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field Size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5초

고주파 온열치료시 케모포트의 열적 변화 연구 (The study of thermal change by chemoport in radiofrequency hyperthermia)

  • 이승훈;이선영;김양수;;양명식;차석용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6
    • /
    • 2015
  • 목 적 : 고주파 온열치료 시 약물투여 및 혈액채취에 사용되는 케모포트로 인한 열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극 크기 20 cm인 고주파 온열치료기(EHY-2000, Oncotherm Kft, Hungary)를 이용하여 현재 본원에서 사용 중인 케모포트 중 재질이 플라스틱인 소재, 티타늄을 둘러싼 에폭시 소재와 티타늄 소재 케모포트를 자체 제작한 직경 20 cm, 높이 20 cm 원통형 한천(Agar)팬텀에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도측정기(TM-100, Oncotherm Kft, Hungary) 그리고 Sim4Life(Ver2.0, ZMT, Zurich, Switzerlan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된 온도변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위치는 전극 중심축 및 중심축 측면 1.5 cm지점에 각각 0 cm(표면), 0.5 cm, 1.8 cm, 2.8 cm 깊이별로 하였다. 측정조건은 온도 $24.5{\sim}25.5^{\circ}C$, 습도 30 ~ 32%, 출력 전력 100 W로 5분 간격으로 총 60분을 측정 하였다. 결 과 : 케모포트 미사용, 플라스틱, 에폭시 그리고 티타늄 케모포트를 사용한 경우의 최고온도는 전극 중심축 2.8 cm 깊이에서 측정값 $39.51^{\circ}C$, $39.11^{\circ}C$, $38.81^{\circ}C$, $40.64^{\circ}C$와 모의실험값 $42.20^{\circ}C$, $41.50^{\circ}C$, $40.70^{\circ}C$, $42.50^{\circ}C$이며, 전극 중심축 1.5 cm 측면 2.8 cm 깊이에서 측정값 $39.51^{\circ}C$, $39.32^{\circ}C$, $39.20^{\circ}C$, $39.46^{\circ}C$와 모의실험값 $42.00^{\circ}C$, $41.80^{\circ}C$, $41.20^{\circ}C$, $42.30^{\circ}C$이다. 고안 및 결론 : 고주파 전자기장에 의한 케모포트 주위의 열적 변화량은 부도체 물질인 플라스틱과 에폭시 소재에서 미사용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도체 물질인 티타늄 케모포트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케모포트내 금속 함유량 및 기하학적 구조에 의한 것과 이용 장비의 낮은 고주파 대역를 사용함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본 연구에 사용된 케모포트는 열 변화가 미미하여 장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사료된다.

  • PDF

인공사육한 침파리(Stomoxys calcitrans)용의 체장 및 체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ize and Weight of Pupae of Laboratory Reared Stable Flies (Stomoxys calcitrans))

  • 정규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8-231
    • /
    • 1983
  • 웅성불임기술을 이용한 침파리구제시 방산밀도는 야외밀도의 10배는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필요없이 방산되어 피해를 주는 자성충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용시기에 효과적인 성식별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침파리의 용무게 및 크기를 조사하여 성식별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체중과 제장은 웅충보다 자충이 무겁고 길었으며 용의 체장과 폭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2. 용의 체장과 성충의 흉폭간에도 유의성이 있었다. 3. 자웅용의 체장과 체중의 평균치는 중립수를 이용하여 성식별를 한다면 체장의 경우는 1.4배, 체중에서는 2.2배의 웅성을 취득할 수 있겠다.

  • PDF

부착면 표면물질에 의한 성능 왜곡을 최소화한 이중 선로의 비대칭 다이폴 형태 태그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Tag Antenna with a Low Performance Distortion from an Attached Surface Material Using the Asymmetric Dual-Arm Dipole Structure)

  • 김도균;추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부착될 물질이 가지는 전기적 특성에 의한 성능 변화가 적은 이중 선로의 비대칭 다이폴 형태 RFID 용도 태그 안테나(Asymmetric Dual-arm Dipole Antenna: ADDA)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는 상용 의료 폐기물 수거용 플라스틱 밀폐 용기(${\varepsilon}_r=1.7,\;tan\;{\delta}=0.002$)에 부착하여도 안테나의 동작 특성 변화가 적도록 설계되었다. 안테나의 세부적인 설계변수는 자유공간과 인식 대상 물체에 부착시 우수한 인식거리 성능을 나타내도록 Pareto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최적화 태그 안테나는 $100\;mm{\times}50\;mm$의 크기를 가지며, 3.7 %의 반사 손실 대역폭($S_{11}$< -10 dB)을 가지고 80 %의 복사효율을 나타내었다. 인식 거리 측정 결과, 자유공간에서 정면 방향(broadside) 5.3 m, 의료 폐기물 수거용 플라스틱 밀폐 용기에 부착시 최대 5.5 m의 인식거리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노펄스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2중 반사경 설계 (Design of Dual Reflector for Monopulse antennas System)

