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x Scutellaria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3초

장내 유용세균 Clostridium butyricum KCTC 1785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 (The Growth Promoting Effect of Useful Entevobacteria Clostridium butyricum KCTC 1785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 김종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95-604
    • /
    • 2002
  • C. butyricum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및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사용하여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C. butyricum의 성장 촉진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제제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C. butyricum을 CAB Medium에서 배양하였을 때, 구기자, 괴화, 백굴채, 백작약, 백출, 음양곽, 석창포, 진피, 당귀, 황금 및 오가피 등의 한가지의 천연산물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 되었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조합인 백작약과 음양곽, 백작약과 진피, 백작약과 갈근, 백작약과 당귀, 백작약과 황금, 백작약과 괴화, 백작약과 녹차, 음양곽과 진피, 음양곽과 갈근, 음양곽과 황금, 음양곽과 괴화 등의 조합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백작약과 음양곽, 백작약과 진피, 백작약과 당귀, 음양곽과 갈근, 음양곽과 진피, 음양곽과 괴화의 조합 등은 대조군보다 2.0배 이상의 성장이 촉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산물의 성분이 membrane의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세 종류의 천연산물 조합인 음양곽과 갈근 및 괴화, 음양곽과 갈근 및 백작약, 음양곽과 갈근 및 당귀, 음양곽과 갈근 및 연자육, 음양곽과 갈근 및 황금 등의 조합에 의하여 성장이 촉진되었고, 음양곽과 갈근 및 연자육의 조합은 대조군 보다 1.7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4 종류 천연산물 조합인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괴화의 조합,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당귀의 조합은 대조군의 2.2배, 연자육,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 갈근, 연자육, 백작약 및 괴화의 조합은 2.3배, 갈근,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은 2.0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보여, 천연잔물의 조합에 의하여 생체에 probiotics의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유용균의 성장 향상을 위한 조합의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고, 이들의 응용은 생체방어의 새로운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종류의 조합의 항산화력을 용존산소 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연자육, 백작약, 괴화 및 당귀의 조합의 AUC가 631.45로써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성장촉진 효과는 2.3배로 나타났다. C. butyricum의 성장을 촉진하는 4 종류의 조합에 대한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50, 100, 200 및 300 배로 희석하여 검토하였을 때 음양곽, 갈근, 연자육 및 당귀의 조합이 200 배의 희석율에서 94.63%의 소거율을 보였고, 4 종류의 조합 모두 높은 희석율에도 90% 이상의 높은 소거율을 보여 높은 희석률을 필요로 하는 음료 제제로서의 탁월함을 보였으며, 또한, 4종류의 각 조합에 따른 방향족의 함량 및 총 phenol도 가공된 차보다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uppress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of Skin Fibroblasts by Wogonin, a Plant Flavone from Scutellaria Radix

  • Chi, Yeon-Sook;Kim, Hyun-Py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96-96
    • /
    • 2003
  • Previously, wogonin (5,7-dihydroxy-8-methoxyflavone) was found to suppress proinflammatory enzyme expression including cyclooxygenase-2 (COX-2), contributing to in vivo anti-inflammatory activity against skin inflammation. However, the detailed effect on each skin cell type has not been understood. Therefor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 of wogonin on inflammation-associated gene expression from skin fibroblasts in culture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ogonin (10 - 100 ${\mu}$M) clearly down-regulated COX -2 expression from NIH/3T3 cells treated with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interleukin-1${\beta}$ or tumor necrosis factor-a. But, the expression levels of COX-1, interleukin-1${\beta}$ and fibronectin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is finding was well correlat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production by wogonin. As a comparison, NS-398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did not suppress COX -2 expression and other gene levels, while PGE$_2$production was potently reduced at 0.1 - 10 ${\mu}$M.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X -2 down-regulation of skin fibroblasts may be, at least in part, one of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wogonin against skin inflammation.

  • PDF

Baicalein and Baicalin from the Radix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nhibits 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 Garcia, Nellie Ann S.;Jeong, Hyung-J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9-497
    • /
    • 200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protective effects of two major constituents, baicalein and baicalin, against oxidative DNA and cell damages caused by hydroxyl radical.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DPPH and hydroxyl radicals scavenging assays and $Fe^{2+}$ chelating assay. ${\varphi}X$ 174 RFI plasmid DNA and intracellular DNA migration assay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Also, MTT and lipid peroxidation assays were used to evaluate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cell damage. Both baicalein and baicalin prevented intracellular DNA and cells from oxidative damage caused by hydroxyl radical via antioxidant activities. Baicalein demonstrated a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in scavenging DPPH radicals and chelating $Fe^{2+}$ while baicalin scavenged hydroxyl radicals more efficiently.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baicalein and baicalin pose a different pathological pathway for eac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icalin was due to its ability to scavenge hydroxyl radical whilst baicalein was a stronger $Fe^{2+}$ chelator. Further investigation to compar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ntitumor activities of baicalein and baicalin is vital to anticancer research.

