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nuclide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34초

자발성 두개내 저압 환자의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 소견 (Radionuclide Cisterno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 정동진;김재승;류진숙;신중우;임주혁;이명종;정선주;문대혁;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2-489
    • /
    • 1998
  • 목적: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은 자발성 두 개 내 저압환자의 체위성 두통과 저뇌척수압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이 질환의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의 특징적인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발성 두개내 저압으로 진단되어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을 시행한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조조영술은 Tc-99m DTPA 111-222 MBq를 요추천자를 통해 지주막하강에 투여한 후 감마카메라로 30분부터 2시간 이내에 방광을 포함한 요추부와 경흉추부의 전면상과 측면상을 얻었고, 4, 6, 24시간에 두부와 경흉추부의 전면상과 측면상을 얻었다. 방광 내 방사성 추적자의 조기 배설유무, 척수강 내 방사성의 이동속도, 연조직 섭취정도, 그리고 대뇌궁융부로의 이동 지연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 소견은 대뇌궁융부로의 방사성 추적자의 이동지연(14/15), 연조직의 섭취증가(11/15), 방광 내 방사성 추적자의 조기 출현(13/13) 등이 있었고 뇌척수액의 누출을 시사하는 척수경막강 주위의 방사성 추적자의 국소 집적도 4예에서 있었다. 결론: 방사성 추적자의 이동 지연과 연조직의 섭취증가 및 방광 내 방사성 추적자의 조기 출현 등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고, 이러한 뇌조조영술 소견은 자발성 두개 내 저압의 주된 병태생리가 뇌척수액의 누출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방사성 추적자 이동의 역동적 측면을 잘 평가하기 위해서는 방광과 연조직을 포함한 30분 영상과 다발적인 연속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보조지표를 활용한 중·저준위 처분시설 성능평가: 방사성 핵종 플럭스 사례연구 (Performance Assessment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n Korea by Using Complementary Indicator: Case Study with Radionuclide Flux)

  • 정강일;정미선;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6
    • /
    • 2015
  •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스템의 이해도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에 적용되는 국외 처분시설의 보조지표들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월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근계지역의 공학적 방벽과 원계지역의 자연방벽 성능평가를 위해 연속적인 방벽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벽 간의 방사성 핵종 플럭스를 보조안전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처분시설의 정상시나리오를 콘크리트 사일로의 건전조건과 열화조건으로 나누어 방벽별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방사성 핵종에서 방벽별 지연성능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콘크리트가 건전한 경우에서 공학적 방벽의 방벽별 상세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열화콘크리트의 경우, 공학적 방벽의 성능저하도 및 자연암반과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본 연구 결과는 2단계 표층처분시설 설계 최적화 및 방벽성능의 검증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에는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과 안전성의 이해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조지표를 추가 선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천층처분시설 근계영역의 2차원 통합성능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Near-field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Near-surface LILW Disposal)

  • 방제헌;박주완;정강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5-334
    • /
    • 2014
  • 월성원자력환경센터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서로 다른 방식의 처분시설이 혼재하고, 월성 원자력발전소와도 인접해있다. 이와 같은 높은 복잡성으로 인해 처분시설 안전성 평가 시 보다 면밀한 현상이해가 필요하다. 기존 1단계 사일로 처분시설의 성능평가모델들에 포함된 불필요한 보수성을 줄이고 복합처분시설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차원 수리/핵종이동 모델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향후 복합처분시스템의 특성에 기인한 다양한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많은 계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위해 보다 효율적인 성능평가 모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두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리성능 모델과 핵종이동 모델을 연계한 2단계 천층처분시설의 근계영역 2차원 통합성능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수리 및 핵종이동은 PORFLOW와 GoldSim 전산 코드를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GoldSim 핵종이동 모델은 PORFLOW 핵종이동 모델과의 벤치마크를 통해 검증하였다. GoldSim 모델은 계산효율이 뛰어났으며 기존의 모델에 비해 핵종이동거동을 이해하는데 용이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 심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단락량 측정법: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Measurement of Shunt Amount Using Radionuclide Angiocardiography: Accuracy According to Level of Shunt and Associated Lesion)

  • 김양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4호
    • /
    • pp.200-204
    • /
    • 2006
  • 목적: 산소포화도법과 비교하여 동위원소법을 이용한 Qp/Qs측정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이와 연관된 요인이 무엇인지, 추적 검사시 두 검사법의 결과를 서로 비교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 검사법으로 Qp/Qs를 측정한 2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은 폐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얻어서 gamma variate model에 적용하여 면적으로부터 Qp/Qs를 구하였다. 환자의 연령, 좌우 단락의 종류와 동반된 질환 등에 따라서 방사성 동위원소 조영술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상관계수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의 평균치는 각각 $1.85{\pm}0.50,\;1.74{\pm}0.51$이며, 두 검사법으로 얻은 Qp/Qs의 상관계수는 0.86 (p<0.001)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land-Altman 분석에서 두 검사법에 의한 Qp/Qs의 일치의 한계값은 $-0.42{\sim}0.63$, 범위는 1.05였다. 심실중격 결손증 환자에서는 상관계수가 0.9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치의 한계값은 $-0.29{\sim}0.45$ 였다. 심방중격 결손증, 심실중격 결손증, 동맥관 개존증 환자와 삼첨판 부전증과 승모판 부전증이 동반된 환자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78, 0.90, 0.84, 0.63, 0.44 였으며, 일치의 범위는 1.52, 0.74, 0.96, 1.57. 1.50이였다. 결론: 동위원소 검사법과 심도자술로 얻어진 Qp/Qs는 전체적으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이나 일치의 한계값이 크므로 추적 검사시 서로 호환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방실판막 부전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낮은 상관관계와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지하연구시설에서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 연구 현황 분석 (Research Status on the Radionuclide and Colloid Migration in Underground Research Facilities)

