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M

검색결과 1,857건 처리시간 0.035초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가동성과 목 관절가동범위의 상관연구 (Correlation Between Pectoralis Minor, Shoulder Mobility and Neck Range of Motion on Rounded Shoulder Posture for Life-Care Increase in Women University Student)

  • 서태화;김민선;정연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9-246
    • /
    • 201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 가동성, 목 관절 가동 범위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성인 여성 8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가 누운 자세에서 어깨의 높이를 측정하여 둥근 어깨 자세를 측정하였고, 작은가슴근의 길이, 어깨 가동성, 목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상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 둥근 어깨와 목 폄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다.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5(p<0.05)이었고,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굽힘 상관계수는 -.25(p<0.5)이었다.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고,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오른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3(p<0.5)이었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5(p<0.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오른쪽의 둥근 어깨가 심할수록 목폄이 감소하였고, 오른쪽 작은가슴근이 단축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과 목 굽힘이 감소하였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이 증가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은 감소하였고, 오른쪽 돌림과 왼쪽 돌림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상지유연성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 김신미;이윤정;김환중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87-1000
    • /
    • 2009
  • 시설입소 인지기능저하 노인은 전반적으로 활동이 부족하며 노화로 인해 근력, 유연성, 평형성 및 협응력 등이 약화되어 일상생활의 불편감 뿐 아니라 사고의 가능성이 증가되어 체계적인 활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연구 대상자는 J시 소재의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인지기능저하 노인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 기간은 4주간으로 첫 주 3일간은 사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3주간 오전에 1시간씩 일주일에 5일, 총 15일간 진행하였다. 사후 측정은 운동 프로그램이 종료 후 2일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시작 전·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 유연성(견관절 운동범위, 상지관절 주변조직의 신장능력), 근력(악력, 어깨근력)을 측정하였다.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 시행 후 견관절 운동범위 중 우측 굴곡, 우측 신전, 우측 외회전 범위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어깨근력의 경우 좌측 굴곡 근력, 좌측 신전 근력, 좌·우측 외전 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악력과 상지관절 주변조직의 신장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은 시설 입소 노인의 유연성과 근력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대상자의 신체능력에 맞는 강도와 기간에 변화를 주는 연구와 효과시기, 효과의 소멸시기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보다 더 정련된 프로토콜을 만들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측정을 위한 분류체계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Measuring Marketing Expenditure and Marketing Performance)

  • 전인수;정애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39-72
    • /
    • 2009
  • 최근 들어 마케팅지출의 수익책임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무제표에서 마케팅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연구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를 분류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관계를 다섯 가지 가설로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첫째는 투자성업무비가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많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을 투자성업무비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안한다. 재무제표상의 계정과목으로 시장조사비, 경상개발비, 광고선전비, 판촉비, 해외시장개척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마케팅지출은 여러 시기에 걸쳐서 마케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은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일반적으로 투자라고 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마케팅지출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중요하지만 업계의 비율과 비교한 초과개념이 중요하다. 끝으로 마케팅성과는 과정모델보다는 균형모델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마케팅성과인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 간의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과정모델과 균형모델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 PDF

현행 법정홍수기 타당성 검토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용담댐 사례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current flood season: a case study of the Yongdam Dam)

  • 이재황;김기주;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5호
    • /
    • pp.359-369
    • /
    • 2024
  • 한국은 6월 21일부터 9월 20일까지를 법정홍수기로 지정하여 잠재적 홍수에 대비하여왔다. 하지만 2020년 54일의 역대 최장 장마 사례와 같이 과거와 다른 기후양상으로 인한 극한 홍수로 피해를 겪고 있다. 그동안 홍수 피해 저감을 위한 연구는 매우 많았지만, 법정홍수기가 앞으로도 유효할지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적 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관측 자료를 통해 현행 법정홍수기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행 법정홍수기가 강수량 증가 추세와 지역별 강수 특성의 강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에 대한 7개의 새로운 홍수기 후보군을 제안하였고, 이의 타당성을 모의 운영을 통해 분석하였다. 모의 운영 시 댐 운영룰 rigid operation method를, 댐 유입량 예측에는 long short-term memory model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홍수기 각 후보는 댐의 계획방류량과 하천의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느냐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첫 번째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홍수기 적용 시 초과 빈도와 지속시간이 각각 0.068%와 0.33% 감소되었으며, 크기 또한 24.6% 감소하였다. 두 번째 평가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역시, 홍수피해 발생 구간이 기존의 4회에서 2회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계기로 법정홍수기 재검토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져 새로운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강우 양상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길 기대한다.

