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cal Color Chang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3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꾸지뽕의 블랜칭 처리 및 건조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of Cudrania tricuspidat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종진;박대희;정가영;신은주;도선길;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4-83
    • /
    • 2017
  • 꾸지뽕 열매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과 물러짐으로 저장기간이 짧고 유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농산물에 적용할 수 있는 선도 유지 및 가공법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농민들이 적용할 수 있는 블랜칭 처리방법과 열풍 건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블랜칭 처리 시간별로 꾸지뽕의 생균수를 측정하여 블랜칭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블랜칭 처리 시간 및 건조 조건에 따른 건조 추세를 비교한 결과, $40^{\circ}C$에서 건조 시 무처리구 보다 블랜칭 처리구가 더 빠른 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무처리구와 블랜칭 처리구 간의 건조 추세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블랜칭 및 열풍건조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조건에 따른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색차(${\Delta}E$)의 예측값은 각각 8.62 mg GAE/g, 56.65 mg RE/g, 40.26%, 11.69의 수치를 나타냈다. 최적 범위 내 임의의 조건 즉, 240 sec 블랜칭 처리 시간, $60^{\circ}C$ 건조 온도, 24 h 건조 시간에서 실험값은 10.06 mg GAE/g, 49 mg RE/g. 44.99%, 10.53을 나타냈으며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마늘을 첨가한 양념고추장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nges of Garlic Added Seasoning Gochujang During Storage)

  • 신정혜;양승미;강민정;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15-123
    • /
    • 2011
  • 다져서 가열한 마늘 베이스를 고추장에 0, 10, 20 및 30% 첨가하여 양념고추장을 제조하고 $37{\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0, 20 및 40일에 그 품질특성의 변화를 실험함으로서 양념 고추장 소스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양념고추장의 L값과 b값은 저장 20일에 감소하였다가 40일에는 다시 증가하였으며, a값은 저장 20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40일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pH는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져 양념고추장 제조 직후 30% 첨가구에서 5.22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산도는 저장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저장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양념 고추장 5배 희석 여액을 25, 50 및 $100{\mu}L$씩 첨가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저장 직후에는 $100{\mu}L$ 첨가시 94.36-96.72%의 범위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이 더 높았다. 저장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라디칼 소거 활성은 저하하여 저장 40일에는 50% 미만이었다.

경엽식물 잎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박동일;최아름;우혜진;이성갑;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0-586
    • /
    • 2010
  •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 및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 및 유산균 증식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이 뽕잎 추출물과 댓잎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유산균의 생육을 더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담근 14일후의 관능평가 결과, 감잎 세절물 0.3%를 첨가한 김치에서 색, 풍미,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 감잎 세절물과 감잎 추출물 0.3%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담근 당일과 담근 14일 후의 pH와 산도의 변화량$({\Delta}pH,\;{\Delta}TA)$을 계산한 결과, 감잎 세절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p<0.05). 또한, 담근 14일 후의 감잎 세절물 0.3% 첨가한 김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김치 제조 시 감잎 세절물 0.3%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pH, 총산도의 변화, DPPH 전자공여능, 총 폴리페놀 함량 및 관능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조건에 따른 은행알의 4'-O-methylpyridoxine (ginkgotox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4'-O-methylpyridoxine (ginkgotoxi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ginkgo biloba seeds in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 홍서정;장진아;황현정;조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32-5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조리조건에 따른 은행의 이화학적, 독성 및 항산화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삶기, 찌기, 볶기 3가지의 조리법과 각 조리법 별 5가지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조리조건에 따라 조리된 은행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은행의 외관 변화를 보기 위해 색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독성은 MPN 함량, 항산화적 변화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총 페놀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은행의 외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색도의 경우, 볶기가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고온으로 인해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여 L 값이 감소하고 a값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PN 함량은 볶기가 단시간 동안 큰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8분에서 MPN 함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11분간 볶은 은행에서 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뒤 14분까지 생물 및 다른 조리조건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30분 이내로 찌거나 11분 이내로 볶았을 때 그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 없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분 동안 볶은 은행에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뒤 14분까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리시간 대비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조리법은 볶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대비 변화가 가장 적은 조리법은 찌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의 독성 함량 감소 및 항산화 활성 증가를 위한 최적의 조리 조건은 8분-11분간 볶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조리조건에 따라 은행 속 독성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 양상에 대한 분석은 추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병귤과피의 주정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Changes of Major Constituents by Soaking of Citrus platymamma Peel with Spirit Solution)

