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cidity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4초

닭머리 육수 제조를 위한 향신채소의 최적수준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to Flavor Chicken Head Soup Base)

  • 최성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to use for flavoring chicken head soup base. The effects of the amounts of ginger and onion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head soup base were examined, and the optimum amounts were determin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evaluated were yellowness, turbidity, bloody flavor, chicken-brothiness, organ meat-like flavor, and sweet taste. The increased amounts of ginger and onion led to a decrease in bloody flavor and organ meat-like flavor. The optimum levels of ginger and onion were determined to be 40g and 50g, respectively. Chicken head soup base prepared with optimum amounts of vegetables contained more arginine, tryptophan, inosine monophosphate (IMP), and hypoxanthine than plain chicken head soup base. It also had less hexanal, which is related to fat rancidity.

약과 저장에 있어서 지방산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Oil Oxidation in Storage of Yackwa)

  • 염초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2호
    • /
    • pp.69-74
    • /
    • 1972
  • The study was made for storage test of Yackwa, which is typical cookies of Korea and contain about 20% of vegetable oil.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variation of POV and AV of oil contained in Yackwa which was stored in packed or unpacked state for 60 days, at the temperature of $5^{circ}C$ or $30^{circ}C$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Yackwa of AV, about 2, and POV, about 20, was considerably stable for storage. This result of the good storage condition of Yackwa containing a considerable amounts of Vagetable oil which proceed the rancidity, is derived from the formed film on the surface of Yackwa by the sugar syrup afterwards.

  • PDF

식품산업 분야에서의 2세대 전자코의 응용과 활용가능성 (Applica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of electronic nose and its useful possibility in food industry)

  • 이수진;노봉수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4호
    • /
    • pp.50-64
    • /
    • 2017
  • Application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electronic nose in various field such as new food product development, slight rancidity during induction period, classification of similar products, discovery of odor, and odor reduction were reviewed. The possibilities of using electronic noses in area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so far would be done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the utility value is expanded not only in the food industry but also in other areas.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추출물과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정유의 꽁치과메기 산패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piperitum on Pacific Saury, Coloabis saira Kwamegi)

  • 조성희;권은혜;오승희;우미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53-1759
    • /
    • 2009
  • 본 연구는 산초 잎의 에탄올 추출물과 초피 과피에서 얻은 정유를 과메기 제조 시 처리하였을 때 산패 억제와 품질 향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초의 에탄올 추출물(ZS)은 1% 에탄올에, 초피 정유(ZP)는 20% 에탄올에 용해시켜 길이로 2등분하여 탈수시킨 꽁치 1 kg 당 산초 추출물은 0, 0.125, 0.25, 1 ppm 되게, 초피 정유는 0, 0.25, 0.5, 1, 2 ppm 되게 분무하여 과메기를 자연 건조하여 제조하고 다층 필름포장제로 진공 포장하였다. 포장된 과메기를 실험 시까지 -20${^{\circ}C}$에 보관하였다가 개봉한 후 4${^{\circ}C}$ 냉장고에서 1, 3, 7일 보관하며 산패 정도와 아민류의 변화,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과메기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BA값은 개봉 후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산초 추출물 0.125 ppm 이상, 초피 정유 0.25 ppm에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농도 의존적이며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뚜렷하였다. 산초 추출물과 초피 정유 처리에 의하여 과메기 내의 dimethylamine과 trimethylamine(TMA)의 증가도 억제하였으며 trimethylamine oxide의 함량은 높게 유지되었고 3일 보관한 과메기에서 TMA<4.5 mg/100 g을 유지시킬 수 있는 산초 추출물의 농도는 0.25 ppm, 초피 정유는 0.5 ppm이었다. 3일 보관된 과메기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초피정유를 0.5-1ppm 처리한 시료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소량의 산초추출물과 초피 정유는 과메기의 산패를 억제하여 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라면, 비스킷, 및 쿠키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전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Stability of the Fat Ingredients of Deep Fried Instant Noodles, Biscuits, and Cookies)