오적산의 추출 용매 차이에 따른 염증 및 염증 관련 질환에 대한 효능 비교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Ojeok-san on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 유새롬;정수진;김예지;임혜선;진성은;전우영;신인식;신나라;김성실;김정훈;하혜경;이미영;김온순;서창섭;신현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8-428
    • /
    • 2012
  • Objectives : Ojeok-san, a traditional herbal formul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ld illness and its related symptoms such as headache, nausea and indiges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effects of water (OJSW) and 70% ethanol extracts (OJSE) of Ojeok-san on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atopy, asthma and obesity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HPLC to investigat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of OJSW and OJ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JSW and OJSE with an in vitro model, using 5 cell lines, specifically RAW 264. 7, HaCaT, MC/9, BEAS-2B and 3T3-L1. Results : HPLC analysis displayed that the contents of index components were higher in OJSE than OJSW.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OJSE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s of interleukin (IL)-6, nitrite and prostaglandin $E_2$ ($PEG_2$). In TNF-${\alpha}$/IFN-${\gamma}$-treated HaCaT keratinocytes, OJSE significantly lowered levels of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as well as regulated and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OJSE also had a protective effect on inflammatory response by decreasing RANTES secretion in TNF-${\alpha}$-stimulated BEAS-2B cells.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OJSE could be more appropriate to enhance the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inflammation and its related diseases, and could be applied as a bioactive material for developing the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s.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말초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 MAGE 유전자 진단의 유용성 (The Utility of MAGE Gene Detection in Bronchial Washing Fluid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NSCLC)

  • 김수현;김호중;권오정;정만표;서지영;고원중;함초롬;남해성;엄상원;권용수;박성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15-21
    • /
    • 2008
  • 연구배경: 기관지 내시경으로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경피적 폐생검이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흉 및 출혈 등의 합병증 및 접근성 등이 문제가 된다. 흑색종항원유전자(Melanoma Antigen Gene, MAGE)는 악성 흑색종에서 처음 발견된 20 종양 항원 및 유전자로서, 비소세포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에서 발현되며 정상 조직에서는 남성의 생식기 세포 및 태반에서만 발현된다. 본 연구는 기관지내시경으로 보이지 않았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양성 여부를 검사하여 폐암의 진단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개월간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내시경적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지 세척을 시행하여 MAGE A1-6 RT-nested PCR (iC&G Co, Daegu, Korea)검사와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폐생검 및 수술을 통한 병리학적인 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37명 중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21명(56.8%) 이었고(선암종 13/21, 편평상피세포암 8/21), 나머지 16명 (43.2%)은 폐결핵(5), 진균 감염(3), 기질화 폐렴(2) 및 유육종증,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과 선천성 낭종 등으로 진단되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세포학적인 검사의 양성률은 9.5% (2/21)에 불과하였으나, MAGE mRNA는 47.6% (10/21)에서 양성을 보여 양성 예측률이 71.4%였다. MAGE 양성률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선암종 30.8%, 편평상피세포암 75.0%, p>0.05). 양성 병변으로 진단된 16명의 MAGE 발현율은 25.0% (4/16)였다. 결론: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검사는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에서 기존의 세포진검사에 비해 우수한 양성 예측률을 나타내어 폐암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 침출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Herbs Used for Gamhongro-ju)

  • 이새롬;신혜현;황금택;정석태;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3-647
    • /
    • 2010
  • 전통 향약술의 하나인 감홍로주의 효능을 좀 더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감홍로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침출액들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 함량 45%, 60%의 정제주정(PE), 45% 재래식 증류주정(TDE)을 이용하여 주정 1000 mL에 계피, 방풍, 정향, 생강, 자초, 감초, 진피, 용안육을 각각 2.5 g씩 혼합하여 넣고 침출하였다. 알코올 함량 60%의 PE에 재료를 20 g씩 따로 넣고 침출하였다. 상온에서 90일 동안 침출하면서 30일마다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폴리페놀 함량 및 ABTS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가지 재료의 혼합 침출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5%와 60% PE에서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가지 재료를 각각 따로 침출하여 만든 침출액 중에서는 정향 침출액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폴리페놀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IC_{50}$ 값은 45%와 60% PE와 45% TDE 침출액에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 유의적으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침출 조건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가지 재료 침출액 중 ABTS $IC_{50}$ 값은 정향, 계피, 생강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DPPH $IC_{50}$ 값은 정향, 계피, 감초 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생강 침출액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낮았으나, ABTS와 DPPH 실험에서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폴리페놀 물질 이외에도 항산화능에 관여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을 통해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중 정향과 계피가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재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차 병원에 입원한 교통사고환자의 평균 재원기간과 조기퇴원시의 수입증대효과 분석연구 (Analyses on the Mean Length of Stay of and the Income Effects due to Early Discharge of Car Accident Patients at General Hospital)

