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ACEAE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2초

Cytotoxic Effect of Fruit of Prunus mandshurica on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s

  • Chung, Ha-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3호
    • /
    • pp.265-269
    • /
    • 2004
  •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Ros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bears a fruit with a bitter and astringent taste. An ethyl acetate-soluble extract of Prunus mandshurica was found to exhibit significant cytotoxicity against human leukemia cell lines. Bioassay-directed fractionation of this extract using an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cell proliferation assay as a monitor led to the isol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Two compounds, 1 and 2 were subsequently found to mediate cytotoxicity against U937,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s. The 50%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s ($IC_{50}$/) of compounds 1 and 2 on U937 were 40 and 62 $\mu\textrm{g}$/mL, respectively.

남부 및 제주지방의 골프장에 자생하는 잡초 분포 (Weed Flora of Golf Courses in The Southern Korea Including Cheju Island)

  • 김길웅;신동현;권순태;박상조;이성중;김인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67-80
    • /
    • 1993
  • About 154 weed species composed of 31 annuals, 33 biennials, and 90 perennials belonging to 38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golf courses in Dongrae, Joongmoon and Ora country clubs on June and September, 1992. Compositae was the most widely occurring family covering 30 species, followed by 28 species in Graminae, 12 species in Leguminasae and Rosaceae, respectively, and 7 species in Caryopbyllacese etc. The bighest number of weed species occurred in the out of bounds in three golf courses, The dominant weed species based on importance value and frequency were Hydrocotyle sibthorpioides, Poa annua, Cyperus rotundus, Oxalis corniculata, Digitaria sanguinalis and Artemisia prinseps.

  • PDF

Study of the Optimal Condition for Maximum Extraction Efficiency in Armeniacae Semen Powder

  • Koo, Ja-Yong;Hong, Seon-Py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21.1-221.1
    • /
    • 2003
  • Armeniacae Semen is a seed of Prunus armeniaca Linne var. ansu Maximowicz, which belongs to Rosaceae family. It contains amygdalin and fatty oil and is widely used to treat asthma, dysponea and edema. It was reported that D-amygdalin in Armeniacae Semen undergoes hydrolytic reaction by emulsin when using water, and esecially it is almost decomposed when extracting from powder type. we set up a condition where we can achieve the maximun extraction yield through the study of the methods to rstrain emulsin from causing hydrolysis of D-amygdalin in Armeniacae Semen in the aqueous solution and to prevent D-amygdalin from being converted into neoamygdalin. (omitted)

  • PDF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II) - 산벚나무 심재 추출성분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2)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XII)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2) -)

  • 이학주;이성숙;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16-23
    • /
    • 2003
  • 전보에 이어 산벚나무(P. sargentii) 심재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4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기기분석결과, isoflavone인 prunetin를 비롯하여 flavanone인 angophorol, sakuranetin 그리고 flavanone 배당체인 isosakuranin 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활성이 낮아 산벚나무 에탄올 조추출물의 높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은 이들 단리물질과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wo Species of the Genus Grapholita (Lepidoptera: Tortricidae: Oletherutinae: Grapholitini) New to Korea

  • Jin-Sung Kweon;Yonghwan Park;Bong-Kyu B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1호
    • /
    • pp.68-72
    • /
    • 2024
  • The genus Grapholita Treitschke, belonging to the tribe Grapholitini, comprises over 150 species worldwide with the majority occurring in the Holarctic region. However, in other regions, only few species are reported owing to a lack of collection and taxonomic study. The genus includes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worldwide that feed on several plants in the families Fabaceae and Rosaceae. In Korea, a comprehensive taxonomic study is required as only eight species have been reported to date. In this study, two species of Grapholita Treitschke, G. latericia Komai, 1999 and G. pallifrontana (Lienig & Zeller, 1846)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We provide redescribed and illustrated adult and available genitalia. Additionally, all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ing localities,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수목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 - 과별(科別)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ad Extractives (X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verse familie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8-17
    • /
    • 2004
  • 수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농약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65와 263종의 수목을 목부, 잎 및 수피로 나누어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진균활성은 균사생장억제율을, 항세균활성은 생육저지환직경을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프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고 과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 우수수종으로는 소나무와 수종 5종(잣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 방크스소나무), 측백나무와 수종 3종(노간주나무, 향나무, 편백) 그리고 콩과 수종 3종(자귀나무, 다릅나무, 회화나무)이 각각 선발되었다. 항세균활성은 자작나무와 6종(개서어나무, 소사나무, 산오리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사방오리나무), 참나무과 5종(구실잣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대극과 4종(유동, 오구나무, 예덕나무, 사람주나무) 그리고 보리수나무와 3종(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릅나무와의 느티나무, 소나무과의 소나무, 콩과의 다릅나무, 측백나무와의 편백 및 향나무는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이 공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물농약 및 천연보존제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96% 이상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8종(비파나무, 섬벚나무, 왕벚나무, 귀룽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국수나무, 찔레꽃)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진달래과로 총 5종(진달래, 철쭉꽃, 산철쭉, 모새나무, 정금나무)이었다. 한편, 공시시료로 사용된 장미과 시료 총 48종 중에 6종만 라디칼 소거능이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과 관련된 성분이 장미과 식물 공통으로 존재할 기능성이 시사되었다.

