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B Color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26초

교정 인쇄 장치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색변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nversion Application of Digital Image in Proof Printer Device)

  • 김정은;조가람;구철회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47
    • /
    • 2009
  • Generally, if RGB image is sent to the printer when we print a digital photograph, the printer will convert RGB to CMYK by the inner built-in drive.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color domain of RGB and CMYK will cause that change and difference. The most common way to solve the problem is to convert colors by using ICC profile at RIP software or to adapt automatic color converting from the software of the original printer. So we intended to study show which way is most efficient to the digital output and which color mode device is the best based on the printer's own drive in this paper. we tried to observe and check the extended range of color space such as AdobeRGB as well as CMYK and sRGB. Then we made sure which is the suitable color space. Besides, When we convert RGB mode into CMYK mode by utilizing RIP software and adapt the printer's ICC profile made by our selves, we evaluated the output we get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extended RGB im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RGB mode, the printer requests RGB, and that makes the color space more efficient than CMYK's. Converted to CMYK by utilizing RIP software, the chroma is more linearized than the one produced with its' own driver. Compared with sRGB mode's color gamut, AdobeRGB mode's color gamut and CMYK mode's color, CMYK mode's color gamut is the smallest among 3 of them. CMYK mode's color gamut by utilizing RIP software can be changeable. that can be small and narrow or wide and broad. In other words, the volume of color gamut depends on how CMYK is linearized. The color space of sRGB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one of AdobeRGB in color-reproduction printed. But in the group $-b^*$, the chroma leaves behind in terms of reproduction, In the group of $-a^*$, the chroma is excellent relatively. Visual evaluation of the image, AdobeRGB image has not many reproduction colors. Specially, according to printers' characteristics, Group B of AdobeRGB and sRGB color space is a long way behind In terms of reproduction but Group Y is excellent relatively.

  • PDF

고품질 색재현을 위한 오프셋 인쇄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I) - 프리프레스와 교정인쇄를 중심으로 - (The Optimization of Offset Printing Process for High Quality Color Reproduction (1) - Prepress and proofing -)

  • 김성수;강상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28
    • /
    • 2007
  • For the color offset printing, it starts with input of data. The past days, drum scanner or flat scanner used to input of data, but now it changes gradually into using of digital camera because digital camera become popular. The high quality digital camera saves as a data(RAW format), sRGB which have built in digital camera, or Adobe RGB format. sRGB of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profile is a standard color gamut of digital camera. Distribution of color gamut in sRGB is less than Adobe RGB have a distribution in ICC profile. sRGB also can not be expressed in some specific part, because distribution of color gamut in sRGB is not able to cover all parts in ICC Profile of international standards CMYK. It is more popular to use Adobe RGB than sRGB to do high quality offset printing and software basis color setting in Europe and Japan. In spite of this data basis, there is a difficulty of doing color correction between the color proofing prints and the final prints. To see how the software color setting effects to RGB data, this thesis will use Gretag Macbeth ColorChecker 24 patch which has the most general natural color chart to compare sRGB and Adobe RGB to check the differences of color changes. It will use the several factors that came out from the process of making ICC Profile to figure out the optimum In-house profile. It also compares the differences of using matt paper and glossy paper to do best quality color proof offset printing, and how the Rendering Intent effects the proof print.

  • PDF

HEVC RExt RGB 영상의 색평면 간 예측 향상을 위한 적응적 필터링 기법 (An Adaptive Filtering Method for Enhancement of Inter-color Plane Estimation in HEVC RExt RGB Images)

  • 최장원;최윤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47-650
    • /
    • 2013
  • HEVC RExt(High Efficiency Video Coding Range Extension)는 RGB/YUV 4:2:2 4:4:4 색 샘플링 영상과 10비트 심도 이상의 영상 지원을 목표로 한다. RGB 영상은 YUV 4:2:0 색 샘플링 영상과는 달리 색평면 간 높은 상관도를 갖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화소값을 예측하는 기법들이 JCT-VC 표준화 회의에서 기고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RGB 영상의 고주파수 성분은 색평면 간 낮은 상관도를 갖고 있으며, 이는 색평면 간 예측 시 부호화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색평면 간 예측 시 고주파수 성분을 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적응적으로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HEVC RExt의 RGB 영상을 통한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색평면 간 예측 기법에 비해 큰 복잡도의 증가 없이 평균 0.6%의 BD(Bjontegaard Distortion)-율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sRGB 표준색공간을 이용한 컬러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Management using sRGB Standard Color Space)