  • 유호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9
    • /
    • 1999
  • This study attempt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a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as a substitute service for hospitalization such as a community based intermediate facility or home health care. We need substitute services for hospitalization to curtail the length of stay for inpatients due to car accidents. It focused on developing an estimation for early discharge based on a detailed statement of treatment from medical records of 109 in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General Hospital in 1997. This study has three specific purposes: First, to find the mean length of stay and mean medical expenditure. Second, to estimate the mean of early discharge from the mean length of stay. Third, to analyize the income effect per bed from early discharge. In order to analyze the length of stay and medical expenditure of inpatients the author conducted a micro and macro-analysis with medical expenditure records. To estimate the early discharge we examined with a group of 4 experts decreases in the amount of treatment after surgery, in treatments, in tests, in drug methods. We also looked their vital signs, the start of ROM exercise, the time removel, a patient's visitations, and possible stable conditions. In addition to identifing the income effect due to an early discharge, the data was analyzed by an SPSS-PC for windows and Excell program with a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length of stay was 47.56 days, but the mean length of stay due to early discharge was 32.26 days. The estimation of early discharge days was shown to depend on the length of stay. The longer the length of stay, the longer the length before discharge. For example, if the patient stayed under 14 days the mean length of stay was 7.09 while an early discharge was 6.39, whereas if the mean length of stay was 155.73, the early discharge time was 107.43. The mean medical expenditure per day of car accident patients was found to be 169,085 Won, whereas the mean medical expenditure per day was shown to be in a negative linear form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That is the mean expenditure for under 14 days of stay was 303,015 Won and the period of the hospitalization of 15 days to 29 days was 170,338 Won and those of 30 days to 59 days was 113,333 Won. The estimation of the income effect due to being discharged 16 days was around 2,350,000 Won with a regression analysis model. However, this does not show the real benefits from an early discharge, but only the income increasing amount without considering prime medical cost at a general hospital. Therefore, we need further analysis on cost containments and benefits incending turn over rates and medical prime costs.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drawn, we need to develop strategies on a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focused on consumers for the 21st century. Varions intermediate facilities and home health care should be developed in the community as a substitute for shortening the length of stay in hospitals. In home health care cases, patients who want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substitute for hospitalization in cooperation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companies might be available immediately.

  • PDF

방송대 간호학생의 교육요구 및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 Need and Satisfaction of the KNOU Nursing Students)

  • 이선옥;김영임;이상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권
    • /
    • pp.75-94
    • /
    • 1996
  • This survey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degree of educational need of the KNOU(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nursing students defined as admission purposes, satisfaction of distance learning education, learning methods, and courses after graduation. Among randomly assigned 1000 students, 320 KNOU nursing students who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dmission purposes of the KNOU nursing students were 'in order to get a bachelor's degree(83.8%)', 'to acquire knowledge for task(61.3%)', or 'to be admitted for the graduate school (53.1%)' etc. Comparing the admission purposes by age, tow item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myself' and 'excellent curriculu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two items were also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2. For the media maintenanc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use their own cassett radios(96.3%), VTR(49.4%), TV only for the study (44.1%), personal computer (3.31%), or joining Hitel (6.3%). 3. Listening rates of the radio lecture were 'over 80%(9.1%)', '50-80%(9.1%)', '20-50%(18.1%)', 'below 20%(30%)' and 'never(33.1%)', And record lecture showed listening rates as follows : 'over80%(17.2%)', '50-80%(15.9%)', '20-50%(24.4%)', 'below 20%(27,2%)' and 'never(14.4%)'. 4. The difficulties with KNOU life were 'listening radio lectures(38.8%)', studying by following teaching schedules (37.8%)', 'isolated self-study(10.3%)', and 'appearance in the attending classes(8.1%)'. 5. As for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s, the data showed that 81.2%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or very satisfied) with 'attending classes' and 75%, with 'paper lectures'. On the other hand some of respondents were very dissatisfied with 'recorded lecture(12.8%)' and 'radio lecture(10.9%)' 6.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tudents want to have 'video conferencing lecture(77.2%)', 'cable TV(64.1%)' and 'CD ROM program' to improve learning effects. 7. Concerning learning attitudes, 48.8% of the students reported 'study mainly for examnination', and only 4.1% answered 'study every day with plan'. The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and age. The students also evaluated themelves as 'study very hard(5.9%)', 'study hard in general(41.6%)', 'study a little(40.3%)' and 'study little(11.9%)'. 8. The students responded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aterial was the 'textbook (92.2%)'. 9. For the purposes of using the local center, the results showed 'for the attending classes(76.3%)', 'for the use of references(14.7%)', and 'for the study group(66.7%)'. 10. The results revealed that 20.3% of the respondents had ever experienced unregistration or temporary withdrawal, and 53.4% among them did not register more than one time.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unregistration was 'due to family affairs or their job (70.8%)'. 11. 88.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will graduate without fail'. 12. Regarding the benefits from the KNOU graduation, respondents indicated 'graduate school admission(38.1%)', 'self-confidence in social life(17.5%)', and understanding social problems (10.9%)'. 13. 64.4%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y have intention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The item 'changing work pla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and 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