  • 허태연;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29
    • /
    • 1974
  • 지방함량(脂肪含量)이 큰 가공식품(加工食品) 중 라면, 비스킷, 쿠키를 선택(選擇)하여, 동일(同一) 원료유지(原料油脂)(쇠기름)를 함유(含有)하며, 또 그 당류(糖類), 단백질(蛋白質), 식염함량(食鹽含量)이 크게 차이(差異)를 갖도록 각(各) 원료(原料)를 배합(配合)하여 실험실(實驗室)에서 제조(製造)한 후, 이 제품(製品)들에 함유(含有)된 이상(以上)의 성분(成分)들 또는 그 상호작용(相互作用) 생성물(生成物)들이 각(各) 제품(製品) 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산패(酸敗)에 어떤 영향(影響)을 미치는가를 연구(硏究)하고자 하였다. 공통적(共通的)인 주원료(主原料) 밀가루와 쇠기름 외에 라면은 1.5%의 식염(食鹽)(튀김 전 함량(含量)), 비스킷은 20.0%의 설탕과 10.0%의 탈지분유(脫脂粉乳)(굽기 전 함량(含量)), 쿠키는 20.0%의 설탕(굽기 전 함량(含量))을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며, 이들을 control로 사용(使用)할 쇠기름과 함께 $47.0{\pm}1.5^{\circ}C$의 항온기(恒溫器) 속에 저장(貯藏)하여 일정기간(一定期間)마다 그 유지성분(油脂成分)을 추출(抽出)하여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와 유리지방산가(遊離脂肪酸價)를 측정(測定)하였다. 각(各) 제품(製品) 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정성(安定性)을 볼 때 비스킷에 함유(含有)된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정성(安定性)은 control 보다 훨씬 좋았으며, 한편 라면에 함유(含有)된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정성(安定性)은 control 보다 훨씬 못하였다. 쿠키에 함유(含有)된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정성(安定性)도 control 보다 못하였으나 라면 속의 유지(油脂)처럼 불안정(不安定)하지는 않았다. 라면에 있어서는 비교적(比較的) 고온(高溫)에서의 튀김과정(過程)과) 그 속에 함유(含有)된 식염(食鹽)이 유지성분(油脂成分)에 대해서 산화촉진효과(酸化促進?果)를 가져온 듯 하며, 비스킷의 경우에는 그 속의 설탕과 탈지분유성분(脫脂粉乳成分)이 굽는 과정(過程)에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들을 형성(形成)하여 그 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에 대해서 강(强)한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을 나타낸 듯 하였다. 한편, 설탕함량(含量)은 크나 단백질성분(蛋白質成分)의 함량(含量)이 적었던 쿠키 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의 안정성(安定性)이 비스킷의 경우와 같이 좋지 못하였던 사실(事實)은 비스킷 속의 유지성분(油脂成分)의 강(强)한 안정성(安定性)이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들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것이라는 생각을 보강(補强)하여 준다.

  • PDF

냉장 중 돼지고기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감귤 부산물의 급여 효과 (Effects of Feeding Citrus Byproducts on Pork Quality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33-640
    • /
    • 2008
  •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돼지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돼지고기(195일령, $115{\pm}3Kg$, 여자)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T0구, 육성기($73{\sim}153일령$)와 비육기($154{\sim}195일령$)에 각각 3%및 5%급여한 T1구, 그리고 각각 6%와 10% 급여한 T2구로 나누었다. 각각 5 마리의 등심부위를 진공포장하고(Cryovac, $60{\mu}m$, BB4L, Japan) $3^{\circ}C$에서 4주일간 냉장하면서 표면 색도, 저장성, 지방 산패도 및 항산화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등심육의 pH, 보수력 및 드립 감량은 냉장기간에 관계없이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등심육의 휘발성 염기 질소, 일반 세균수 및 TBA 값은 냉장기간에 관계없이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하여 억제되고 전자공여능 값이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로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돼지고기는 냉장 중 저장성이 우수하고 지방산패도와 항산화력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결어육(凍結魚肉)의 유도기와(誘導期)와 산화(酸化) (Induction Period and Oxidative Rancidity of Refrigerated Fish Meat)

  • 조상준;김동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1
    • /
    • 1987
  • 우리나라의 어획물(漁獲物)에서 약(約) 50%가 동결저장(凍結貯藏)되고 적색어류(赤色魚類)인 고등어와 백색어류(白色魚類)인 참조기는 연안(沿岸)에서 어획(漁獲)되는 대표적(代表的)인 동결저장어종(凍結貯藏魚種)이다. 동결저장중(凍結貯藏中)의 변질(變質)의 중요(重要)한 인자(因子)인 지방산화(脂肪酸化)에 대(對)한 기초적(基礎的)인 지식(知識)을 얻기 위(爲)하여 목포수협(木浦水協) 공판장(共販場)에서 구입(購入)한 양어(鮮魚)를 $-30^{\circ}C$에서 동결(凍結)하고 film포장(包藏)하여 $-18^{\circ}C$로 저장(貯藏)하며 실험(實驗)하였다. 신선어육(新鮮魚肉)의 유도기와(誘導期)는 약(約) 20일(日)이고 가열어육(加熱魚肉)은 약(約) 60일(日) 이었으며 산화(酸化)의 정도(程度)는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와 TBA가(價)로 비교(比較)하면 가열육(加熱肉)이 신선육(新鮮肉)의 약(約) 절반(切半)을 나타냈으며 또한 고등어육(肉)이 참조기육(肉)의 참조기육(肉) 값의 약(約) 2배(倍)로 어종(魚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다. 동결저장(凍結貯藏)에서 온도(溫度)에 따른 산화정도(酸化程度)는 $-5^{\circ}C$에서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이 최대(最大)이었고 이 온도를 벗어나면 산화(酸化)가 촉진(促進)되었다.

