceanica로부터 오일 추출 및 SO42-/HZSM-5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전환 (Oil Extraction from Nannochloropsis oceanica Cultured in an Open Raceway Pond and Biodiesel Conversion Using SO42-/HZSM-5)

  • 박지연;박주창;김민철;김덕근;김형택;장호섭
    • 신재생에너지
    • /
    • 제19권4호
    • /
    • pp.27-34
    • /
    • 2023
  • In this study, microalgal oil was extracted from Nannochloropsis oceanica cultured in an open raceway pond and converted into biodiesel using a solid acid catalyst. Microalgal oil was extracted from two types of microalgae with and without nitrogen starvation using the KOH-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the fatty acid content and oil extraction yield from each microalgae were compared. The fatty acid content of N. oceanica was 184.8 mg/g cell under basic conditions, and the oil content increased to 340.1 mg/g under nitrogen starvation conditions. Oil extraction yields were 90.8 and 95.4% in the first extraction, and increased to 97.5 and 98.8% after the second extraction. Microalgal oil extracted by KOH-solvent extraction was yellow in color and had reduced viscosity due to chlorophyll removal. In biodiesel conversion using the catalyst SO42-/HZSM-5, solvent-extracted oil showed a FAME content of 4.8%, while KOH-solvent-extracted oil showed a FAME content of 90.4%. Solid acid catalyst application has been made easier by removal of chlorophyll from microalgal oil. The FAME content increased to 96.6% upon distillation, and the oxidation stability increased to 11.07 h with addition of rapeseed biodiesel and 1,000 ppm butylated hydroxyanisole.

유채단백질의 Proteolysis에 의한 기능성 변화 (Functionality Changes of Rapeseed Protein upon Proteolysis)

  • 김충희;김효선;이장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9-524
    • /
    • 1992
  • 탈지유채박(Brassica napus var. Youngsan)으로부터 추출, 정제하여 얻어진 유채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물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수분해물의 UN 및 고유형광 스펙트럼은 각각 274nm, 360nm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약간 감소한 반면 표면 소수성은 약 4배 감소하였다. SDS-PAGE 분석 결과 상당부분이 1.4~$1.2{\times}10^4$ dalton의 분자량을 가진 band로 나타났으며, pH별 용해도는 산성부근에서 10~15% 정도 증가하였고, 수분 및 유흡수성, 거품 팽창성, 에멀젼 안정성은 증가한 반면 절대 점도, 열 및 칼슘 응고성, 거품 안정성, 에멀젼 활성지수는 감소하였다.

  • PDF

유채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조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Seed Protein Content and Amion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 방진기;이정일;정동희;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4-475
    • /
    • 1990
  • 유채, 계자 등 Brassica속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유채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rassica속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15.3%에서 36.2%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평균 단백질 함량은 23.2%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캐나다 유래의 B.hirta인 Ochre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B. napus인 Mirado였다. 2. 종실이 소립으로 가벼울수록 단백질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속 작물의 단백질 함량 변이는 B.napus에서 15.3-30.2%의 범위를 보여 주었으며, B.juncea, B.carinata, B.hirta, B.nigra등은 3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단백질 함량과 유박내 유해성분함량간에는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과 기름 및 1,000립중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 PDF

비정제 유채유의 산패에 미치는 금속이온의 영향 (Effect of Metal ion on Rancidity of Crude Rapeseed Oil)

  • 김연순;김윤수;남형근;서광엽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1호
    • /
    • pp.33-39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 of metal ion and antioxidant on rancidity of crude rapeseed oil (CRO), $Fe^{2+}$, $Cu^{2+}$, $Co^{2+}$, $Ni^{2+}$, $Cr^{2+}$, $Sn^{2+}$, $Mn^{2+}$, $Zn^{2+}$, and antioxidants including BHA, Vitamin C, and Tocopherol were used. The specific gravity and refractive index of CRO were $0.92g/cm^3$ and 1.45, respectively. The chromaticities of light, red, and yellow in CRO were 88.6 and 98.7, respectively. Among various fatty acids, Oleic acid (C18:1) concentration was highest, 62.3% and Linoleic acid (C18:2) concentration was 19.16%. In the case of Linolenic acid (C18:3) and Palmitic acid (C16:0), they were 9.88 and 5.2%,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 were 92.2 and 7.8%, respectively. The degree of expediting rancidity of CRO was an order of $Fe^{2+}$> $Cu^{2+}$> $Cr^{2+}$> $Zn^{2+}$> $Ni^{2+}$> $Al^{2+}$> $Mn^{2+}$> $Mn^{2+}$> $Sn^{2+}$> $Co^{2+}$> $Li^{2+}$. Especially, when $Cu^{2+}$ and $Fe^{2+}$ was used, the peroxide value concentration was about 4.0 fold higher than non addition of them. The inhibition effect of rancidity of CRO using antioxidant with $Cu^{2+}$ and $Fe^{2+}$ was an order of BHA> Vitamin C> Tocophe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