  • 김원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85-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모노펄스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2중 반사경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주반사판의 효율이 70% 이상인 경우 반사경의 크기가 설계에 사용되는 최저 주파수(11.7GHz)의 30파장(약77cm)이면 최저주파수의 이득은 37.9dBi, 최대 주파수(12.7GHz)에서는 38.6dBi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반사판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반지름 D이고 초점거리 $F_e$인 경우 초점거리 대 지름의 비가 더 클수록 원거리 장에서의 교차편파가 개선되며 반사판의 테두리에서의 구면 확산손실이 감소한다. 또한, 급전 안테나의 측면 변위($x_sy_s$평면에서)에 따른 방사패턴의 약화 정도가 더 작아지기 때문에 주빔의 주사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조사가 백서 이하선의 선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ACINAR CELLS OF RAT PAROTID GLAND)

  • 고광준;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18권1호
    • /
    • pp.31-45
    • /
    • 1988
  • The author studied the histopathologic changes according to a single or a split dose and the time after irradiation on the acinar cells of rat parotid gland. 99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about l20gm,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3 experimental groups. In experimental groups, GroupⅠ and Ⅱ were delivered a single dose of l5Gy, 18Gy and Group Ⅲ and Ⅳ were delivered two equal split doses of 9Gy, 10.5Gy for a 4 hours interval,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elivered by a cobalt-60 teletherapy unit with a dose rate of 222cGy/min, source-skin distance of 50㎝, depth of l㎝ and a field size of l2×5㎝.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2, 3, 6, 12 hours, 1, 3, 7 days after irradiation and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radiation dose increased and the acinar cells delivered a single dose exposure were more damaged, and the change of acinar cells appeared faster than those of a split dose exposure. 2. The histopathologic change of acinar cells appeared at 1 hour after irradiation. The recovery from damaged acinar cells appeared at 1 day after irradiation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recovery from damage of a split dose exposure was somewhat later than that of a single dose exposure. 3. Light microscope showed atrophic change of acinar cells and nucleus, degeneration and vesicle formation of cytoplasm, widening of intercellular space and interlobular space. 4. Electron microscope showed loss of nuclear membrane, degeneration of nucleus and nucleoli, clumping of cytoplasm, widening and degeneration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loss of cristae of mitochondria, lysosome, autophagosome and lipid droplet. 5.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chang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as the most prominent and this appeared at 1 hour after irradiation as early changes of acinar cells. The nuclear change appeared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and the loss of cristae of mitochondria was observed at 2 hours after irradiation in all experimental groups.

  • PDF

Fault Detection 기능을 갖는 이오나이저 모듈용 게이트 구동 칩 설계 (Design of Gate Driver Chip for Ionizer Modules with Fault Detection Function)

  • 김홍주;하판봉;김영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32-139
    • /
    • 2020
  •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이오나이저 모듈은 권선형 transformer를 사용하여 방전전극인 HV+/HV-에 3.5KV/-4KV의 고전압을 공급하여 carbon fiber brush의 전계 방사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기존의 MCU를 이용한 이오나이저 모듈 회로는 PCB 사이즈가 크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기존의 ring oscillator를 이용한 게이트 구동 칩은 oscillation 주기가 PVT(Process-Voltage-Temperature) 변동에 민감하고 HV+와 GND, HV-와 GND의 단락에 의한 fault detection 기능이 없으므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7bit binary UP counter를 이용하여 PVT 변동이 있더라도 oscillation 주기를 조절하여 HV+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HV+와 GND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HV+ short fault detection 회로, HV-와 GND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HV- short fault detection 회로와 HV+가 과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OVP(Over-Voltage Protection) 회로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턱밑샘에 발생한 악성 림프종의 치험례 (The Case Report of Malignant Lymphoma on the Submandibular Gland)

  • 배충상;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261-264
    • /
    • 2007
  • Purpose: Extranodal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of MALT type represents approximately 8% of non-Hodgkin's lymphomas and this lymphoma is present in extranodal sites. Although the presentation of this lymphomain in stomach is usually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in 95% of cases, MALT lymphoma found in soft tissue has been reported very rarely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We report a case of MALT lymphoma in the submandibular gland without any involvement of other organs such as the stomach. Methods: A 49-year-old man complained of a huge neck mass sized about $10{\times}12cm$. It started about 2 years ago and grew rapidly for the late 6 months. It was of hard nature with erythematous skin overlying it. Under the diagnosis of possible malignant lymphoma or sarcoma, radical resection was performed and the defect was reconstructed using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ree flap. Results: The mass was well demarcated from the normal tissue, $11{\times}10.5{\times}10cm$ in size and whitish-gray color.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tumor cells were LCA(+), CD20(+), CD3(-) and CD5(-). The tumor was diagnosed as extranodal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rophylactic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there was no complication for 1 year. Conclusion: We reported that very rare form of MALT lymphoma in 49-year-old male patient was experienc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histologic features and references.

