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L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of a major invasive species, Cenchrus longispinus, in Daecheong Island

  • Hyun, Jongyoung;Jung, Joonhyung;NamGung, Ju;Do, Hoang Dang Khoa;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18
  • The genus Cenchrus (Poaceae), containing ca. 97 species, is distributed throughout Australia, Africa and Indian sub-continent and which was introduced to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for use in improved pasture. In Korea, especially Daecheong Island, it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invasive plant, which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threats, biodiversity damages and physically negative impact on humans and animals. It can cause serious damage to farms, fields and white sand beaches. However, the chloroplast (cp) genome sequences and information of Cenchrus longispinus have been not addressed, so we provide the complete cp genome of Cenchrus longispinu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The size of cp genomes of this Daecheong Island species (Cenchrus longispinus) is 137,144 bp, and it shows a typical quadripartit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large single copy (LSC; 80,223 bp), small single copy (SSC; 12,449 bp), separated by a pair of inverted repeats (IRs; 22,236 bp). This cp genome contains 75 unique genes, 4 rRNA coding genes, 33 tRNA coding genes and 21 duplicated in the IR regions, with the gene content and organization are similar to other Poaceae cp genomes. Our comparative analysis identified four cpDNA regions (rpl16, rbcL, ndhH and ndhF) from three Cenchrus species, two Setaria species and one Pennisetum species which may be useful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 PDF

습관성 유산에 대한 최신 연구 경향 및 실험적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latest trend of researches concerning recurrent pregnancy loss, and controlled experiment on animals about antiphospholipid antibody)

  • 조정훈;장준복;이경섭;김인중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57
    • /
    • 2005
  • Objectives : Recurrent pregnancy loss occurs in approximately 0.5-3% of women. There are many studies concerning immunological factor recently. Therefor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test trend of researches concerning recurrent pregnancy loss, and controlled experiment on animals about antiphospholipid antibody. Method : We referred Pubmed site by using searching word of 'recurrent pregnancy loss' (Limits : 2000.1-2004.3, animal) Results and conclusions : 1. We searched 29 papers. Immunological factor : 18 ( about antiphospholipid antibody : 10 ), Chromosomal abnormality : 6, The others : 5 2. In five papers about controlled experiment on animals, (1) Materials : 8-12 weeks old mice / 11.5-day old-rat embryos / New Zealand rabbit (2) Inductions : inject intraperitoneally with human IgG containing antiphospholipid antibodies / culture in a solution of 1 ml medium which contained IgG purified from sera of women / inject intradermally with cardiolipin (3) Treatments : inject intraperitoneally with complement component before / culture in a solution of 1 ml medium which contained IgG purified from sera of women with SLE and RPL or from healthy women / inject intradermally with TFX, 0.9% NaCl (4) Measurements : weight fetuses and placentas, calculate frequency of fetal resorption / after culture, examine the embryos / examine platelet counts, APTT and numbers of live and dead newborns, resorbed fetuses, body mass, newborn viability and survival rates.

  • PDF

일학습병행을 위한 계약학과 운영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tracted Education Program Model for the Korean Dual Education System)

  • 엄기용;강기호;임경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3-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 학습병행제도의 연착륙과 성공적인 확산기반의 마련을 위해 효과적인 계약학과 운영모델을 제안하고자한다. 계약학과 운영과 관련한 당면과제 측면에서 보면 계약학과 입학생들은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출신들이고 성인이며 재직자이기 때문에 학업에 불리한 조건을 많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업부담을 완화시켜 주어야 하고, 탄력적인 학사운영이 필요하며, 낮은 학업능력 및 의욕을 보완해주어야 한다. 한편 직원들을 계약학과에 보내는 기업 입장에서는 현장 맞춤형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당면과제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한기대는 S-OJT 교과목 도입, NCS 기반의 표준이수체계구축, 선행학습인정제도 활용, 역진행 학습(Flipped Classroom)의 도입, Tutor제 도입,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신규 교과목 개발 등 도전적인 방안들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우리나라 계약학과 제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고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DNA바코드를 활용한 사삼(沙蔘)의 종 감별 (Genetic Analysis of Medicinal Plants in Adenophorae Radix Using DNA Barcode)

  • 김민경;이우규;김재림;이기호;최유래;김종환;강일현;강주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97
    • /
    • 2019
  • 사삼(沙蔘, Adenophorae Radix)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또는 사삼(당잔대, A. stricta Miq.)의 뿌리로 수재되어 있으나,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제니(모시대, A. remotiflorus Miquel), 층층잔대(윤엽사삼, A. tetraphylla (Thunb.) Fisch),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 et Zucc.)과 오 혼용 우려가 있어 이들을 구별하기 위한 종 감별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삼'과 오 혼용 우려가 있는 종들을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하여 DNA 바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유전자 부위를 분석하여 ITS (25%), atpB-rbcL (15%), atpF-atpH (14%), rpl16 (13%), trnL-F (10%), matK (9%), rpoC1 (7%)에서 변이율(percent of variable sites)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한 유전자 부위 중 종간 차이를 확인하기 용이한 matK 구간을 활용해 기원종인 잔대, 당잔대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오 혼용될 우려가 있는 층층잔대, 모시대 및 더덕을 감별 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염기서열과 분자 마커는 '사삼'의 품질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NA 분석을 이용한 제니(薺苨) 유전자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DNA Molecular Mark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Based on the DNA Analysis)