  • 백민훈;이재광;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KURT (KAERI 지하처분연구시설)를 포함한 지하연구시설에서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에 대한 연구현황을 조사하였다. 화강암과 같은 결정질 암반층에 건설된 해외 지하연구시설들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Grimsel Test Site (GTS)와 $\ddot{A}$sp$\ddot{o}$ Hard Rock Laboratory에서의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연구에 대한 주요 국제공동연구의 연구항목 및 내용, 진행중인 연구 프로젝트, 연구계획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 PDF

단일 균열암반에서 핵종/콜로이드 복합이동에 대한 수치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Numerical Model for Complex Transport of Radionuclide and Colloid in the Single Fractured Rock)

  • 이상화;김정우;정종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콜로이드와 핵종의 복합이동에 관한 수치모델을 개발하였다. 콜로이드와 핵종의 반응-이동 지배방정식을 풀기 위하여 Operator Splitting Method 중 Strang의 분리 SNI 방식을 수치해석 방법으로 채택하였고 이는 MATLAB을 이용하여 코드화 되었다. 개발된 수치모델은 용질의 이동 및 분산만을 고려한 해석해를 통한 검증과정에서 피어슨 상관계수의 제곱값($r^2$)이 0.99 이상으로 나타나 모델의 정확성이 입증되었다.

방사성핵종 이용 치료에서 핵의학영상을 이용한 흡수선량평가 (Internal Radiation Dosimetry using Nuclear Medicine Imaging in Radionuclide Therapy)

  • 김경민;변병현;천기정;임상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265-271
    • /
    • 2007
  • Radionuclide therapy has been an important field in nuclear medicine. In radionuclide therapy, relevant evaluation of Internally absorbed dose is essential for the achievement of efficient and sufficient treatment of incurable disease, and can be accomplish by means of accurate measurement of radioactivity in body and its changes with time. Recently, the advances of nuclear medicine imaging and multi modality imaging processing techniques can provide change of more accurate and easier measurement of the measures commented above, in cooperation of conventional imaging based approaches. in this review, basic concept for internal dosimetry using nuclear medicine imaging is summarized with several check poi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real practice.

동위원소(Tc-99m HAM)를 이용한 난관 조영술 (Radionuclide (Tc-99m) Hysterosalpingography for Evaluation of Fallopian Tube Patency)

  • 박원;김종순;박창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1
    • /
    • 1987
  • A prospeci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adionuclide Hysterosalpingography (RNHSG), that was modified by McCalley, et al. for the evaluation of fallopian tube. Using spontaneous migration of Tc99m labelled human albumin microsphers (HAM) and images got with Gamma camera, the study was made in 20 gynecological patients (44 tubes) in an effort to confirm the anatomical patency or obstruction as well as functional one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86 to July 31, 1986. The efficacy was also compared with that of contrast hysterosalpingography and surgical observation.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dionuclide Hysterosalpingography appeared to be a simple and accurate procedure as a mean with which anatomical tubal patency, as well as functional patency can be detected, although it's some limit in showing anatomical details of uterine cavity and tubes in comparison with contrast hysterosalpingography. 2) The predicted value of tubal obstruction was 82.4%. and that of tubal patency was 88.9% respectively. Overall efficacy (percent of tube correctly classified) of Radionuclide Hysterosalpingography was 88.6%. 3) There was no nuclide related complication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 PDF

Estimation of long-term effective doses for residents in the regions of Japan following Fukushima accident

  • Kim, Sora;Min, Byung-Il;Park, Kihyun;Yang, Byung-Mo;Kim, Jiyoon;Suh, Kyung-S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837-842
    • /
    • 2019
  • A large amount of radioactive material was released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FDNPP) in 2011 and dispersed into the environment. Though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some parts of Japan a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radionuclide contamination, especially Fukushima Prefecture and prefectures neighboring Fukushima Prefecture. The long-term effective doses and the contributions of each exposure pathway (5 exposure pathways) and radionuclide ($^{131}I$, $^{134}Cs$, and $^{137}Cs$) were evaluated for people living in the regions of Fukushima and neighboring prefectures in Japan using a developed dose assessment code system with Japanese specific input data. The results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previously published reports. Groundshine and ingestion were predicted to contribute most significantly to the total long-term dose for all regions. The contributions of each exposure pathway and radionuclide show different patterns for certain regions of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