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S 부호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차세대 자기기록 채널을 위한 LDPC-LDPC 곱 부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LDPC-LDPC Product Code for next Magnetic Recording Channel)

  • 박동혁;이재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1호
    • /
    • pp.3-8
    • /
    • 2012
  • 2차원 곱 부호는 저장장치 시스템에서 연집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RS-LDPC 곱 부호는 횡 방향의 RS 부호와 종 방향의 LDPC 부호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횡 방향의 RS 부호를 이용하여 연집 오류를 검출하며, 이 연집 오류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종 방향의 LDPC 부호로 오류를 정정한다. 저장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연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장치 시스템에서는 연집 오류에 강한 부호가 필요하다. RS-LDPC 곱 부호는 연집 오류에 강하다. 하지만 저장 밀도가 커지면서 연집 오류의 길이는 더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긴 연집 오류에도 강한 특성을 보이는 LDPC-LDPC 곱 부호를 제안한다. 또한, RS-LDPC 곱 부호와 비교하여 LDPC-LDPC 곱 부호는 횡 방향으로 LDPC 부호를 사용하여 많은 램덤 오류가 발생 하였을 때 안정적인 성능 이득이 있다.

5중 오류정정(31, 21) RS 부호의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과 VHDL 시뮬레이션 (Efficient Decoding Algorithm of 5-error-correcting(31, 21) RS Code and VHDL Simulation)

  • 강경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3-106
    • /
    • 1998
  • RS부호의 복호 기법은 전체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복잡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RS부호의 복호 기법은 다양한 방법에 있으나Euclid알고리즘과 변환복호기법을 이용한 복호 기법은 오류정정능력이 큰 복호 기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정정능력이 5이상인 RS부호의 복호 알고리즘에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복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5중 오류 정정(31, 21)RS 부호기 및 복호기를 설계하고VHDL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션을 통해서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고속 DSL 모뎀을 위한 Programmable RS 부호 설계 (The Design of Programmable RS Code for High-bit-rate DSL Modem)

  • 정인택;이승수;송상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9B호
    • /
    • pp.1314-1320
    • /
    • 2001
  • 최근 전화선과 같이 기존에 존재하는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SL 모뎀 개발에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DSL 모뎀과 같이 열악한 특성과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채널을 통하여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변조방식과 우수한 채널부호(FEC)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특히, ADSL 시스템 및 VDSL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오류정정 능력을 갖는 RS(Reed-Solomon) 부호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ADSL 및 VDSL 시스템의 권고 안(오류정정 능력(t) = 0∼8)을 만족하는 RS 부호를 한 조의 RS 부호기 및 복호기로 대체할 수 있는 설계구조를 제시한다. 제시된 구조는 8조의 RS 부호가 갖는 면적의 약 23%만으로, t=8인 RS 부호에 대해 약 6%의 추가 면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 PDF

이진 대칭 소실 채널에서 RS, 터보 및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S, Turbo and LDPC Code in the Binary Symmetric Erasure Channel)

  • 임형택;박명종;강석근;주언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C호
    • /
    • pp.219-2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진 대칭 소실 채널에서 RS 부호 터보부호 및 저밀도 패리티 검사부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RS 부호는 심벌 단위로 복호가 이루어지므로 평균 소실 길이가 짧아지면 소실 심벌 수가 증가하여 매우 심각한 성능열화를 보인다. 하지만 소실 길이가 길어지면 소실 심벌 수가 감소하여 오류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이와는 달리 터보부호는 소실 길이가 증가하면 메시지와 연관된 정보를 가진 다수의 심벌들이 함께 소실되므로 반복 복호를 수행하더라도 성능이 개선되지 않는다. 저밀도 패리티 검사부호는 평균 소실 길이가 변하더라도 현격한 오류 성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부호의 복호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상 인터리빙 효과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하여 이 부호는 RS 부호나 터보부호에 비하여 훨씬 우수한 소실 복호 성능을 보인다.

가역적 데이터 은닉 시스템에서 RS 부호를 사용한 이미지 공간상관 관계 향상을 위한 전송 기법 (Transmission Methods Using RS Codes to Improve Spatial Relationship of Images in Reversible Data Hiding Systems)

  • 김태수;장민호;김성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8호
    • /
    • pp.1477-148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Reed-Solomon(RS) 부호를 활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에 정보를 전송하는 새로운 가역적 데이터 은닉 기술을 제안한다. 암호화된 이미지로부터 데이터의 복구 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메시지를 RS 부호의 부호어를 생성 후 데이터 은닉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된 이미지에 반영한다. 수신자는 부호어가 포함된 암호화 이미지를 수신하고 먼저 암호화된 이미지를 암호화에 따라 이미지를 해독하고, 공간 상간관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RS 부호의 정보를 계산하여 RS 복호기를 통해 메시지를 추정한다. 두 개 이미지와 RS 부호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는 제안한 구조의 성능이 비트 오류 비율 측면에서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2중 오류정정 Reed-Solomon 부호의 부호기 및 복호기 장치화에 관한 연구 (On the Implementation of CODEC for the Double-Error Correction Reed-Solomon Codes)