  • 김민경;이우규;김재림;이기호;최유래;김종환;강일현;강주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98
    • /
    • 2019
  • 제니(薺苨,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us Miquel)의 뿌리로 수재되어있으나,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잔대(A. triphylla), 당잔대(A. stricta) 및 더덕(Codonopsis lanceolata)과 오 혼용 우려가 있어 이들을 구별하기 위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종 감별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니'의 기원인 모시대와 오 혼용 우려가 있는 종들을 구별 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Genbank에 등록된 ycf2 구간을 활요하여 모시대와 잔대, 당잔대를 구분 할 수 있는 INDEL (insertion/deletion) 마커를 개발하였다. 또한, 보다 정확한 종감별을 위해 DNA 바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유전자 부위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ITS (25%), atpB-rbcL (15%), atpF-atpH (14%), rpl16 (13%), trnL-F (10%), matK (9%), rpoC1 (7%)에서 변이율(percent of variable sites)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INDEL 마커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개발을 진행 중인 분자 마커는 한약재 '제니'의 품질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lection of suitable reference gene for gene expression studies of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 Kim, Hwan-Deuk;Jeon, Hye-Jin;Jang, Min;Bae, Seul-Gi;Yun, Sung-Ho;Han, Jee-Eun;Kim, Seung-Joon;Lee, Won-Jae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6-105
    • /
    • 2022
  • The ovary undergoes substantial physiological changes along with estrus phase to mediate negative/positive feedback to the upstream reproductive tissues and to play a role in producing a fertilizable oocyte in the developing follicles. However, the disorder of estrus cycle in female can lead to diseases, such as cystic ovary which is directly associated with decline of overall reproductive performance. In gene expression studies of ovaries,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ssay has been widely applied. During this assay, although normalization of target genes against reference genes (RGs) has been indispensably conducted, the expression of RGs is also variable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hich can result in false conclusion. Because the understanding for stable RG in porcine ovaries was still limited, we attempt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RGs from the pool of ten commonly used RGs (18S, B2M, PPIA, RPL4, SDHA, ACTB, GAPDH, HPRT1, YWHAZ, and TBP) in the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estrus phase (follicular and luteal phase) and cystic condition, using stable RG-finding programs (geNorm, Normfinder, and BestKeeper). The significant (p < 0.01) differences in Ct values of RGs in the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were identified. In assessing the stability of RGs, three programs comprehensively agreed that TBP and YWHAZ were suitable RGs to study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but ACTB and GAPDH were inappropriate RGs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We hope tha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plan the experiment design in the field of reproductive physiology in pigs as reference data.

Selection of Reference Genes for Gene Expression Studies in Porcine Whole Blood an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under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Stimulation

  • Wang, Jiying;Wang, Yanping;Wang, Huaizhong;Hao, Xiaojing;Wu, Ying;Guo, Jian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471-478
    • /
    • 2014
  • Investigating gene expression of immune cells of whole blood or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under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 I:C) stimulation is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immune response of organism to RNA viruses.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is a standar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gene expression studies. However, the reliability of qRT-PCR data critically depends on proper selection of reference genes. In the study, using two different analysis programs, geNorm and NormFinder, we systematically evaluated the gene expression stability of six candidate reference genes (GAPDH, ACTB, B2M, RPL4, TBP, and PPIA) in samples of whole blood and PBMC with or without poly I:C stimulation. Generally, the six candidate genes performed a similar trend of expression stability in the samples of whole blood and PBMC, but more stably expressed in whole blood than in PBMC. geNorm ranked B2M and PPIA as the best combination for gene expression normalization, while according to NormFinder, TBP was ranked as the most stable reference gene, followed by B2M and PPIA.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e two programs, we recommended using the geometric mean of the three genes, TBP, PPIA and B2M, to normalize the gene expression of whole blood and PBMC with poly I:C stimulation. Our study is the first detailed survey of the gene expression stability in whole blood and PBMC with or without poly I:C stimulation and should be helpful for investigating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porcine whole blood and PBMC in response to poly I:C stimulation.