백색마우스에 대한 전복부 조사에서 상이한 분할조사가 체중과 말초혈액 소견에 미치는 효과 (Radiation Effect on Body Weight and Peripheral Blood Picture Induced by Whole-Abdominal X-ray Irradiation with Different Fractionation in Mice)

  • 이성헌;신세원;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25-32
    • /
    • 1987
  • 전복부조사에 대한 X-선의 영향을 체중과 말초혈액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분할회수 및 치료기간설정에 응용하기 위하여 도합 160마리의 백색마우스를 두개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100cGy과, 제2군은 200cGy으로 나누고 일령이 $30{\pm}3$일로서 체중은 수컷이 $25{\pm}2gm$, 암컷은 $23{\pm}1gm$의 동수를 재료로 하여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후, 체중의 변화와 말초혈액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중과 혈색소의 변화는 성별이나 분할조사량에 따른 현저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백혈구의 감소는 3,000cGy에서 최소치를 나타내었으며 암, 수 모두에서 100cGy군에 비해 200cGy군에서 현저하였다. 감별백혈구의 변화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암, 수 모두에서 임파구의 감소가 급격하였으나 호중구는 이와 반대로 증가함을 보였으며 이런 변화는 일회 조사량이 더 많은 제1군에서 현저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방사선조사 자체로 인한 체중과 혈색소의 변화는 일회조사량이나 총 조사기간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일회조사량이 많은 경우에 백혈구의 감소가 더 현저하였으며 이는 주로 임파구의 감소에 기인하며 이와는 반대로 호중구의 비율증가가 나타났다. 실험적으로 분할조사량의 선정에 말초혈액상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보여주어 실제 치료에서 분할조사량의 올바른 책정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Functional outcome predictors following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correlating early postoperative videofluoroscopic swallow studies with long-term clinical results

  • Gonzalez, Santiago R.;Hobbs, Bradley;Vural, Emre;Moreno, Mauricio 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30.1-30.8
    • /
    • 2019
  • Background: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microvascular surgery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microvascular surgical techniques have made the use of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the standard of care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segmental mandibular defects. Although the literature possesses abundant evidenc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fibula free flaps as a reconstructive method,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reporting on outcomes as objectively measured by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ies (VF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early postoperative VFSS and the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fibula free flap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6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r free flaps between 2009 and 2012. Demographics, clinical variables, VFSS data, and diet information were retrieved. Penetration and aspiration findings on VFSS, long-term oral feeding ability, and the need for gastrostomy tube were statistical endpoint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Results: Thirty-six patients were reviewed (15 females and 21 males) with a mean age of 54 years (7-81). Seventeen cases were treated for malignancy. The size of the bony defect ranged from 3 to 15 cm (mean = 9 cm). The cutaneous paddle, a surrogate for soft tissue defect, ranged from 10 to 125 ㎠ (mean = 52 ㎠). A gastrostomy tube was present in patients preoperatively (n = 8), and postoperatively (n = 14). Seventeen patients had neoadjuvant exposure to radiation. Postoperative VFSS showed penetration in 13 cases (36%) and aspiration in seven (19%). Overall, 29 patients (80.6%) achieved unrestricted diet, and this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age (p = 0.037), radiation therapy (p = 0.002), and preoperative gastrostomy tube (p = 0.03). The presence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on VFSS was a strong predictor for long-term unrestricted oral diet (p < 0.001). Conclusion: Early postoperative VFSS is an excellent predictor for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모비키즈: 통신전자파 노출과 어린이청소년의 뇌종양에 관한 환자 -대조군 연구 프로토콜 (Mobi-kids: A Case-control Study Protocol on Electromagnetic Field Radiation Exposure from Telecommunication and Brain Tum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최경화;김동석;이정일;나영신;피지훈;안영환;권종화;이애경;최형도;하미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2-190
    • /
    • 2015
  • Objectives: To introduce a protocol of Mobi-kids study which was aimed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radiofrequency (RF) radiation exposure by mobile phone use and brain tumor risk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The Mobi-kids study was a multinational matched case control study using a standardized protocol with the number of subjects targeted about 1,000 cases and 2,000 controls aged 10 to 24. In Mobi-Kids Korea, the source population was restricted to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Eligible cases of primary brain tumor (glioma, meningioma, and others) were diagnosed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5. Eligible controls were appendicitis patients operated during the study period. Two controls were matched on age, gender, and study region for 1 case. Information about pattern and history of mobile phone use and other covariates were obtained by face to face interview by trained interviewer. The Mobi-kids study has been involved in Mobi-expo as a validation study about mobile phone use, XGridmaster to localize tumor in the brain for RF energy calculation, and histological review for validation of diagnosis. Results: The Mobi-kids was the first and largest stud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o estimate risk of brain tumor in association with the RF energy absorption in the brain estimated by mobile phone use. Forty-six-cases and 54 controls were collected as of September 2014 in Korea. Conclusions: The meaningful results of the study were expected because of the largest sample size, high validity of EMF exposure assessment as well as the susceptible study populationof children an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