  • 이만영;김창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0-17
    • /
    • 1989
  • Reed-Solomon(RS) 부호의 복호에서 오류위치다항식을 구하기 위한 알고리듬 중 Peterson에 의해 제안되고 Gorenstein과 Zierler가 개선한 알고리듬은 오류정정능력 t가 비교적 작을 경우 BerlekampMassey의 반복 알고리듬, Euclid 알고리듬을 이용한 복호, 변환영역에서의 복호보다 오류위치다항식의 계산이 간단하고 장치화에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terson-Gorenstein-Zieler의 알고리듬 RS부호의 부호화와 복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고 실제로 통신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유한체 GF($2^5$)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2중 오류정정(31,27)RS 부호의 부호기와 복호기를 설계하여 TTL IC로 장치화 하였다.

  • PDF

검출 불능 오류율을 향상기키는 Reed-Solomon 적부호의 이레이져 복호방법 (Erasure decoding strategies for RS product code reducing undetected error rate)

  • 김정헌;염창열;송홍엽;강구호;김순태;백세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4B호
    • /
    • pp.427-436
    • /
    • 2001
  •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오류는 검출 불능 오류와 정정 불능 오류로 구성되는데 검출 불능 오류의 경우 오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검출 불능 오류를 줄이기 위해 적부호 복호에는 다양한 방법이 생각되었지만 이러한 방법들의 대부분은 CD, 혹은 DAT등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로서 긴 길이의 RS 적부호에 적용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검출 불능 오류율을 줄일 수 있는 긴 길이의 RS 적부호 복호 방법을 제안하고 이들의 성능을 심볼 오류 확률을 계산함으로서 분석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한다. 여기서 제안된 방법들은 기존의 방법보다 검출 불능 확률을 크게 줄이는데 반하여 전체 오류 확률에서의 큰 열화는 일으키지 않는다.

  • PDF

이동무선 채널에서 DTMF 변조 방식에 대한 RS 복부호기의 설계 및 성능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S Codec for DTMF Modulation in Mobile Radio Channels)

  • 송문규;이상설;김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33-14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페이딩이 존재하는 이동통신 채널에서 DTMF 변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RS 부호의 적용을 고려하고, (15, 9) RS 인코더와 디코더 회로를 제안 및 합성하였으며, 페이딩 채널에서 부호의 성능을 구하였다. 소요된 게이트는 2-Input NAND 게이트를 기준으로 약 14,000 게이트가 소요되었다. 이와 같이 구현된 (15,9) RS 부호를 DTMF 신호방식에 적용하였을 경우 IMT-2000 등 이동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의 기준인 10-6의 비트오율을 기준으로 페이딩 채널의 경우 20 dB 이상의 부호이득을 보인다. 따라서 페이딩이 존재하는 이동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DTMF 신호방식에 본 부호기를 적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부호화한 주파수 도약 대역 확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oded FH/SSM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 김근묵;정영지;홍은기;황금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30-738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AWGN, 협대역재밍, 페이딩, 사용자간간섭이 혼재하는 채널에서 FH/SSMA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주파수총돌(사용자간 간섭)을 고려하면서,채널의 보조정보를 이용할 경우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하여 부호별 에러확률과 처리능력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적인 간섭이 혼재하는 채널환경에서 RS부호가 길쌈부호보다 우수하며, 쇄상 부호는 같은 부호화율인 RS부호와 거의 동일한 성는을 나타냈다. 페이딩이나 협대역재민등 복합적인 간섭이 존재하는 채널환경에서는 에러정정용 부호로서 RS 부호가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AL-1 에 적용가능한 (128, 124) RS 부호의 복호 알고리즘과 FPGA 실현 (Decoding Algorithm of (128,124) RS Code for AAL-1 and Its FPGA Implementation)

  • 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3-44
    • /
    • 1997
  •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의 AAL-1(ATM Adaptation Layer-1)에서는 오류정정능력이 2인 (128,124) RS(Reed Slomon) 부호를 이용하여 ATM 셀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S 복호 알고리즘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AAL-1 기본오류정정 모드에 적용 가능한 복잡도가 낮고 고속 동작이 가능한 복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부호기와 보호기를 VHDL로 부호화하고 설계한 후, 관련 회로를 시뮬레이션한다. 또한 시뮬레이션된 회로를 XACT을 이용하여 XC 4025 FPGA에 실현하여 제안되 복호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