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sh Tone Balance Algorithm for AWB of Facial Pictures

인물 사진을 위한 자동 톤 균형 알고리즘

  • 배태욱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오디오비디오 신호처리 및 자동차전자공학연구실) ;
  • 이성학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오디오비디오 신호처리 및 자동차전자공학연구실) ;
  • 이정욱 (LG전자 Digital Display 사업부) ;
  • 송규익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오디오비디오 신호처리 및 자동차전자공학연구실)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n auto flesh tone balance algorithm for the picture that is taken for people. General white balance algorithms bring neutral region into focus. But, other objects can be basis if its spectral reflectance is known. In this paper the basis for white balance is human face. For experiment, first, transfer characteristic of image sensor is analyzed and camera output RGB on average face chromaticity under standard illumination is calculated. Second, Output rate for the image is adjusted to make RGB rate for the face photo area taken under unknown illumination RGB rate that is already calculated. Input tri-stimulus XYZ can be calculated from camera output RGB by camera transfer matrix. And input tri-stimulus XYZ is transformed to standard color space (sRGB) using sRGB transfer matrix. For display, RGB data is encoded as eight-bit data after gamma correction. Algorithm is applied to average face color that is light skin color of Macbeth color chart and average color of various face colors that are actually measured.

본 논문에서는 인물 영상에 대한 새로운 자동 톤 균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백색 균형 (White balance) 알고리즘은 무채색 영역 또는 물리적 반사율을 알고 있는 피사체에 대해 RGB 출력 신호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 속 얼굴색을 기준 조명하에서의 피부색 좌표와 일치 되도록 RGB의 채널 이득을 조절한다. 실험을 위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기준 조명하에서의 평균 얼굴 색도를 측정하여 카메라 출력 RGB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임의의 조명하에서 촬영된 인물 영상에 대해 얼굴 부분의 RGB 출력 비율이 기준 얼굴색에 대한 비율이 되도록 R 채널과 B 채널의 이득을 조정하여 색도 보정을 했다. 입력 삼자극치 XYZ는 카메라 전달 행렬에 의해 카레라 출력 RGB로부터 계산된다. 그리고 입력 삼자극치 XYZ는 sRGB 전달 행렬을 이용하여 기준 컬러 공간(sRGB)으로 변환된다. RGB 데이터는 감마 보정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8 bit 데이터로 인코딩되어진다. 알고리즘은 맥베스 컬러 차트 (Macbeth color chart)의 light skin color인 평균 얼굴색과 실제로 측정된 다양한 얼굴색의 평균색에 적용되어졌다.

Keywords

References

  1. K. Barnard, V. Cardei, and B. Funt, 'A comparison of computational color constancy algorithms-part I: methodology and experiments with synthesized data,' IEEE Trans, Image Processing, Vol.11, No.9, pp.972-983, Sep., 2002 https://doi.org/10.1109/TIP.2002.802531
  2. K. Barnard, V. Cardei, and B. Funt, 'A comparison of computational color constancy algorithms-part II: experiments with image data,'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3, No.11, pp.1209-1221, Nov. 2001 https://doi.org/10.1109/34.969113
  3. E. A. Edwards and S. Q. Duntley, 'Pigment and color in living human skin,' American Journal of Anatomy, Vol.65, pp.1-33, 1939 https://doi.org/10.1002/aja.1000650102
  4. H. C. Lee, Introduction to Color Imaging Science, Cambridge, pp. 181-184, 2005
  5. G. Hong, M. R. Luo, and P. A. Rhodes, 'A study of digital camera colorimetric characterization based on polynomial modeling,' J. of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Vol.26, No.1, pp.76-84, Feb., 2001 https://doi.org/10.1002/1520-6378(200102)26:1<76::AID-COL8>3.0.CO;2-3
  6. P. C. Hung, 'Colorimetric calibration in electronic imaging devices using a look-up tables model and interpolations,' Journal of Electronic Imaging, Vol.2, pp.53-61, 1993 https://doi.org/10.1117/12.132391
  7. P. C. Hung, 'Colorimetric calibration for scanners and media,' Proc. SPIE, Vol.1448, pp.164-174, 1991 https://doi.org/10.1117/12.45355
  8. H. R. Kang, 'Colour scanner calibration,' Journal of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pp.162-170, 1992
  9. H. R. Kang and P. G. Anderson, 'Neural network application to the colour scanner and printer calibration,' Journal of Electronic Imaging, Vol.1, pp.125-134, 1992 https://doi.org/10.1117/12.57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