음향공에 의한 LOX-RP1 고주파 음향-연소안정화에 관한 연구

  • 이길용;윤웅섭;조용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4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5-5
    • /
    • 2000
  • 액체 추진 로켓 엔진의 고주파 연소 불안정 관련 이론은 대체로 연소기 내부의 음향 공명 모드와 분무 연소 과정의 상호 작용을 구동 메커니즘으로 전제하며 Rayleigh Criterion의 재해석에 기초하여 불안정성 평가를 위한 매개변수를 도입하고 연소 불안정성을 예측한다. 여기에는 음향장 분석 이론, 음향 불안정 이론, 연소응답 및 기화반응 이론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LOX/RPl 추진제 조합의 액체 추진 로켓 엔진 연소기를 대상으로 다차원 순수 음향장 해석과 연소-음향장 분석을 통해 대상 엔진의 고주파 연소 불안정 특성을 예측하였다. 수동 제어 기기인 음향공 설치에 따른 연소기의 음향장 및 연소-음향장의 특성 변화를 고찰하고 위 결과를 종합하여 음향공의 연소 불안정 억제 성능 및 대상 엔진의 연소 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소기 형상 및 음향공 설치에 따른 다차원 순수 음향장 해석은 상용코드인 ANSY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내부 유체는 압축성, 비점성 유체로 유체의 평균 유동은 무시하며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물성치를 부여하였다. 정상상태 연소과정을 가정하고 평형 화학을 이용한 분석 결과로부터 연소 기체의 관련 물성치를 결정하였다. 연소기 길이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격자점들의 음향 특성을 주파수 영역에 대해 해석하고 3차원 음향 모드 형상을 토대로 음향장을 분석하였다. 연소-음향장 해석은 음향 불안정 이론 중 n- $\tau$ 2 매개변수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료 액적의 분무 연소 과정을 1차원적으로 가정하고 정상상태의 평형 화학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엔진의 연소면을 1차원적으로 설정하였다. 상류 연소응답과 중립 안정 곡선을 토대로 대상 엔진의 연소 불안정 특성을 분석하였다.구 분석 결과 기술적 문제점으로는 배기 가스온도가 낮은데 따른 출구 부분의 Bearing, Sealing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배기 가스 자체에 대기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던 습기가 얼어붙는(Icing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Ic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끝단에서 공기를 추출하여 배기부분에 송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구가스의 기체 유동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100-l10m.sec) 이를 완화하기 위한 디퓨저의 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또 연소기 후방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열교환기 및 기타 부분품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열교환 효율 저하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1례(2.9%)였다. 14)

  • PDF

Effects of Ribosomal Protein L39-L on the Drug Resistance Mechanisms of Lung Cancer A549 Cells

  • Liu, Hong-Sheng;Tan, Wen-Bin;Yang, Ning;Yang, Yuan-Yuan;Cheng, Peng;Liu, Li-Juan;Wang, Wei-Jie;Zhu, Chang-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093-3097
    • /
    • 2014
  • Background: Cancer is a major threat to the public health whether in developed or in developing countries. As the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of lung cancer continues to rise in recent ten years worldwide. Chemotherapy is one of the main methods in the treatment of lung cancer, but this is hampered by chemotherapy drug resistance, especially MDR. As a component of the 60S large ribosomal subunit, ribosomal protein L39-L gene was reported to be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human testis and human cancer samples of various tissue origin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of cultured drug-resistant and susceptible A549 cells was isolated, an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were used to indicate the transcribe difference between amycin resistant and susceptible strain of A549 cells. Viability assay were used to show the amycin resistance difference in RPL39-L transfected A549 cell line than control vector and null-transfected A549 cell line. Results: The ribosomal protein L39-L transcription level was 8.2 times higher in drug-resistant human lung cancer A549 cell line than in susceptible A549 cell line by quantitative RT-PCR analysis. The ribosomal protein L39-L transfected cells showed enhanced drug resistance compared to plasmid vector-transfected or null-transfected cells as determined by methyl tritiated thymidine (3H-TdR) incorporation.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The ribosomal protein L39-L gene may have effects on the drug resistance mechanism of lung cancer A549 cells.

체외충격파쇄석술에서 투시 시 주요 장기별 방사선 피폭선량 (Radiation Dose during Fluoroscopy at the Organ from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문성호;정홍량;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43-350
    • /
    • 2010
  • 체외충격파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ESWL) 시 환자가 받는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장 및 요관 결석으로 진단을 받은 총 55명(남:36명, 여:19명)을 대상으로 방사선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투시 관전압 80kVp, 관전류 5mA로 고정하여 인체 모형의 Rando Phantom과 형광유리 선량계를 사용하였으며, 주요 장기인 양측 신장, 방광, 간에 5분과 10분씩 각각 2회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으로 환산하였다. 환자 당 평균 시행 횟수는 1.8회(1~4)이었고, 평균 투시시간은 533초(248~2516)로 나타났다. 우측 신장결석 치료 시 우측 신장의 평균값은 2.458mSv, 좌측 신장은 0.152mSv, 간은 1.404mSv, 방광은 0.019mSv로 측정 되었고, 좌측 신장결석 치료 시 좌측 신장의 평균값은 2.496mSv, 우측 신장은 0.252mSv, 간은 0.178mSv, 방광은 0.017mSv이었으며, 하부요관 결석치료 시 방광에서의 평균값은 3.742mSv, 우측 신장은 0.009mSv, 좌측 신장은 0.01mSv로 유효선량이 측정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