  • 김동균;조가람;구철회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51
    • /
    • 2005
  • The solution way of color difference in display device is using a device profile recorded with color dimension, color properties of each device and is using sRGB color space. The color matching is better sRGB than RGB color space. The sRGB is independent device color space and based on the monitor characteristice. An accurate characteriz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essential for color matching. The calibration and characterization process in display device is needed to transform the device dependent color to the device independent color. The process of characterization performs a linerizaiton and transforms the linearized values into the CIE XYZ tristimulus values.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color reproduction using device profile and to explain the propriety of transformation method using variable.

  • PDF

A Color-Filterless LCD with RGB LED and Lenticular-Lens Arrays

  • Kwon, Jin-Hyuk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1권2호
    • /
    • pp.45-48
    • /
    • 2010
  • A direct-lit liquid crystal display that does not use color filters is proposed. A backlight unit that employs compartmentalized RGB LED and lenticular-lens arrays is used instead of color filters to direct the RGB LED lights into the RGB subpixels. The color-filterless LED backlight design,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are presented.

A Color-Filterless LCD by using RGB LED array and lenticular lens array

  • Kwon, Jin-Hyu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6-78
    • /
    • 2009
  • A liquid crystal display that does not use color filters is proposed. A backlight unit that employs compartmentalized RGB LED arrays and a lenticular lens array is used instead of the color filters in order to direct RGB LED lights into the RGB subpixels. A design of color-filterless LED backlight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 PDF

원거리 검출범위를 제공하는 소형 RGB 센서 개발 (Development Small Size RGB Sensor for Providing Long Detecting Range)

  • 서재용;이시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2호
    • /
    • pp.174-18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저가형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원거리 인식이 가능한 소형 RGB 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센서의 수광부에는 원거리 인식을 위해 카메라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고출력 백색 LED와 반사경이 장착된 렌즈를 조명부에 사용하여 조명의 강도를 높였다. RGB 색상 인식 알고리즘은 학습과정과 실시간 인식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과정에서는 기준색으로 도색된 시편을 이용하여 RGB 색상에 대한 정규화된 기준 데이터를 취득하고, 인식과정에서는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하여 3색을 분류한다. 개발한 RGB 색상 인식 센서를 부품 분류 시제품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Edge-preserving demosaicing method for digital cameras with Bayer-like W-RGB color filter array

  • Park, Jongjoo;Chong, Jongwh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3호
    • /
    • pp.1011-1025
    • /
    • 2014
  • A demosaicing method for a Bayer-like W-RGB color filter array (CFA) is proposed. When reproducing images from a W-RGB CFA, conventional color separation methods for W-RGB CFA are likely to cause blurring near the edges due to rough averaging using a color ratio of neighboring pixels. Moreover, these methods cannot be applied to real-life digital cameras with W-RGB CFA because the methods were proposed under an ideal situation, W=R+G+B, not a real-life situation, $W{\neq}R+G+B$. To improve edge performance, we propose a method of constant color difference assumption with inversed weight, which uses information from all edge directions for interpolating all missing color channels.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correlation between W, R, G, and B to enable its application to real-life digital cameras with W-RGB CFA.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using images captured from a real-life digital camera with W-RGB CFA.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we can demosaic by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n about +34.79% SNR, +11.43% PSNR, +1.54% SSIM and 14.02% S-CIELAB error. Thus, the proposed method demosaic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지능형 검색엔진을 위한 색상 질의 처리 방안 (Color-related Query Processing for Intelligent E-Commerce Search)