  • PDF

저장 온습도가 땅콩의 흡습 및 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Water Adsorption and Rancidity of Peanuts)

  • 고하영;권용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2
    • /
    • 1989
  • 생 및 볶은 땅콩의 흡습특성 및 산패를 온도 $25-60^{\circ}C$와 습도 11-85%RH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모든 습도 조건에서 땅콩 50g이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시간은 온도 $40^{\circ}C$에서 14일, 온도 $25^{\circ}C$에서 30일이 소요되었다. 건물기준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생땅콩이 $2.19{\sim}2.69%$이었으며, 볶은 땅콩이 $2.47{\sim}2.67%$이었다. 땅콩의 산패속도는 온도나 습도보다 땅콩의 상태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서, 생땅콩은 볶은땅콩에 비해 $a_W\;0.51$의 경우 과산화물가(POV)의 0차반응상수 K값은 $25^{\circ}C$$40^{\circ}C$에서 $0.032day^{-1}$$0.142day^{-1}$ 로 매우 낮은 상태이나, 볶은 땅콩은 같은 조건에서 $0.663day^{-1}$$1.120day^{-1}$$8{\sim}21$배 높게 나타났다. 산패와 기호도향과의 직선회귀식을 이용하여 볶은 땅콩의 저장 한계 POV 및 카아보닐가(CV)를 조사한 결과 $60^{\circ}C$, $0.51a_w$에서 15.0meq/kg 및 4.7meq/kg 으로 나타났다.

  • PDF

건조굴 저장중의 갈변방지 2. 아황산소오다 처리 및 항산화제 효과 (INHIBITION OF BROWNING REACTIONS OCCURRING IN THE STORAGE OF DRIED OYSTER 2. Inhibitory Effect of Sodium Sulfite Treatment and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 최진호;이강호;김무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2
    • /
    • 1977
  • 건조굴 가공시 생굴의 수세${\cdot}$자숙과정에서 아황산 소오다로서 처리하여 건조굴은 저장할 때 일어나는 갈변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 항산화제를 첨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황산소오다의 침지농도별, 침지시간별 처리효과를 비교하면 전보에서 얻은 생굴중의 환원당과 tyrosine의 제거효과와 같이 건조굴의 저장후에도 0.5M 용액에서 6분간 침지한 후, 60분간 수세한 것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침지용액을 산성으로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 2. 저장중의 TBA치, 지방의 산화적 갈변 및 당아미노 반응에 의한 갈변도의 추세를 검토해 보면 지방산화적 갈변이 주도적이 였고 당-아미노반응 또한 완만하게 특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두 반응은 서로 관련하고 있어 아황산염의 처리가 지방의 산화적 갈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황산화제의 첨가는 주도적인 갈변요인인 지방의 산화를 억제함은 물론, 아황산염의 처리와 항산화제처리를 병행하였을 때 효과는 상승적으로 나타나 0.5M 아황산소오다 처리와 항산화제를 병용했을 때가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가열조리한 돼지고기의 저장${\cdot}$Microwave 재가열에 의한 변이원성과 지질과산화 및 육조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utagenicity, Lipids Peroxidation and Meat Structure of Cooked Pork in Relation to Storage and Reheating using a Microwave Oven)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43-649
    • /
    • 2004
  • 돼지고기를 전기그릴($EG;\;260^{\circ}C$, 5분) 및 전자렌지(MW, 6분)를 이용하여 조리 한 후 일정기간 냉장(0-14일), 냉동(0-90일) 보존한 시료와 이를 MW(1 min)로 재가열한 시료의 변이원성, 지질과 산화도(TBA), 및 육조직(SEM)을 연구하였다. S9 mix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 및 냉동 저장 기간에 따른 변이원성 유발 정도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변이원성이 증가하였고,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때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어 간접변이원이 더 많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MW 재가열 처리 시는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MW(6 min)로 조리했을 때 EG로 조리한 것보다 변이원 유발 가능성 면에서 보다 안전하다고 할수 있으나 냉동저장하고 재가열시는 변이원성 유발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사료된다.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냉장 저장시 r=0.85, 냉동 저장 시 r=0.86이었고, MW 재가열하였을 때 냉장 저장 시 r=0.98, 냉동 저장 시 r=0.83으로 냉장 저장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EM을 이용하여 육조직을 관찰한 결과 MW로 조리한 시료 및 MW로 재가열한 시료에서 더 많은 수증기 통로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