  • 이상협;김종현;정희찬;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54-159
    • /
    • 2007
  • 제주산 병귤을 침출주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30{\sim}95%$ 주정농도에 건조과피를 각각 500 g/10 l(5%, w/v) 비율로 첨가하여 70일간 침출특성을 검토하였다. 주정농도 30%에서 pH는 $5.19{\sim}4.80$으로 가장 낮았으며, 침출 후 10일까지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색도 a값이 낮아지고, b값이 증가하였다. 가용성고형물은 주정농도 $30{\sim}70%$에서 $2.00{\sim}2.19%(w/v)$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산함량은 주정농도 $30{\sim}70%$에서 $0.18{\sim}0.21%(v/v)$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주정농도 95%에서는 $0.13{\sim}0.15%(v/v)$였다. 주정농도 낮을수록 fructose와 glucose가 많았으며,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sucrose 함량은 낮았다. 병귤과피의 주요 flavonoid는 narirutin, hesperidin, nobiletin, 3,5,6,7,8,3'4'-methoxylated flavone, tangeretin이었고, 대부분의 flavonoids는 침출 후 $3{\sim}5$일에 80%이상 용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주정농도 $30{\sim}70%$로 20일 침출에서 $628.8{\sim}711.2$ ${\mu}g/ml$였으며, 주정원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병귤과피를 침출주 원료로 사용하였을 때, 주정농도 $50{\sim}70%$에서 20일 동안 침출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감마선 조사와 저장온도에 따른 사과의 기능성 성분 및 조직감 변화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윤혜정;임상용;허정무;정진우;양수형;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9-246
    • /
    • 2007
  • 사과의 유통에서 내 외부 품질특성 및 외부 오염원으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과에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각각 $4^{\circ}C$$25^{\circ}C$에 저장하면서 사과의 생리화학적 및 물리적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이나 품질저하는 보존 온도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량변화와 기계적 물성 특성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색도와 관능특성은 상온 보관시 감마선 조사 시험구에서 다소간의 품질 열화가 관찰되었으나 저온보존에서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사과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그리고 물리적 요인의 보존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미생물학적 관점에서의 유통, 보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효한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마카롱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caron with Cabbage Powder)

  • 김기주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67-374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양배추 분말을 첨가(0, 1, 3, 5, 7%)한 마카롱을 제조하여 물리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실험하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가능성과 제조 적성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품질 특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카롱의 퍼짐성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굽기손실율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는 L 값과 a 값이 대조구에 비해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b 값은 대조구와 1%, 3%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5%, 7%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에서 경도, 응집성, 탄력성은 양배추 분말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점착성, 깨짐성은 대조구와 1%, 3%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5%, 7%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카롱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 평가는 색, 향미,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양배추 분말 3% 첨가구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맛은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의 경우 7% 첨가구에서는 각각 4.93과 5.0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마카롱 제조 시 양배추 분말의 항산화 활성, 물리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첨가량은 3%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디 분말 첨가가 들기름 마요네즈의 품질특성 및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Mayonnaise prepared with Perilla Oil)

  • 이미현;김아나;허호진;천지연;강성원;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32-114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mayonnaise prepared with perilla oil with the addition of mulberry powder ranging from 0 to 5%.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oil mayonnaise (PM), as determin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well as FRAP and total phenolics content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mulberry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sampl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pendent o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added. Lipid oxidation of PM decreased with a higher amount of mulberry powder, based on measurements of peroxide value. The emulsion stability of PM increased with decreases i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level. The a-value in PM color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ulberry powde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of PM was achieved with 4% mulberry.

레이노드 증후군의 치료에 있어서 수부 교감신경절제술 (Digital Sympathectomy for Treatment of Raynaud's Syndrome)

  • 이세환;안희창;최승석;김창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479-484
    • /
    • 2005
  • Raynaud's syndrome causes discolorization, ischemic claudication(pain) and necrosis of the digits through insufficiency in the circulation which is induced by intermittent spasms of the digital arterie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10 patients were surgically treated for Raynaud's syndrome. 9 patients were female and 1 patient was male. 2 patients showed unilateral involvement, 8 patients were operated on both hands. 6 patients had necrotic changes on the finger tips due to the disease. Ages ranged from 21 to 60 with an average of 39.1. Ischemic pain, discolorization, and cold intolerance of the digits were the common symptom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color doppler before the surgery. Two different procedure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Patients with decreased circulation received, what we call a limited digital sympathectomy, i.e. stripping of the adventitia of the ulnar, radial and common digital arteries. An extended procedure, radical digital sympathectomy,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a complete block of circulation. Stripping of the adventitia in these patients also involved the proper digital arteries. Symptoms like discolorization, ischemic pain, and cold intolerance improved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The patients did not suffer from pain even with exposure to cold weather. We conclude that digital sympathectomy could improve the symptoms in Raynaud's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such as calcium channel blocker and other vasodilators.

아라비카 커피의 배전 중 항산화 및 향기패턴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lavor patterns of Coffea arabica beans during roasting)

  • 서연수;이승헌;상아방;윤정로;이원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4-230
    • /
    • 2014
  • 브라질 몬테알레그레 커피와 에티오피아 시다모 커피를 약배전, 중배전, 강배전으로 볶아 색도, 총 페놀 함량, 카페인, 클로로겐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3.06~3.31%, 카페인 함량은 0.81~1.11%로 배전과정 중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브라질 커피의 클로로겐산 함량은 2.15%(약배전)에서 1.32%(강배전)으로 감소하였고, 에티오피아 커피의 클로로겐산 함량은 2.27%(약배전)에서 0.49%로 감소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약배전 시료와 강배전 시료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GC를 기초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배전 정도에 따른 향기패턴을 분석한 결과 향기패턴의 차이를 잘 구분할 수 있었다. 전자혀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각기 달리 배전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신맛과 단맛은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했다. 전자코와 전자혀 분석기술은 배전과정 중에 향기와 맛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