  • 홍정아;구교정;차지원;서아정;여운영;김종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1호
    • /
    • pp.109-125
    • /
    • 2019
  • 지능형 전자상거래 검색 엔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검색 상품의 특징을 지능적으로 추출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지능형 검색 엔진에서 상품을 검색 할 때, 제품의 색상은 상품을 묘사하는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질의에 정확한 응답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검색하려는 색상과 그 색상의 동의어 및 유의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색상 특징에 대한 동의어 처리를 주로 사전 방식으로 다뤄왔다. 하지만 이러한 사전방식으로는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색상 용어가 질의에 포함된 경우 처리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인터넷 검색 엔진을 통해 해당 색상의 RGB 값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색상정보를 기반으로 유사한 색상명들을 출력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우선적으로 기본적인 색상 검색을 위해 671개의 색상명과 각 RGB값이 저장된 색상 사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특정 색상을 검색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검색된 색상이 색상 사전 내 존재하는 지 유무를 확인한다. 사전 내에 검색한 색상이 존재한다면, 해당 색상의 RGB 값이 기준 값으로 사용된다. 만일 색상사전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Google 이미지 검색 결과를 크롤링하여 각 이미지의 특정 영역 내 RGB값들을 군집화하여 구한 평균 RGB값을 검색한 색상의 기준 값으로 한다. 기준 RGB값을 앞서 구축한 색상 사전 내의 모든 색상의 RGB 값들과 비교하여 각 R, G, B 값에 있어서 ${\pm}50$ 내의 색상 목록을 정렬하고, RGB값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 유사도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유사한 색 상명들을 출력한다. 제안 방안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설문자들이 생각하는 300 개의 색상 이름과 해당 색상 값을 얻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을 포함한 총 네가지 방법을 통해 얻은 RGB 값들과 피설문자가 지정한 RGB값에 대한 비교를 진행했다. 인간의 눈을 반영하는 측정 기준인 CIELAB의 유클리드안거리는 평균 13.85로 색상사전만을 활용한 방안의 30.88, 한글 동의어사전 사이트인 워드넷을 추가로 활용한 방안의 30.38에 비해 비교적 낮은 색상 간의 거리 값을 보였다.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에서 군집화 과정을 제외한 방안의 색 차는 13.88로 군집화 과정이 색 차를 줄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동의어 처리 방식인 사전 방식이 지닌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전 방식에 새로운 색상명에 대한 실시간 동의어 처리 방식을 결합한 RGB값 기반의 새로운 색상 동의어 처리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전자상거래 검색 시스템의 지능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물 사진을 위한 자동 톤 균형 알고리즘 (Flesh Tone Balance Algorithm for AWB of Facial Pictures)

  • 배태욱;이성학;이정욱;송규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1C호
    • /
    • pp.1040-10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물 영상에 대한 새로운 자동 톤 균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백색 균형 (White balance) 알고리즘은 무채색 영역 또는 물리적 반사율을 알고 있는 피사체에 대해 RGB 출력 신호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 속 얼굴색을 기준 조명하에서의 피부색 좌표와 일치 되도록 RGB의 채널 이득을 조절한다. 실험을 위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기준 조명하에서의 평균 얼굴 색도를 측정하여 카메라 출력 RGB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임의의 조명하에서 촬영된 인물 영상에 대해 얼굴 부분의 RGB 출력 비율이 기준 얼굴색에 대한 비율이 되도록 R 채널과 B 채널의 이득을 조정하여 색도 보정을 했다. 입력 삼자극치 XYZ는 카메라 전달 행렬에 의해 카레라 출력 RGB로부터 계산된다. 그리고 입력 삼자극치 XYZ는 sRGB 전달 행렬을 이용하여 기준 컬러 공간(sRGB)으로 변환된다. RGB 데이터는 감마 보정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8 bit 데이터로 인코딩되어진다. 알고리즘은 맥베스 컬러 차트 (Macbeth color chart)의 light skin color인 평균 얼굴색과 실제로 측정된 다양한 얼굴색의 평균색에 적용되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