생약복합제제가 토끼의 퇴행성관절염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cinal herb administration to arthritis induced rabbit arthritistreatment)

  • 권태동;김기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5호
    • /
    • pp.437-4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arthrit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e effects the herbral administration to experimental animals induces arthritis 4 weeks for medicinal herb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canthopanacis cortex, Achyranthis Radix).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of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biological examinations for arthritis improvement in vivo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Normal, n = 7), or a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n = 7), or a collagenase injection and medicinal herbs (SAA, n = 7). It was confirmed that induced arthritis was treated with Gross examination, and the measurement of average arthritis index (MAI) and improved arthritis by medicinal herbs. TNF-${\alpha}$ and IL-$1{\be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IA and SAA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5). MMP-1 and TIMP-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IA,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 < 0.05). MMP-1 and TIMP-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A group, compared to the CIA group (p < 0.05). As a result, Herbal administration used in this study might be able to help in the treatment of arthritis induced by inflammatory and immunosuppressive effects, that which can be expected.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 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82-2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 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 추출하여 H HA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 HAase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I mg/mL의 농도에서 황기, 두충, 오미 자, 황금, 오가피, 목과, 목단피, 산사가 50% 이상의 저해활 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에 대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 과, 모든 시료의 ethyl acetate와 water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F Fenton 반응에 의해 발생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능으 로 평가하였다 ..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목단피, 백작약, 차전자, 마가목 에탄올 추출물이 I mg{mL 놓도에서 90% 이상으로 대조군으로 이용한 BHA와 Q - -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2-deoxyribose 산화 법에 따른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대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시료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올 갖는 시료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inoleic a acid와 phosphatidylcholine liposome 기질 모두에 대하여 오미 자 추출물은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황금(黃芩)이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투여로 유발된 Membranous Nephropathy Mouse Model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 Radix Extract on the Membranous Nephropathy Induced by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 in Mouse Model)

  • 김만호;조충식;김철중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76
    • /
    • 2009
  • Background: Membranous nephropathy (M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dult nephrotic syndrome worldwide and has been defined as granular subepithelial deposition of immune complexes along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GBM). MN has few known treatments and gives rise to side effects under treatment with steroids and immunosuppressive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SRE) treatment on MN mouse model induced by cBSA. Methods: We divided mice into 4 groups. The Normal group had no treatment. We induced MN mouse model to the other 3 groups by injecting cBSA into the abdominal cavity.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cBSA (10 mg/kg, i.p.) only. The second group, 'SRE-250', was treated with cBSA (10 mg/kg, i.p.) and SRE (250 mg/kg, p.o.). The third group, 'SRE-500', was treated with cBSA (10 mg/kg, i.p.) and SRE (500 mg/kg, p.o.). After cBSA and SRE treatment for 4 weeks, gain in body weight, 24hrs proteinuria, serum album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BUN and creatinine of all groups were measured. TNF-$\alpha$, IL-6, IL-1$\beta$, IL-10, IFN-$\gamma$, IgA, IgM and IgG levels of all groups were gauged. H&E staining and electron microscopy of the kidney were observed. Results: SR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24hrs proteinuria, serum triglyceride, BUN, TNF-$\alpha$, IL-6, serum IgA, IgM and IgG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RE showed increase in the serum IL-10 and IFN-$\gamma$ levels compared with control on RT-PCR. SRE considerably decreased in the thickening of the GBM on H&E staining and deposition of electron-density on electron microscopy of the kidney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RE decreases the symptoms of MN induced by cBSA in mouse model. Therefore, SRE seems to be applicable to MN in clinical practice.

  • PDF

ROS 제거기능을 갖는 천연산물로부터 장내 유용세균 Lacobacillus속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조합의 구성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Removing ROS for Growth Promoting Effects of the Useful Enterobacteria Lacobacillus sp.)

  • 김종덕;김민용;서효진;김봉조;김대현;김은옥;정해영;공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0-281
    • /
    • 2002
  • 장내 유용세균인 L. acidophilur및 L. plantarum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및 네 종류의 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L. acidophii요는 이들 천연산물의 배합 중에서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백작약, 석창포, 진피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석창포와 계피, 진피와 갈근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승마와 계피 및 감초 등의 조합이, 네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감초, 녹차, 황금 및 계피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는 1.3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력은 대조 군보다도 4배 이상의 강함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 배 희석하였을 때 70%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또한,1. plantaurm은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산수유, 연자육, 괴화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오미자와 녹차, 백작약과 음양곽, 현초와 녹차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와 녹차 및 백작약, 산수유와 황련 및 오미자, 산수유와 오미자 및 백작약 등의 조합이,4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황금의 조합, 산수유, 오미자,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현초 등의 조합에서 L. plantarum가 잘 성장함을 보였고, 이 례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 1.5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고, 항산화력은 수-5배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배 희석하였을 때 75%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천연산물의 배합으로 생체의 특정부위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항산화력으로 유해 산소를 제거 할 수 있으며, 천연산물 고유의 약성을 활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생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항산화 차등의 건강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금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산화반응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Lipid Metabolism, Oxidatio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Highly Oxidized Fat)