장미과 짚신나물아족 종피형태의 계통분류학적 고찰 (Phylogenetic implication of seed coat sculpturing in subtribe Agrimoniinae (Rosaceae))

  • 정경숙;;;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7-252
    • /
    • 2012
  • 장미과 Agrimoniinae(짚신나물아족)의 5속(Agrimonia L., Aremonia Neck. ex Nestl., Hagenia J.F. Gmel., Leucosidea Eckl. & Zeyh., and Spenceria Trimen.)의 종피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계통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관찰된 종피의 형질들을 이미 수행된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제시된 5속의 계통분류학적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들에 적용하여 종피 형질의 계통분류학적 진화를 고찰하였다. 짚신나물아족의 5속 모두 하나의 열매화통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성숙한 수과를 가지고 있었고, 종피는 표피세포의 모양, 크기, 세포벽의 돌출 정도, 세포표면의 돌기의 유무 등에서 다양한 형질상태가 관찰되었다. 특히, 세포표면의 유두상 돌기(papillae)는 2속 Agrimonia(짚신나물속)과 Aremonia에서만 관찰되었다. 유두상 돌기가 없는 것이 원시형질이라는 가정하에 유두상 돌기가 나타나는 형질변화를 이미 수행된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고찰하였다. 4개의 핵과 6개의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에 기초한 계통수에서는 적어도 2회의 형질변화가 요구되며, 저복사수 핵 유전자의 염기서열 계통분석의 계통수에서는 단 1회의 형질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종피의 유두상 돌기의 출현은 Agrimonia(짚신나물속)과 Aremonia 을 단일계통 분류군으로 설명하는 공통진화형질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가설은 저복사수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계통분석을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종피 형질은 장미과 Agrimoniinae(짚신나물아족)의 속간의 계통분류학적 이해에 매우 유용한 형질임을 밝힌다.

다수성 매실 품종 '옥주' (Breeding of a New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et Zucc.) Cultivar 'Okjoo' with High Yields)

  • 김윤경;강삼석;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최진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12-916
    • /
    • 2014
  • 매실(Prunus mume Siebold et Zucc.)은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침이나 소화불량의 민간 요법 과실로써 사랑받아 왔다. 1993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옥영'과 '임주'를 교배하여 그 중 과실이 크고 과형이 좋으며 풍산성인 '옥주' 품종을 2006년에 선발, 육성하여 새로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등록번호: 4556호, 2013.6.18). '옥주' 품종의 만개기는 '옥영'보다 4일, '임주'보다 2일 빠르며 꽃잎색은 분홍색이고 꽃가루는 없다. PCR을 이용한 자가불화합인자 분석결과, 옥주의 자가불화합성 인자는 $S_3S_6$이었다. '옥주'의 성숙기는 6월 하순으로 과실은 원형이며 봉합선이 얕다. 평균과중 18.5g이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7.66^{\circ}Brix$, 산 함량은 4.81%, 과피색은 녹색이지만 햇빛을 많이 받는 쪽의 과실 일부가 적색을 띄기도 한다. 또한,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의 발생이 비교적 적고, 수량성이 높아 재배농가들이 새로운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나도국수나무족의 분류: 산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Physocarpus)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2-352
    • /
    • 2015
  • 장미과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많은 분류학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에 속하는 약 1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도국수나무족은 숙존하거나 조락하는 탁엽, 열편으로 갈리는 잎, 난형이고 광택이 있는 종자 및 풍부한 배유를 갖는 특징에 의해 장미과 내의 다른 족들과 뚜렷이 구분되며,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서도 단계통군으로 강한 지지를 받는다. 그러나, 나도국수나무족 내의 종 간에 나타나는 복잡한 형태 변이 양상으로 인해 다양한 분류체계가 제시되어 있고 많은 종들이 기재되어 있으나, 전세계에 분포하는 나도국수나무족의 모든 종을 포함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 그리고 나도국수나무족, 산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국수나무속에 6종을 인식하였으며, 다음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Opulaster pubescens, Opulaster ramaleyi, Spiraea opulifolia var. parvifolia, Spiraea opulifolia var. tomentella, Physocarpus michiganensis, Physocarpus missouriensis).

쉬땅나무족(Sorbarieae Rydb., 장미과) 잎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anatomy in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9-131
    • /
    • 2014
  • 쉬땅나무족(Adenostoma: 2spp., Chamaebatiaria: 1sp., Sorbaria: 9spp., Spiraeanthus: 1sp.)과 근연분류군인 Lyonothamnus속 2종을 포함한 총 15분류군의 잎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잎의 횡단면을 비교하고 기재하였으며, 해부학적 형질로 분류군 간 중륵과 엽신의 횡단면, 중륵의 두께, 각피층, 표피세포, 기공, 모용, 엽육조직, 결정체, 주유관속 유형 등의 형질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중륵의 주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 불연속유관속, 독립된 3개의 호형(Adenostoma), Type 2: 연속유관속, subtype 2A: 다소 편평(flat)한 호형(Chamaebatiaria, Spiraeanthus), subtype 2B: U-shape 호형(Lyonothamnus, Sorbar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잎의 해부학적 형질(예, 각피층, 표피세포, 모용, 엽육조직, 유관속 패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쉬땅나무족 내 이면기공엽과 배복성의 엽육조직, U-shape의 유관속 패턴의 형질이 쉬땅나무속을 구분하는 주요형질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