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GB 영상

Search Result 7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Precision Surveying and Digital Topographic Mapping Using Drones and LiDAR - Focused on the Iksan Wanggung-ri Historic Site - (드론과 라이다를 이용한 정밀 측량 및 수치지형도 제작 연구 - 익산 왕궁리유적을 중심으로 -)

  • Jeon, WooHyun;Kim, Il;Park, JungIl;Oh, Hyund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4 no.2
    • /
    • pp.249-261
    • /
    • 2024
  • This study aims to leverage drone technology to perform precise surveying of the Iksan Wanggung-ri archaeological site and produce high-quality digital terrain models (DTM). By integrating drone-mounted sensors, including RGB and LiDAR, the research generated high-resolution orthoimage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and three-dimensional models of the site. The results are compared against existing 1:5,000-scale national topographic maps, demonstrating the superior accuracy and detail of the drone-derived data. The drone data enables the creation of 1m interval contour lines, significantly improving terrain analysis over the traditional 5m intervals. Additionally, the integration of point cloud data captured by LiDAR provided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opographic features. This method preserves the site's integrity while allowing for more frequent monitoring and enhanced site management. These advancements support ongoing academic research and heritage conservation efforts,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drone technology in archaeological and topographic studies.

An effective object segmentation on the color plane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Fisher 선형 분리자를 사용한 컬러 평면에서의 효과적인 목표물 추출)

  • Nahm,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13-216
    • /
    • 2005
  • 자동차 번호판의 이미지에서 번호의 추출이나, 직물 이미지에서 오염 또는 훼손부분의 추출 또는 방사성 폐기물이나 기타 독극물 보관함의 이미지에서 오염이나 산화에 의한 훼손부위 등과 같은 목표물 이미지 추출은 흑백 이미지에서 명암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가 많으며, 특히 배경과 목표물의 명암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배경과 목표물이 갖는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기 위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 의 RGB 평면 또는 순도(H), 포화도(S), 휘도(I)를 사용하는 HSI 컬러 평면 등이 많이 사용되며, 이 때 배경과 목표물의 색상의 히스토그램을 구해보면 보면 많은 경우 유사한 색 정보가 배경과 목표물에 공통으로 포함되어 분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Fisher 선형 분리자(Fisher's linear discriminant)[1] 함수를 이용하여 3차원의 색상 특징 벡터를 1차원 직선에 투사하여 변환된 1차원 공간상에서 복잡성을 줄이고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도축된 식용 가금류의 영상에 적용하고 변질된 부분이 포함되어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Pose Recognition of Soccer Players for Three Dimensional Animation (방송 축구 영상으로부터 3차원 애니메이션 변환을 위한 축구 선수 동작 인식)

  • 장원철;남시욱;김재희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11d
    • /
    • pp.33-36
    • /
    • 2000
  • To create a more realistic soccer game derived from TV images, we are developing an image synthesis system that generates 3D image sequence from TV images. We propose the method for the team and the pose recognition of players in TV images. The representation includes camera calibration method, team recognition method and pose recognition method. To find the location of a player on the field, a field model is constructed and a player's field position is transformed by 4-feature points. To recognize the team information of players, we compute RGB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a player in TV images. Finally, to recognize pose of a player, this system computes the velocity and the ratio of player(height/width). Experimental results are includ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eam and the pose recognition.

  • PDF

Implementation of Motion Picture Processor for CSTN-LCD without Gamut Problem (색 재현 문제가 없는 동영상 CSTN-LCD 프로세서 구현)

  • Hwang, Bo-Hyun;Cho, Hwa-Hyun;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517-520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tion picture processor for CSTN-LCD without gamut problem. The proposed method employed CDF(Cumulative Density Function) in order to perform a mutual independent in image gradation and color balance.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has solved a gamut problem used by conversion of RGB system and CMY system. Also, we apply the BFI (Black Field Insertion) to the design to compensate for response time of a LC (Liquid Crystal). The proposed hardware architecture has been implemented and verified using a FPGA on prototype board. Visual test and standard deviation of histogram were introduce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original ones.

  • PDF

A Study on a Face Detection Using Color Information and Gabor Filter (칼라 정보를 이용한 얼굴 영역 검출 및 Gabor Filter 에 의한 영역 검증에 관한 연구)

  • 한재성;이경무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861-86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고유 칼라 정보 복원을 통하여 조명의 영향을 받지 않는 칼라 기반 얼굴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즉 주위 조명 영향으로부터 RGB 성분 계수를 파악하여 조명 성분에 영향을 받은 성분을 상쇄시키고, 색포화도와 밝기값 보상을 통해 고유 칼라를 복원(color recover)하는 실험을 하였고, 복원된 영상을 YCbCr 좌표계로 변환시킨 후, CbCr 각각에 대해 살색 성분이 나타내는 일정한 범위내의 부분을 검출하였다. 또한 이 진화 과정에서 생긴 잡음들을 형태학적인 모폴로지 필터를 통해 제거하였으며, 살색 후보 영역 중 같은 영역들은 레이블링하여 얼굴 후보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칼라 정보만으로는 검출된 영역이 얼굴인지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간시각에 기반한 Gabor 필터를 사용하여, 검출된 살색 영역이 최종적으로 얼굴인지를 판별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Subpixel Rendering Method Using Adaptive Filtering (적응적 필터링을 이용한 부화소 렌더링 방법)