  • 김성만;차윤엽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5-91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황금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장기간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산화반응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10주 동안 흰쥐에게 과산화지질을 과량으로 급여하여 생체 내에 과잉의 지질을 축적시킨 후, 황금추출물을 6주간 급여하였다. 그 후, 각 처리군별로 지질대사, 산화반응 및 전염성 cytokin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결과: 혈액 내 유리지방산,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과 간장 내 총지질, 총콜레스테롤이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하락했다. 혈액 및 간장의 thiobarbituric acid 농도가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하락했다. 간장 내 항산화효소들(glutathione peroxidase, liver catalase, liver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치가 황금처리군에서 상승하였다. 전염증성 cytokine(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IL-6)의 농도는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하락했다. 반면에 IL-10의 농도는 황금추출물 처리군에서 증가했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황금 추출물은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비만쥐의 지질대사, 항산화반응 및 항염증반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인식시켜 준다.

바실러스균 발효황금약침액이 Lipopolysaccharide로 활성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인터루킨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cillus-Fermented Scutellariae Radix Acupuncture Solution on Interleukin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 박완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7권2호
    • /
    • pp.95-105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illus-fermented Scutellariae Radix acupuncture solution (SB) on interleukin(IL)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stimulatedby lipopolysaccaride(LPS). Methods : Productions of interleukins were measured y High-throughput Multiplex Bead based Assay with Bio-plex Suspension Array System based on $xMAP^{(R)}$(multi-analyte profiling beads) technology. To begin with, cell culture supernatant was obtained after treatment with LPS(1 ${\mu}g/mL$) and SB for 24 hour. Then, it was incubated with the antibody-conj${\mu}g$ated beads for 30 minutes. And detection antibody was added and incubated for 30 minutes. After incubating for 30 minutes, Strepavidin-conjugated Phycoerythrin(SAPE) was then added. Incubating for another 30 minutes, the level of SAPE fluorescence was analyzed on Bio-plex Suspension Array System. Results :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IL-3($9.15{\pm}0.35$ pg/mL) by $6.92{\pm}0.05,\;7.21{\pm}0.11,\;6.96{\pm}0.33,\;and\;7.45{\pm}0.74$ pg/mL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 ${\mu}g/mL$ i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p<0.05).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IL-5($7.30{\pm}0.48$ pg/mL) by $6.50{\pm}0.29,\;6.30{\pm}0.25,\;6.30{\pm}0.25,\;and\;5.80{\pm}0.25$ pg/mL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 ${\mg}g/mL$ in RAW 264.7 cells (p<0.05).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ion of IL-9($17.26{\pm}0.19$ pg/mL) by $15.01{\pm}0.43$ pg/mL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g/mL$ in RAW 264.7 cells(p<0.05).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h of IL-13($187.80{\pm}2.90$ pg/mL) by $152.80{\pm}4.25,\;172.80{\pm}3.97,\;162.10{\pm}6.67,\;and\;165.30{\pm}11.80$ pg/mL at the concentration fo 25, 50, 100, and 200 ${\mu}g/mL$ in RAW 264.7 cells(p<0.05).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IL-17($18.30{\pm}0.95$ pg/mL) by $13.30{\pm}1.25,\;13.80{\pm}1.11,\;13.30{\pm}0.75,\;and\;14.00{\pm}1.08$ pg/mL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 ${\mu}g/mL$ in RAW 264.7 cells(p<0.05). SB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IL-23($43.90{\pm}0.83$ pg/mL by $39.50{\pm}1.26,\;38.00{\pm}1.78,\;and\;39.60{\pm}2.49$ pg/mL at the concentration of 25, 100, and 200 ${\mu}g/mL$ in RAW 264.7 cells(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 has anti-inflammatory activity related with its inhibition of IL-3, IL-5, IL-13, IL-17, and IL-23 production in macrophages.

천궁 및 당귀를 함유한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olatile Flavor Extract from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Including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Angelica gigas Nakai)

  • 임현희;김은옥;서미자;최상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9-210
    • /
    • 2011
  •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질환 치료 한방화장품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보에서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궁, 당귀, 박하 및 애엽을 비롯하여 5가지 생약(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및 감초)으로 구성된 4가지 한방처방제(HH-1: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HH-2: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감초, HH-3: 천궁, 당귀, 박하, 애엽, HH-4: 천궁, 당귀, 박하, 애엽, 황금, 인삼, 감초)를 선정한 후 연속수증기증류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을 이용하여 추출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및 soybean lipoxygenase (SLO)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HH-2가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뿐 아니라 SLO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염증 활성이 강한 HH-2의 항염증 효능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 유발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염증 유발매개인자인 nitric oxide (NO)와 prostaglandin $E_2$ ($PGE_2$) 및 interleukin-6 (IL-6)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HH-2가 강한 NO 생성 억제 효과뿐 아니라 $PGE_2$ 및 IL-6를 강하게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증 활성이 높은 HH-2의 휘발성향기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eugenol, paeonol, butyl phthalide, ${\beta}$-eudesmol 및 butylidene dihydrophthalide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항염증활성이 높은 HH-2를 피부노화 및 염증질환 치료용 한방화장품의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