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oncology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Structure of an Oncology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 Cost-Effective Relational Database for Small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 Jeon, Hosang;Kim, Dong Woon;Joo, Ji Hyeon;Ki, Yongkan;Kim, Wontaek;Park, Dahl;Nam, Jiho;Kim, Dong Hye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1권4호
    • /
    • pp.172-178
    • /
    • 2020
  • Purpose: Radiation oncology information systems (ROIS) have evolved toward connecting and integrating information between radiation treatment procedures. ROI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tilizing modern radiotherapy techniques that have high complexity and requir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Methods: Using AccessTM software, we have developed a relational database that is highly optimized for a radiotherapeutic workflow. Results: The prescription table was chosen as the core table to which the other tables were connected, and three types of forms-charts, worklists, and calendars- were suggested. A fast and reliable channel for delivering orders and remark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ituation was also designed. Conclusions: We expect our ROIS design to inspire those who need to develop and manage an individual ROIS suitable for their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s at a low cost.

Analysis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tatus of medical linear accelerator facilities in Korea

  • Kwon, Na Hye;Shin, Dong Oh;Ann, So Hyun;Kim, Jin Sung;Choi, Sang Hyoun;Kim, Dong W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449-455
    • /
    • 2022
  • The rapid rise in the application of novel treatment techniques, such as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motivated us to survey the status of Korea'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the shielding designs of facilities employing medical linear accelerators (LINAC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on LINAC facilities and treatments, workload, shielding design, shielding management, and path of obtaining shielding information. Out of 100 domestic institutions, 52 responded to the survey. Approximately 70% of the institutions utilized IMRT for more than 60% of their cases, and an IMRT factor of 5 was adopted by 75% of these institutions. Over 80% of the institutions accounted for the applied time-averaged dose rate per week and instantaneous dose equivalent rates in their shielding designs. Approximately 45% of the institutions obtained important shielding information via a radiation shielding design company and the NCRP-151 report. Overall, most facilities were shown to follow the standards recommended by the relevant international agencies. However, the requirement to establish standardized shielding design information and clarify ambiguous paths for information acquisition was also highlighted. Therefore, the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afety control system and for creating adequate shielding designs.

디지털 화상 병력 시스템과 디지털 방사선치료 기록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 경험 (Radiation Oncology Digital Image Chart 8nd Digital Radiotherapv Record System at Samsung Medical Center)

  • 허승재;안용찬;임도훈;조정근;김대용;여인환;김문경;장승회;박석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67-72
    • /
    • 2000
  • 목적 : 방사선치료 기록의 전산화를 통하여 "paperiess" 환경을 이룩하고 원활한 방사선치료의 흐름에 도움을 주기 위 함. 대상 및 방법 : 삼성서울병원의 병원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합 방사선 관리 시스템(Comprehensive Radiation Oncology Management System:C-ROMS)을 구축하였다. C-ROMS의 한 부분인 디지털 화상 병력 시스템(digital image chart: DIC)과 디지털 방사선치료 기록 시스템(digital radiotherapy record system: DRRS)을 개발하였다. DIC와 DRRS는 Deiphi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windows 95 환경에서 구동이 되며 과내 23대의 개인용 컴퓨터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송 속도는 10 Mbps (megabit per second)이다. DIC와DRRS은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556명의 환자에서 사용하였다. 결과 : lU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556명의 환자에서 IS,732개의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여 DIC에 이용하였다. 1998년 12월부터 DRRS를 이용하여 120명의 환자에서 종래의 치료 기록지를 대체해서 DRRS에 의존하여 방사선치료 및 치료 중 환자 관리를 이룩할 수 있었다. 치료 완료 후에는 규격화된 치료 기록지를 인쇄해서 보관하고 방사선치료 중 "Paperless" 환경을 이룩함으로써 환자의 원활한 치료 및 자료의 보관이 용이하게 되었다. 결론: DIC와 DRRS를 이용하여 치료기록의 전산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방사선치료 기록지를 디지털화 하여서 "paperless" 환경의 치료에 기여하였다.