  • Lee, Jae-Han;Ko, Keunsoo;Kim, Kyung-Rae;Lee, Jun-Tae;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49-15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RGB-stripe 부화소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서 인지 화질을 향상시키면서, 색 왜곡을 저감할 수 있는 부화소 렌더링을 수행한다. 우선 인지 화질을 향상 시키는 주 필터와, 색 왜곡을 억제하는 비음수 필터를 디자인한다. 색 왜곡 가능성의 계산에 따라, 두 필터를 조합하고 영상을 렌더링 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의 부화소 렌더링 방법이 비교 방법에 비해 좋은 인지 화질을 얻으면서도 색 왜곡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 PDF

Color Image Segmentation for Extracting Dental Plaque (컬러영상 분할기법을 이용한 치아 플라그 영역 검출)

  • Kim, Kyeong-Seop;Shin, Seung-Won;Lee, Se-Min;Jeong, Jin-Sun;Park, Won-Se;Kim, Kee-Deo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60 no.6
    • /
    • pp.1183-1189
    • /
    • 2011
  •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unsupervis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to estimate dental plaque accumulations on digital imaging with methylene blue disclosed plaque. With this aim, RGB color plane is mapped into HSI coordinates and the circular histogram of Hue is reconstructed by applying Otsu's threshold level. The histogram distribution on Saturation features is also analyzed by maximizing the variance between a plaque candidate and non-plaque one. The dental plaque regions are resolved by applying the composite decision logics based on the threshold level of Hue and Saturation.

Individual Tooth Image Segmentation with Correcting of Specular Reflections (치아 영상의 반사 제거 및 치아 영역 자동 분할)

  • Lee, Seong-Taek;Kim, Kyeong-Seop;Yoon, Tae-Ho;Lee, Jeong-Whan;Kim, Kee-Deog;Park, Won-S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59 no.6
    • /
    • pp.1136-1142
    • /
    • 2010
  • In this study, an efficient removal algorithm for specular reflections in a tooth color image is proposed to minimize the artefact interrupting color image segmentation. The pixel values of RGB color channels are initially reversed to emphasize the features in reflective regions, and then those regions are automatically detected by utilizing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nd those prominent intensities are corrected by applying a smoothing spatial filter. After correcting specular reflection regions, multiple seeds in the tooth candidates are selected to find the regional minima and MCWA(Marker-Controlled Watershed Algorithm) is applied to delineate the individual tooth region in a CCD tooth color image. Therefore, the accuracy in segmentation for separating tooth region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with removing specular reflections due to the illumination effect.

Moving Object Tracking Method Using Feature Vector (특징 벡터를 이용한 이동 물체 추적)

  • Kim, Se-Jin;Jeon, Hyung-Suk;Joo, Young-Hoon;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45_18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특징 벡터를 이용한 강인한 물체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초기 이동 물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KLT알고리즘을 입력 영상에 적용시켜 특징 벡터들을 추출한다. 초기 추출된 이동 물체의 움직임 영역에 추출된 특징 벡터를 적용시켜 1차 정규화 한다. 그 후, RGB 칼라모델과 HSI 칼라모델을 이용하여 이동 물체에 대한 Blob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Blob 영역에 대해 1차 특징벡터를 Snake 알고리즘으로 동정하여 2차 정규화 과정을 마무리 한다. 최종 정규화 된 특징 벡터를 Particle filter에 입력 데이터로 이용하여 이동 물체를 추적 한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 PDF

A Pseudocolor Image Enhancement of Gray Images using Frequency Filter (주파수필터를 이용한 그레이이미지의 의사컬러 향상)

  • 김영빈;김윤호;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522-527
    • /
    • 2000
  • 본 논문은 그레이이미지를 컬러이미지로 변환하는 의사칼라이미지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적용기법은 그레이이미지의 시간영역신호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고 LPF, BPF, HPF 2차원필터를 통과시켜 시간영역으로 역 변환한 후 각각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하여 RGB 신호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사 칼라를 얻는다. 실험 결과 필터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PSNR도 증가하고 낮게 설정하면 경계부분의 화질이 좋아진다. 2차원 주파수필터의 사용은 칼라 변환 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보다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고 다양한 컬러 이미지로 향상되어 영상분석에 효과가 있다. 의사칼라의 변환에 의한 식별 인식능력은 9dB 정도 향상된다.

  • PDF