  • PDF

방사선종양학과 의료정보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

  • 이동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55-662
    • /
    • 2010
  • 로터스 노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하여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의 선상 정보, 모의 조사, 질병 정보 및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전산화하기 위한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정보 입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방사선종양학과 내 전자차트의 개발을 통하여 그 동안 문서상에서 운영되던 진료 및 치료 업무를 전산화하고 과내의 업무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치료자가 치료 정보를 쉽게 얻고 분석하여 치료의 정확성, 환자대기 시간의 단축, 진료예약 및 치료업무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Image Viewer System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age Viewer System)

  • 양오남;서인기;홍동기;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3
    • /
    • 2006
  • 목 적: 암 환자의 증가와 함께 방사선 치료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및 데이터의 양들도 대폭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이들을 저장, 보관,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영상 및 data의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화를 목적으로 의료정보팀의 협조 하에 본 System을 개발, 적용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과 방사선치료 관리 시스템(RO-radiation oncology)에서 PACS에 접근할 수 있는 code를 부여한 후 영상은 R&V (Record and Verify: Varis vision, Varian, USA) 시스템 및 planning system에서 export 한다. 이때 DICOM (digital image and communication system) head에 있는 많은 정보들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화 하였다. 결 과: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영상 및 자료 즉, 모의치료, CT, L-gram 영상, structure (normal organ & target volume), DRR (Digital Reconstruction Radiography), 선량 분포도, DVH (dose volume histogram) 등을 PACS에 구현 하였으며 과내 어느 컴퓨터에서도 선명히 영상을 볼 수 있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 론: 본 시스템의 개발로 film less화가 가능하게 되어 현상 처리에 관련한 암실 공간과 유지비용이 소멸되었고 film 저장공간 및 film을 찾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포함한 유, 무형의 경제적 비용뿐만 아니라 영상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장치의 구입도 불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방사선 치료를 위해 복잡하게 행해졌던 일련의 과정들이 본 시스템을 통해서 현재는 전산 상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처방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선종양학과 진료업무의 전산화 (Computerization of Radiation Oncology Practice Using Order-Communicating System)

  • 신세원;예지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97-109
    • /
    • 1996
  • 현대는 정보화의 사회로서 첨단과학을 이용한 진료업무의 선진화사업은 진료의 서비스 향상과 경영혁신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번에 새로이 개발된 방사선종양학과 진료업무 전산화시스템은 병원내 처방전달시스템 개발과정에서 별도의 비용부담없이 부수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방사선종양학과의 고유 업무뿐만 아니라 모든 외래 및 병실진료업무와 수납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한 프로그램이다. 이 시스템의 도입으로 방사선종양학과의 진료업무 간소화는 물론 신속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여 진료서비스를 향상시켜 향후 다가올 진료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서 진료업무의 능률향상에 큰 도움이 되며 몇 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키면 학문연구의 발전과 경영개선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21세기 방사선종양학의 전망:최근의 진보와 한국에서의 발전 (Advances in Radiation Oncology in New Millennium in Korea)

  • 허승재;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67-176
    • /
    • 2000
  • 최근의 방사선치료는 치료의 질을 향상시켜서 치료 후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방사선치료 환자와 치료 시설의 빠른 증가로 방사선종양학 분야는 많은 발전이 되고 있으며, 치료기술 또한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의 보편화, liuac based stereotactlc radiosurgery의 활발한 적용과 luteuslty modulated radiation tferapy (IMRT)의 도입 준비 등 고난도의 치료 기술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는 최근 20년간 한국에서의 방사선 종양학의 발전을 조망하고 최근 발전되는 4차원적 방사선치료, IMRT의 현황, blologlcai conformailty치료의 개념, 항암제와 방사선치료의 병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정보기술 혁명에 따른 인터넷과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 및 원격진료의 세계적 현황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21 세기 한국에서의 방사선치료의 질을 올리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1) OA (qualify assurance) 향상, 2) 공동 프로토콜에 의한 3상 임상 연구의 필요성, 3) 특정 암에 대한 통일된 치료 프로토콜 또는 가 이드라인, 4) 전국적인 방사선종양학 관련 자료의 광역 data base구축과 중요 암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등 시행의 필요성이다

  • PDF

방사선치료 환자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험적 제작 (Experimental Computer-Based Management System of Patients in Radiation Oncology)

  • 최일봉;김춘열;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69-172
    • /
    • 1987
  • 근래에 와서 치료방사선학 영역에서의 전산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전산화의 대부분은 치료계획용 계산에 치우쳐져 있고 환자정보관리, 퇴원환자의 추적검사, 환자관리사무에 있어서의 전산화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 환자관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매우 적으며, 상업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6비트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환자 현황 관리 프로그램을 시험 제작하였다. 1. 환자정보의 입력은 특별한 부호나 숫자를 사용하지 많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나 한글을 그대로 쓸 수 있었다. 2 환자정보의 분석은 간단한 명령이나 키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환자 현황에 대한 도표를 즉시 묘출할 수 있었다. 3. 환자관리정보의 내용은 기존 프린터를 이용하여 쉽게 문서화할 수 있으며, 학술발표, 강의재료 및 교육자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 PDF

방사선 종양 자료관리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Database System for Radiation Oncology)

  • 김대섭;이창주;유순미;김종민;이우석;강태영;백금문;홍동기;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2008
  • 목적: 방사선 종양학과 업무와 관련 자료 및 치료기기의 관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용하기 쉽게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함으로써 업무 및 교육을 체계화시켜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새로운 방사선 치료 발전의 기반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데이터베이스의 운영을 위해 마이크로 소프트 엑세스(MS OFFICE ACCES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방사선 종양학과 자료들을 업무에 관련된 업무 일지, 기기 관리에 대한 수리 내역 및 부속품의 재고 관리로 분류하였고, 학습 및 연구 자료는 부서 직무 교육 자료와 기기 사용자 지침서 및 관련 논문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자료의 등록은 각각의 주제에 맞도록 입력 폼(form)을 디자인하고, 자료의 정보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기기 수리 내역에서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고장건수와 유형 및 수리시간을 시스템 사용 초기와 사용 1년 후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 종양 자료관리 시스템을 업무에 관련된 영역과 학습 및 연구 활동 영역의 자료들로 완성하였다. 자료들은 주제와 분류에 의해 설명과 함께 정리되어 모아지고, 각 분류에서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설명을 참고하여 첨부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기기 수리 내역을 통하여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고장 건수 및 고장 유형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수리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전체 평균 32.3%의 시간단축효과를 얻었다. 결 론: 방사선 종양 자료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의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색인함으로써, 정보 이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 개선의 기초자료가 되고 앞으로 새로운 방사선 치료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얻을 수 있다.

  • PDF

방사선종양학과 On-line 통계처리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On-Line Statistics Program for Radiation Oncology)

  • 김윤종;이동훈;지영훈;이동한;조철구;김미숙;류성렬;홍승홍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69-380
    • /
    • 2001
  • 목적 :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방사선종양학과내의 관련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통계처리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방사선 종양학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판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국 52개 병원을 대상으로 방사선 종양학과내의 관련정보를 지면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 처리하던 기존 방식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전국 통계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통계조사를 위한 서버 환경으로 O/S는 Windows NT 4.0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웹서버로는 Internet Information Server 4.0 (IIS4.0)을 이용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는 $Microsoft^{\circledR}$사의 Access MDB를 사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접근하고, 활용하기 위한 실제 프로그램은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Visual Basic, VBScript, JAVAScript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연도별, 병원별로 통계처리 되어 표시되도록 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은 크게 나누어 인력현황, 연구현황, 특수증기 및 특수기술 등을 요하는 치료현황, 외부조사기기에 따른 치료현황, 근접치료현황, 임상통계현황, 방사선 안전관리현황, 시설현황, 장비현황, 방사선 정도관리현황 및 방사성 핵종 보유현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항목은 총 38개의 입력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계 처리한 결과는 6개의 출력창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계처리결과는 유연하게 확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론 : 전국 방사선 종양학과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자료에 대할 통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관련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자료를 입력할 수 있고, 또 전국적인 통계자료 정보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